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산업의 디지털화 속도가 빨라지며 바야흐로 ‘디지털전환 시대’가 도래하였다. 대표적인 대면 거래 마켓플레이스인 전시회도 디지털전환 즉, 온라인 전시회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향후 온라인 전시회가 기존 오프라인 전시회의 ‘대체’ 또는 ‘보완’ 수단인지, 그 역할에 대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온라인 전시회 참가 실적, 가치와 효용성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온라인 전시회 성과 측정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전시회 성과평가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 과정에서 아직 개념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온라인 전시회의 정의와 범위를 제시하고, 온라인 전시회 특성과 향후 방향성 등을 고찰하여 이를 반영한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단계는 성과평가 방향성 도출 및 초기항목 수집 단계, 성과평가 항목 도출 단계, 항목별 가중치 부여 단계, 최종지표 도출 단계로 구성하였다. 성과평가 방향성 도출 및 초기항목 수집 단계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전 산업의 디지털전환 변화와 온라인 전시회의 개최 동향을 고찰하였다. 온라인 전시회 특성, 방향성 고찰을 통해 용어의 개념과 범위를 정립하고 성과평가 지표개발 기준으로 삼았다. 성과평가 관점을 설정하기 위해 전시회 이해관계자를 정리하였고, 그 중 전시주최자와 참가업체 관점의 성과평가 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각 이해관계자의 전시회 성과평가 항목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초기 항목을 도출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되지 못한 다양한 의견과 실효성 있는 초기 항목 수집을 위해 심층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주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견해를 가진 전문가 및 실무자 8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조사를 수행하였다. 문헌조사와 심층 인터뷰 조사를 바탕으로 추출한 항목을 바탕으로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산업의 디지털화 속도가 빨라지며 바야흐로 ‘디지털전환 시대’가 도래하였다. 대표적인 대면 거래 마켓플레이스인 전시회도 디지털전환 즉, 온라인 전시회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향후 온라인 전시회가 기존 오프라인 전시회의 ‘대체’ 또는 ‘보완’ 수단인지, 그 역할에 대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온라인 전시회 참가 실적, 가치와 효용성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온라인 전시회 성과 측정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전시회 성과평가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 과정에서 아직 개념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온라인 전시회의 정의와 범위를 제시하고, 온라인 전시회 특성과 향후 방향성 등을 고찰하여 이를 반영한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단계는 성과평가 방향성 도출 및 초기항목 수집 단계, 성과평가 항목 도출 단계, 항목별 가중치 부여 단계, 최종지표 도출 단계로 구성하였다. 성과평가 방향성 도출 및 초기항목 수집 단계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전 산업의 디지털전환 변화와 온라인 전시회의 개최 동향을 고찰하였다. 온라인 전시회 특성, 방향성 고찰을 통해 용어의 개념과 범위를 정립하고 성과평가 지표개발 기준으로 삼았다. 성과평가 관점을 설정하기 위해 전시회 이해관계자를 정리하였고, 그 중 전시주최자와 참가업체 관점의 성과평가 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각 이해관계자의 전시회 성과평가 항목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초기 항목을 도출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되지 못한 다양한 의견과 실효성 있는 초기 항목 수집을 위해 심층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주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견해를 가진 전문가 및 실무자 8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조사를 수행하였다. 문헌조사와 심층 인터뷰 조사를 바탕으로 추출한 항목을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를 위한 예비조사지를 구축하였다. 성과평가 항목 도출 단계에서는 델파이 기법이 사용되었다. 전문가 2인과 함께 예비조사지의 항목 정제를 실시하여 델파이 조사지를 구축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위한 패널 선정 기준을 세우고 총 63명의 델파이 패널을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3라운드까지 진행하였으며, 조사결과 전시주최자 관점은 21개 항목을 도출하였고, 참가업체 관점은 23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항목별 가중치 부여 단계에서는 계층적 의사결정기법인 AHP 조사를 실시하였다. 앞서 도출한 성과평가 항목은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과정을 거쳐 계층구조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계층구조화 결과 전시주최자 관점은 대분류 2개, 중분류 8개, 소분류 21개로 구성하였다. 참가업체 관점은 대분류 3개, 중분류 8개, 소분류 23개로 구성하였다. AHP 조사에는 21명의 패널이 참여하였다. 조사 및 분석에는 웹 기반 AHP 분석 프로그램인 ‘I MAKE IT’을 활용하였다. AHP 조사 결과 도출된 가중치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전시주최자 관점과 참가업체 관점의 온라인 전시회 성과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온라인 전시회 개념을 ‘전시회 참가업체와 참관객이 전시주최자가 제공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비대면 상호작용하는 형태로 고유의 전시회 참가목적을 공통적으로 지향하며 나아가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전시회’로 정의하였다. 온라인 전시회 역할은 오프라인 전시회와 상호 보완하는 성격을 가져야한다는 의견을 지지하며, 따라서 전시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온, 오프라인이 결합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일 것으로 보는 견해에 동의한다. 온라인 전시회 성과평가 기준 마련을 위해 전시회 이해관계자를 1차 이해관계자와 2차 이해관계자로 구분하였고, 본 연구의 성과평가는 1차 이해관계자 중 전시주최자와 참가업체 관점을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지표는 1차 이해관계자의 자체 성과평가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 이해관계자인 전시회 지원주체의 전시회 지원사업 평가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온라인 전시회 성과평가 지표는 전시회가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공통의 목표와 가치를 반영하며, 디지털 기술 기반의 객관적인 성과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의 평가지표는 온라인 전시회의 초기 연구로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지표가 개발되었기 때문에 연구의 한계를 지니며 향후 연구에서는 평가 관점과 전시회 유형에 따라 세분화하여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산업의 디지털화 속도가 빨라지며 바야흐로 ‘디지털전환 시대’가 도래하였다. 