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School Life Adjustment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재학 중인 1∼4학년과 대학원 재학 중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업스트레스 척도,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재학 중인 1∼4학년과 대학원 재학 중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업스트레스 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최종 40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에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4.0을 통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와 유의한 정적 상관,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유형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학업스트레스와 과제난이도 선호를 동시에 투입한 경우 과제난이도 선호는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스트레스와 자기조절 효능감을 동시에 투입한 경우와 학업스트레스와 자신감을 동시에 투입한 경우에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자신감이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판단하면 취업에 최우선을 두는 교육 행정과 취업 스팩을 쌓고 높은 학점을 받아야 한다는 강박증적인 학업스트레스를 갖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학의 교육목표가 무엇인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이 무엇인지,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해 수행할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여유를 갖게 하는 방안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재학 중인 1∼4학년과 대학원 재학 중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업스트레스 척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최종 40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에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4.0을 통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와 유의한 정적 상관,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유형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학업스트레스와 과제난이도 선호를 동시에 투입한 경우 과제난이도 선호는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스트레스와 자기조절 효능감을 동시에 투입한 경우와 학업스트레스와 자신감을 동시에 투입한 경우에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자신감이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판단하면 취업에 최우선을 두는 교육 행정과 취업 스팩을 쌓고 높은 학점을 받아야 한다는 강박증적인 학업스트레스를 갖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학의 교육목표가 무엇인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이 무엇인지,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해 수행할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볼 여유를 갖게 하는 방안이 제공되어야 한다.
I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e survey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The questionnaire surveys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
I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e survey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The questionnaire surveys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e final sample had 404 responses. The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SPSS 21.0,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SPSS PROCESS Macro 4.0. I also used bootstrapping verification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hen academic stress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ere simultaneously input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subtype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did not have a meaningfu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However, self-regulation efficacy and confid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hen both academic stress and self-regulation efficacy were inputted and when academic stress and confidence were simultaneously inputted. Thir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I conclude that educators should not prioritize employment outcomes and prevent excessive stress on students to build up employment related qualifications. A plan should allow students to think about their goals, what efforts are required to achieve them, and the role that they will play in society after graduation.
I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e survey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The questionnaire surveys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e final sample had 404 responses. The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SPSS 21.0,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SPSS PROCESS Macro 4.0. I also used bootstrapping verification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hen academic stress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ere simultaneously input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subtype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did not have a meaningfu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However, self-regulation efficacy and confid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hen both academic stress and self-regulation efficacy were inputted and when academic stress and confidence were simultaneously inputted. Thir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I conclude that educators should not prioritize employment outcomes and prevent excessive stress on students to build up employment related qualifications. A plan should allow students to think about their goals, what efforts are required to achieve them, and the role that they will play in society after graduation.
Keyword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university life adjustment mediating effect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 매개효과
학위논문 정보
저자
윤성호
학위수여기관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상담학과 상담 및 임상심리 전공
지도교수
김사라형선
발행연도
2021
총페이지
66
키워드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university life adjustment mediating effect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적응 매개효과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