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의 효과요인들을 개인심리정서, 사회적 기능, 직무적 기능으로 구분한 후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검증하였다. 또한,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이 개인심리적 기능, 사회적 기능, 직무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분석하고자 연구유형, 조사지역, 시설유형, 연구자 전공, 담당 연령, 교육 특성, 교육 주체, 운영 특성 등을 조절요인으로 선정하여 ...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의 효과요인들을 개인심리정서, 사회적 기능, 직무적 기능으로 구분한 후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검증하였다. 또한,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이 개인심리적 기능, 사회적 기능, 직무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분석하고자 연구유형, 조사지역, 시설유형, 연구자 전공, 담당 연령, 교육 특성, 교육 주체, 운영 특성 등을 조절요인으로 선정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속변수인 출판 시기에 따라 효과크기 변화추이가 어떠한지를 살피기 위해 메타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적용에 지침이 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교육프로그램 효과성과 관련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0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회지 게재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헌은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선정기준의 지침을 준수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자료는 석·박사학위 논문 29편, 학술지 47편으로 총 76편을 선정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코딩 매뉴얼에 따라 일련번호, 논문 제목, 연구자명, 연구유형, 조사지역, 시설유형, 연구자 전공, 담당 연령, 프로그램 교육 특성, 프로그램 교육 주체, 프로그램 운영 특성, 조사시기, 통곗값(실험집단 사전·사후 평균 및 표준편차, 표집 수) 등을 Excel 2010 프로그램을 이용해 입력하고 CMA2(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 메타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 현황은 2010년도 이전에 비해(14.94%) 2010년도 이후(85.06%) 많은 수의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최근 5년 이내(2015년-현재) 과반에 가까운 42편(49.28%)의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연구 대부분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62.07%), 상대적으로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게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18.39%). 셋째, 연구대상 교사들의 담당 연령은 영아담당(68.97%)이 유아담당(20.69%)보다 3배 이상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자 전공에 있어, 타전공의 비율은 41.38%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 유아교육전공(34.48%), 보육전공(24.14%)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지역에 있어 수도권이 32편(36.78%)으로 비수도권 27편(31.03%)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프로그램 처치 기간은 8주 이상과 이하가 각각 25편(28.74%), 24편(27.56%)으로 고르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처치 시간은 120분 이하가 34편(39.98%), 120분이 24편(27.59%), 120분 이상이 17편(19.54%)으로 다수의 연구가 120분 이하의 프로그램 시간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처치 총 회수는 8회기 이상이 과반이 높은 50편(57.47%)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 8회기 16편(18.39%), 8회기 이하 13편(14.94%)으로 대다수 연구가 8회기 또는 그 이상으로 프로그램 회기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변인 군별 연구동향 결과, 대다수의 연구가 보호 변인 군의 효과크기를 검증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위험 변인 군은 매우 적은 수의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 프로그램 관련 요인의 효과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관련 요인의 전체효과크기는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프로그램 관련 요인 군별 효과크기는 모든 요인군이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요인군 간 차이는 사회적 기능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그 뒤를 이어 직무적 기능-보호, 개인심리정서 기능, 직무적 기능-위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심리정서 기능 요인군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자아존중감, 인성, 자기효능감이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기능 요인군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사회적문제해결능력, 부모-교사 간 상호작용,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대인관계,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직무적 기능-보호 요인군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교수지식, 직무동기, 교수효능감, 교사효능감, 전문성, 교수태도, 직무만족, 교수실천수준 하위요인이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직무적 기능-위험 요인군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직무소진이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직무 스트레스가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넷째, 프로그램 관련 요인의 조절 효과 차이 분석결과, 시설유형 요인 전체에서는 유치원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그 뒤를 이어 어린이집·유치원, 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다. 시설유형의 사회적 기능 요인군에서는 유치원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뒤를 이어 어린이집, 어린이집·유치원 순으로 나타났고, 직무기능-보호 요인군에서는 유치원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그 뒤를 이어 어린이집·유치원, 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다. 담당 연령 요인 전체에서는 유아교사가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그 뒤를 이어 영아교사, 영유아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당 연령 직무기능-보호 요인군에서는 유아교사가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그 뒤를 이어 영유아교사, 영아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특성 요인 전체에서는 직무역량강화 요인이 심리정서지원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특성 직무기능-보호 요인군에서는 직무역량강화 요인이 심리정서지원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주체 요인 전체에서는 개인중심교육 요인이 상대적으로 기관중심교육 요인보다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직무기능-보호 요인군에서는 개인중심교육 요인이 상대적으로 기관중심교육 요인보다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운영 특성 가운데 회차당 운영시간에서 개인심리정서 기능 요인군은 120분이 120분 이하보다 상대적으로 효과크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당 운영횟수는 요인 전체에서 주 1회 이상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그 뒤를 이어 단기연수, 기타, 주 1회 순으로 나타났다. 