대표적인 대면 거래 마켓플레이스인 전시회도 디지털전환 즉, 온라인 전시회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향후 온라인 전시회가 기존 오프라인 전시회의 ‘대체’ 또는 ‘보완’ 수단인지, 그 역할에 대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온라인 전시회 참가 실적, 가치와 효용성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온라인 전시회 성과 측정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전시회 성과평가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 과정에서 아직 개념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온라인 전시회의 정의와 범위를 제시하고, 온라인 전시회 특성과 향후 방향성 등을 고찰하여 이를 반영한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단계는 성과평가 방향성 도출 및 초기항목 수집 단계, 성과평가 항목 도출 단계, 항목별 가중치 부여 단계, 최종지표 도출 단계로 구성하였다. 성과평가 방향성 도출 및 초기항목 수집 단계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전 산업의 디지털전환 변화와 온라인 전시회의 개최 동향을 고찰하였다. 온라인 전시회 특성, 방향성 고찰을 통해 용어의 개념과 범위를 정립하고 성과평가 지표개발 기준으로 삼았다. 성과평가 관점을 설정하기 위해 전시회 이해관계자를 정리하였고, 그 중 전시주최자와 참가업체 관점의 성과평가 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각 이해관계자의 전시회 성과평가 항목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초기 항목을 도출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되지 못한 다양한 의견과 실효성 있는 초기 항목 수집을 위해 심층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주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견해를 가진 전문가 및 실무자 8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조사를 수행하였다. 문헌조사와 심층 인터뷰 조사를 바탕으로 추출한 항목을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를 위한 예비조사지를 구축하였다. 성과평가 항목 도출 단계에서는 델파이 기법이 사용되었다. 전문가 2인과 함께 예비조사지의 항목 정제를 실시하여 델파이 조사지를 구축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위한 패널 선정 기준을 세우고 총 63명의 델파이 패널을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3라운드까지 진행하였으며, 조사결과 전시주최자 관점은 21개 항목을 도출하였고, 참가업체 관점은 23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항목별 가중치 부여 단계에서는 계층적 의사결정기법인 AHP 조사를 실시하였다. 앞서 도출한 성과평가 항목은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과정을 거쳐 계층구조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계층구조화 결과 전시주최자 관점은 대분류 2개, 중분류 8개, 소분류 21개로 구성하였다. 참가업체 관점은 대분류 3개, 중분류 8개, 소분류 23개로 구성하였다. AHP 조사에는 21명의 패널이 참여하였다. 조사 및 분석에는 웹 기반 AHP 분석 프로그램인 ‘I MAKE IT’을 활용하였다. AHP 조사 결과 도출된 가중치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전시주최자 관점과 참가업체 관점의 온라인 전시회 성과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온라인 전시회 개념을 ‘전시회 참가업체와 참관객이 전시주최자가 제공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비대면 상호작용하는 형태로 고유의 전시회 참가목적을 공통적으로 지향하며 나아가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전시회’로 정의하였다. 온라인 전시회 역할은 오프라인 전시회와 상호 보완하는 성격을 가져야한다는 의견을 지지하며, 따라서 전시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온, 오프라인이 결합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일 것으로 보는 견해에 동의한다. 온라인 전시회 성과평가 기준 마련을 위해 전시회 이해관계자를 1차 이해관계자와 2차 이해관계자로 구분하였고, 본 연구의 성과평가는 1차 이해관계자 중 전시주최자와 참가업체 관점을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지표는 1차 이해관계자의 자체 성과평가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 이해관계자인 전시회 지원주체의 전시회 지원사업 평가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온라인 전시회 성과평가 지표는 전시회가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공통의 목표와 가치를 반영하며, 디지털 기술 기반의 객관적인 성과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의 평가지표는 온라인 전시회의 초기 연구로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지표가 개발되었기 때문에 연구의 한계를 지니며 향후 연구에서는 평가 관점과 전시회 유형에 따라 세분화하여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The COVID-19 pandemic has accelerated the digitalization of all industries,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has arrived. Trade shows, a representative face-to-face trading marketplace, have also faced a new paradigm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is, the virtual trade show. However, many peopl...
The COVID-19 pandemic has accelerated the digitalization of all industries,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has arrived. Trade shows, a representative face-to-face trading marketplace, have also faced a new paradigm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is, the virtual trade show. However, many people still question whether virtual trade shows in the future are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means of offline trade shows. The reason is that it cannot measure the value and effectiveness of participating in virtual trade shows. In line with these changes, developing a virtual trade shows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is rais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for virtual trade shows. The definition and scope of virtual trade shows that have not yet been conceptually established were presen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ndicato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future direction of virtual trade shows were developed. The research stages consisted of deriving the direc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llecting initial items, the step of de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the step of weighting each item, and the step of deriving final indicators. In the stage of deriving the direc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llecting initial items, changes in digital transformation in all industries and trends in holding virtual trade show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The concept and scope of terms