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임신부의 행복, 우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효과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ffect of online group art therapy on happin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원문보기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임신부들의 정서적 건강을 위한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의 정량적 효과와 경험의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온라인 대면(對面)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임신부들의 행복, 우울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효과를 주었는지 정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역구분이 없는 온라인 임신부 커뮤니티들과 L회사 게시판에 임신 15주-30주미만 일반 초산부를 대상으로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행설계 및 사전사후 실험 설계이다. 자발적으로 모집된 45명의 임신부들은 엑셀의 난수값을 활용하여 서열에 따라 무작위 배정되었고 중간의 탈락자를 제외하고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19명이 최종 통계처리 되었다.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행복척도,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임신부들의 정서적 건강을 위한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의 정량적 효과와 경험의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온라인 대면(對面)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임신부들의 행복, 우울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효과를 주었는지 정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역구분이 없는 온라인 임신부 커뮤니티들과 L회사 게시판에 임신 15주-30주미만 일반 초산부를 대상으로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행설계 및 사전사후 실험 설계이다. 자발적으로 모집된 45명의 임신부들은 엑셀의 난수값을 활용하여 서열에 따라 무작위 배정되었고 중간의 탈락자를 제외하고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19명이 최종 통계처리 되었다.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행복척도, 우울척도, 사회적 지지척도를 프로그램 전과 후에 시행하였으며, 종결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후 임신부들의 행복은 증가하여 대조군과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후 임신부들은 우울이 감소하여 대조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후 임신부들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증가하여 대조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미술치료 10회기를 모두 마치고, 참여자들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확인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kruger의 분석과정에 따라 분석 후 다음과 같이 범주화 하였다. 분석결과는 4개의 범주, 10개의 주제, 27개의 주제군으로 정리되었다. 정리된 4개의 범주는‘온라인 진행 방법의 장단점 경험’,‘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정서적 안정 경험’,‘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관계의 재인식’,‘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치유경험’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을 통한 임신부 집단미술치료가 임신부의 정서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정성적으로 그 경험의 의미를 심층 파악해 임신부 대상 미술치료 현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임신부들의 정서적 건강을 위한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의 정량적 효과와 경험의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온라인 대면(對面)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임신부들의 행복, 우울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효과를 주었는지 정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역구분이 없는 온라인 임신부 커뮤니티들과 L회사 게시판에 임신 15주-30주미만 일반 초산부를 대상으로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행설계 및 사전사후 실험 설계이다. 자발적으로 모집된 45명의 임신부들은 엑셀의 난수값을 활용하여 서열에 따라 무작위 배정되었고 중간의 탈락자를 제외하고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19명이 최종 통계처리 되었다.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행복척도, 우울척도, 사회적 지지척도를 프로그램 전과 후에 시행하였으며, 종결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후 임신부들의 행복은 증가하여 대조군과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후 임신부들은 우울이 감소하여 대조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 후 임신부들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증가하여 대조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미술치료 10회기를 모두 마치고, 참여자들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온라인 대면(對面)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확인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kruger의 분석과정에 따라 분석 후 다음과 같이 범주화 하였다. 분석결과는 4개의 범주, 10개의 주제, 27개의 주제군으로 정리되었다. 정리된 4개의 범주는‘온라인 진행 방법의 장단점 경험’,‘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정서적 안정 경험’,‘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관계의 재인식’,‘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치유경험’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을 통한 임신부 집단미술치료가 임신부의 정서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정성적으로 그 경험의 의미를 심층 파악해 임신부 대상 미술치료 현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effects and experiences of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for emotional health of pregnant women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refore, it was attempted to quantitatively check whether group art therapy through online face-to-face had a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effects and experiences of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for emotional health of pregnant women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refore, it was attempted to quantitatively check whether group art therapy through online face-to-face had an effect on the happiness, depre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Online pregnant women communities without regional classification and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general first-time pregnant women less than 15 to 30 weeks of pregnancy on company L bulletin boards.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is parallel design and pre-post experimental desig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45 pregnant women who were voluntarily recruited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their rank using the random number value of Excel, and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were finally statistically processed, excluding those who were dropped out in the middle. In order to find out the therapeutic effect, happiness scale, depression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e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as a data analysis method for the questionnai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fter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the happiness of pregnant women increas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Second, after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regnant wome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due to reduced depression. Third, after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increas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After completing all 10 sessions of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confirmed in-depth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online face-to-face collective art therapy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after analysis according to kruger's analysis process. The analysis results were organized into 4 categories, 10 topics, and 27 topic groups. The four categories summarized are "Experience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progress method," "Experience of emotional stability through program participation," "Recognition of relationships through program participation," and "Healing experience through program particip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quantitatively confirms the effect of online group art therapy for pregnant women on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and provides basic data on art therapy sites for pregnant women by qualitatively grasp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effects and experiences of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for emotional health of pregnant women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refore, it was attempted to quantitatively check whether group art therapy through online face-to-face had an effect on the happiness, depress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Online pregnant women communities without regional classification and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general first-time pregnant women less than 15 to 30 weeks of pregnancy on company L bulletin boards.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is parallel design and pre-post experimental desig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45 pregnant women who were voluntarily recruited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their rank using the random number value of Excel, and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were finally statistically processed, excluding those who were dropped out in the middle. In order to find out the therapeutic effect, happiness scale, depression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e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as a data analysis method for the questionnai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fter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the happiness of pregnant women increas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Second, after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pregnant wome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due to reduced depression. Third, after online face-to-face group art therapy,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increas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After completing all 10 sessions of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confirmed in-depth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online face-to-face collective art therapy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after analysis according to kruger's analysis process. The analysis results were organized into 4 categories, 10 topics, and 27 topic groups. The four categories summarized are "Experience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progress method," "Experience of emotional stability through program participation," "Recognition of relationships through program participation," and "Healing experience through program particip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quantitatively confirms the effect of online group art therapy for pregnant women on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and provides basic data on art therapy sites for pregnant women by qualitatively grasp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