최근 베트남의 한국어 학습자 수가 급증하고, 베트남 대학에서는 한국어 학과의 설립이 왕성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주여성 또는 노동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학 수준의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아직까지 찾기 어렵다. 더욱이 대학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학습 교재의 대부분은 한국어 교육원에 다니는 학습자 대상으로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출판하였으며 그 종류도 다양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 내 대학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베트남 내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의 한계점을 언급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II장에서는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대학 수준의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해 교재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교육 과정과 교재 개발의 관계와 교재 개발 원리 등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베트남 내 주요 대학의 한국학과 교육과정 및 주로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베트남 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및 학생의 ...
최근 베트남의 한국어 학습자 수가 급증하고, 베트남 대학에서는 한국어 학과의 설립이 왕성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주여성 또는 노동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학 수준의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아직까지 찾기 어렵다. 더욱이 대학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학습 교재의 대부분은 한국어 교육원에 다니는 학습자 대상으로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출판하였으며 그 종류도 다양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 내 대학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베트남 내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의 한계점을 언급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II장에서는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대학 수준의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해 교재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교육 과정과 교재 개발의 관계와 교재 개발 원리 등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베트남 내 주요 대학의 한국학과 교육과정 및 주로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베트남 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및 학생의 요구 분석을 통하여 베트남 현지화 교재 개발 시 고려되어야 하는 베트남 교육 환경과 학습자의 학습 목표, 학습자 언어, 교사 언어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베트남 대학 내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교재 사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은 한국의 대학기관에서 집필한 통합교재를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V장에서는 앞서 논의된 결과와 현황 그리고 교재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베트남 내 한국어 학습자 및 교사의 의견과 또한 요구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베트남 내 대학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최근 베트남의 한국어 학습자 수가 급증하고, 베트남 대학에서는 한국어 학과의 설립이 왕성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주여성 또는 노동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학 수준의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아직까지 찾기 어렵다. 더욱이 대학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학습 교재의 대부분은 한국어 교육원에 다니는 학습자 대상으로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출판하였으며 그 종류도 다양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 내 대학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베트남 내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의 한계점을 언급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II장에서는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대학 수준의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해 교재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교육 과정과 교재 개발의 관계와 교재 개발 원리 등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베트남 내 주요 대학의 한국학과 교육과정 및 주로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베트남 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및 학생의 요구 분석을 통하여 베트남 현지화 교재 개발 시 고려되어야 하는 베트남 교육 환경과 학습자의 학습 목표, 학습자 언어, 교사 언어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베트남 대학 내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교재 사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은 한국의 대학기관에서 집필한 통합교재를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V장에서는 앞서 논의된 결과와 현황 그리고 교재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베트남 내 한국어 학습자 및 교사의 의견과 또한 요구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베트남 내 대학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Vietnam has increased rapidly, as well as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being established within universities. However, as most of the research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cus on immigrant women and workers, it is d...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Vietnam has increased rapidly, as well as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being established within universities. However, as most of the research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cus on immigrant women and workers, it is difficult to find relevant studies conducted on Vietnamese under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despite the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undergraduate students, mos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not quite diverse, were published by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ose who attend their Korean language cent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at can be used in universities in Vietnam for Vietnamese learners.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study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ly, Chapter I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its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s well as reviews previous studies. Apart from that, previous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used by universities in Vietnam are examined with the aim of finding their limitations, that allows to make room for further improvements. Secondly,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textbooks,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nd the principles of textbook development, are examined in order to develop Korean textbooks for university-level learners in Vietnam. Thirdly, Chapter III discusses the curriculum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major universities and the use of Korean textbooks in Vietnam.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teachers and learners in Vietnam universities, the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Vietnam educational environment, learning purpose of learner, and the spoken language of learner and teacher, which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 localized textbook in Vietnam. As a result, Vietnam universities' Korean faculties mainly use the integrated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university institutions. Fourthly, in Chapter IV,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current situation and textbook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of Vietnamese learners and teachers' opinions and needs, the paper suggests a proposed plan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Vietnamese learners at university level.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Vietnam has increased rapidly, as well as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being established within universities. However, as most of the research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focus on immigrant women and workers, it is difficult to find relevant studies conducted on Vietnamese under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despite the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undergraduate students, most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not quite diverse, were published by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ose who attend their Korean language cent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at can be used in universities in Vietnam for Vietnamese learners.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study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ly, Chapter I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its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s well as reviews previous studies. Apart from that, previous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used by universities in Vietnam are examined with the aim of finding their limitations, that allows to make room for further improvements. Secondly,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textbooks,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nd the principles of textbook development, are examined in order to develop Korean textbooks for university-level learners in Vietnam. Thirdly, Chapter III discusses the curriculum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major universities and the use of Korean textbooks in Vietnam.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teachers and learners in Vietnam universities, the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Vietnam educational environment, learning purpose of learner, and the spoken language of learner and teacher, which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 localized textbook in Vietnam. As a result, Vietnam universities' Korean faculties mainly use the integrated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university institutions. Fourthly, in Chapter IV,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current situation and textbook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of Vietnamese learners and teachers' opinions and needs, the paper suggests a proposed plan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Vietnamese learners at university level.
Keyword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 교재 개발 현지화 교재 한국학과 교육 과정 이해 관련자 대상 연구 분석
학위논문 정보
저자
닉옛타잉
학위수여기관
배재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한국어교육학과
지도교수
최정순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99
키워드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 교재 개발 현지화 교재 한국학과 교육 과정 이해 관련자 대상 연구 분석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