were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trade show and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Trade show stakeholders were established to derive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from the perspective of trade show organizers and participating companies were derived. From each stakeholder's perspective, a literature review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was conducted to derive necessary items. An in-depth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that could not be derived from literature surveys and effective initial items. Th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on eight experts and practitioners who were judged to have professional views 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t established a preliminary survey site for the Delphi survey based on the items extracted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survey. The Delphi survey technique was used in the stage of de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The Delphi survey site was established by refining the items of the preliminary survey site with two experts. It established panel selection criteria for the Delphi survey, and 63 Delphi panels were forme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until the third round, and as a result of the survey, 21 items were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e show organizer, and 23 items were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weighting stage for each item, an AHP survey, a hierarchical decision-making technique, was conducted.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were hierarchically structured through a brainstorm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the trade show organizers' perspective was categorized into two major categories, eight middle categories, and 21 sub-categories. Participating companies' perspectiv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eight middle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Twenty-one panels participated in the AHP survey. "IMAKE IT," a web-based AHP analysis program, was used for investigation an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HP survey, the virtual trade show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e show organizer and the participating companies was finally derived by reflecting the derived weight results.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a virtual trade show as a trade show that aims for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interaction between trade show participants and visitors on a digital platform provided by the trade show organizer. This study supports the opinion that the role of virtual trade shows should be complementary to offline trade shows. Therefore, they agreed that the new paradigm of the trade show industry would be in the form of a “hybrid” that combines online and offline. Trade show stakeholders were divided into primary and secondary stakeholders to prepare standard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virtual trade shows. In addition, the deriva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in this study was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trade show organizers and participating companies among the primary stakeholders. The indicators in this study can be used not only to evaluate the primary stakeholder's performance but also to evaluate the trade show support program of the trade show support entity, which is the secondary stakehold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the virtual trade show derived from this study reflects the common goals and values that the trade show pursues and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digital technology. However, since the evaluation index of this study was developed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as an initial study of virtual trade shows, it has limitations in research. In future studies, in-depth analysis will be needed by subdividing i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point of view and trade show type.
The COVID-19 pandemic has accelerated the digitalization of all industries,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has arrived. Trade shows, a representative face-to-face trading marketplace, have also faced a new paradigm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is, the virtual trade show. However, many people still question whether virtual trade shows in the future are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means of offline trade shows. The reason is that it cannot measure the value and effectiveness of participating in virtual trade shows. In line with these changes, developing a virtual trade shows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is rais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for virtual trade shows. The definition and scope of virtual trade shows that have not yet been conceptually established were presen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ndicato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future direction of virtual trade shows were developed. The research stages consisted of deriving the direc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llecting initial items, the step of de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the step of weighting each item, and the step of deriving final indicators. In the stage of deriving the direc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llecting initial items, changes in digital transformation in all industries and trends in holding virtual trade show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The concept and scope of terms were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virtual trade show and connected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Trade show stakeholders were established to derive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an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from the perspective of trade show organizers and participating companies were derived. From each stakeholder's perspective, a literature review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was conducted to derive necessary items. An in-depth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that could not be derived from literature surveys and effective initial items. Th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on eight experts and practitioners who were judged to have professional views 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t established a preliminary survey site for the Delphi survey based on the items extracted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survey. The Delphi survey technique was used in the stage of deriving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The Delphi survey site was established by refining the items of the preliminary survey site with two experts. It established panel selection criteria for the Delphi survey, and 63 Delphi panels were forme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until the third round, and as a result of the survey, 21 items were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e show organizer, and 23 items were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weighting stage for each item, an AHP survey, a hierarchical decision-making technique, was conducted.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were hierarchically structured through a brainstorm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the trade show organizers' perspective was categorized into two major categories, eight middle categories, and 21 sub-categories. Participating companies' perspectiv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eight middle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Twenty-one panels participated in the AHP survey. "IMAKE IT," a web-based AHP analysis program, was used for investigation an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HP survey, the virtual trade show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e show organizer and the participating companies was finally derived by reflecting the derived weight results.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a virtual trade show as a trade show that aims for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interaction between trade show participants and visitors on a digital platform provided by the trade show organizer. This study supports the opinion that the role of virtual trade shows should be complementary to offline trade shows. Therefore, they agreed that the new paradigm of the trade show industry would be in the form of a “hybrid” that combines online and offline. Trade show stakeholders were divided into primary and secondary stakeholders to prepare standard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virtual trade shows. In addition, the deriva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in this study was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trade show organizers and participating companies among the primary stakeholders. The indicators in this study can be used not only to evaluate the primary stakeholder's performance but also to evaluate the trade show support program of the trade show support entity, which is the secondary stakehold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the virtual trade show derived from this study reflects the common goals and values that the trade show pursues and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digital technology. However, since the evaluation index of this study was developed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as an initial study of virtual trade shows, it has limitations in research. In future studies, in-depth analysis will be needed by subdividing i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point of view and trade show typ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