주당 운영횟수의 개인심리정서 기능 요인군에서는 주 1회 이상이 주 1회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다섯째, 프로그램 관련 전체효과크기는 최근에 가까울수록 효과크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심리정서 기능 요인군, 사회적 기능 요인군 역시 최근에 가까울수록 효과크기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20여 년간 수행된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은 영유아 교사의 개인심리정서 기능, 사회적 기능, 직무적 기능향상에 있어 주목할 만한 효과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미 개발되고 적용된 프로그램들을 체계화하여 보육 및 교육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둘째, 어린이집이 유치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프로그램 효과성을 보였는데, 이는 어린이집의 낮은 질적 환경과 양성체계의 문제점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방안 즉, 보육교사의 자격 기준과 수업연한을 강화 및 영유아 보육 및 교육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한 유보통합에 대한 노력과 체계적인 실현 방안이 논의될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셋째, 영유아교사 대상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성을 극대화하려는 방안으로 회차당 시간을 120분 넘지 않게 하며, 운영횟수에 있어 주 1회보다 주 1회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초기 연구보다 최근 연구에 가까울수록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향상되고 있음이 밝혀졌는데, 이는 지난 20여 년간의 관련 연구들이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의 선행된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살피고, 관련 요인들의 효과성을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이를 종합·정리한 후 객관적인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교사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의 효과요인들을 개인심리정서, 사회적 기능, 직무적 기능으로 구분한 후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검증하였다. 또한,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이 개인심리적 기능, 사회적 기능, 직무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분석하고자 연구유형, 조사지역, 시설유형, 연구자 전공, 담당 연령, 교육 특성, 교육 주체, 운영 특성 등을 조절요인으로 선정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속변수인 출판 시기에 따라 효과크기 변화추이가 어떠한지를 살피기 위해 메타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적용에 지침이 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교육프로그램 효과성과 관련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0년 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회지 게재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헌은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선정기준의 지침을 준수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자료는 석·박사학위 논문 29편, 학술지 47편으로 총 76편을 선정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코딩 매뉴얼에 따라 일련번호, 논문 제목, 연구자명, 연구유형, 조사지역, 시설유형, 연구자 전공, 담당 연령, 프로그램 교육 특성, 프로그램 교육 주체, 프로그램 운영 특성, 조사시기, 통곗값(실험집단 사전·사후 평균 및 표준편차, 표집 수) 등을 Excel 2010 프로그램을 이용해 입력하고 CMA2(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 메타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 현황은 2010년도 이전에 비해(14.94%) 2010년도 이후(85.06%) 많은 수의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최근 5년 이내(2015년-현재) 과반에 가까운 42편(49.28%)의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연구 대부분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62.07%), 상대적으로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게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18.39%). 셋째, 연구대상 교사들의 담당 연령은 영아담당(68.97%)이 유아담당(20.69%)보다 3배 이상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자 전공에 있어, 타전공의 비율은 41.38%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 유아교육전공(34.48%), 보육전공(24.14%)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지역에 있어 수도권이 32편(36.78%)으로 비수도권 27편(31.03%)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프로그램 처치 기간은 8주 이상과 이하가 각각 25편(28.74%), 24편(27.56%)으로 고르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처치 시간은 120분 이하가 34편(39.98%), 120분이 24편(27.59%), 120분 이상이 17편(19.54%)으로 다수의 연구가 120분 이하의 프로그램 시간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처치 총 회수는 8회기 이상이 과반이 높은 50편(57.47%)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 8회기 16편(18.39%), 8회기 이하 13편(14.94%)으로 대다수 연구가 8회기 또는 그 이상으로 프로그램 회기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변인 군별 연구동향 결과, 대다수의 연구가 보호 변인 군의 효과크기를 검증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위험 변인 군은 매우 적은 수의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 프로그램 관련 요인의 효과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관련 요인의 전체효과크기는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프로그램 관련 요인 군별 효과크기는 모든 요인군이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요인군 간 차이는 사회적 기능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그 뒤를 이어 직무적 기능-보호, 개인심리정서 기능, 직무적 기능-위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심리정서 기능 요인군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자아존중감, 인성, 자기효능감이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기능 요인군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사회적문제해결능력, 부모-교사 간 상호작용,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대인관계,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직무적 기능-보호 요인군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교수지식, 직무동기, 교수효능감, 교사효능감, 전문성, 교수태도, 직무만족, 교수실천수준 하위요인이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직무적 기능-위험 요인군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는 직무소진이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직무 스트레스가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넷째, 프로그램 관련 요인의 조절 효과 차이 분석결과, 시설유형 요인 전체에서는 유치원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그 뒤를 이어 어린이집·유치원, 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다. 시설유형의 사회적 기능 요인군에서는 유치원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뒤를 이어 어린이집, 어린이집·유치원 순으로 나타났고, 직무기능-보호 요인군에서는 유치원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그 뒤를 이어 어린이집·유치원, 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다. 담당 연령 요인 전체에서는 유아교사가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그 뒤를 이어 영아교사, 영유아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당 연령 직무기능-보호 요인군에서는 유아교사가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그 뒤를 이어 영유아교사, 영아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 특성 요인 전체에서는 직무역량강화 요인이 심리정서지원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특성 직무기능-보호 요인군에서는 직무역량강화 요인이 심리정서지원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주체 요인 전체에서는 개인중심교육 요인이 상대적으로 기관중심교육 요인보다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직무기능-보호 요인군에서는 개인중심교육 요인이 상대적으로 기관중심교육 요인보다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운영 특성 가운데 회차당 운영시간에서 개인심리정서 기능 요인군은 120분이 120분 이하보다 상대적으로 효과크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당 운영횟수는 요인 전체에서 주 1회 이상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그 뒤를 이어 단기연수, 기타, 주 1회 순으로 나타났다. 주당 운영횟수의 개인심리정서 기능 요인군에서는 주 1회 이상이 주 1회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다섯째, 프로그램 관련 전체효과크기는 최근에 가까울수록 효과크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심리정서 기능 요인군, 사회적 기능 요인군 역시 최근에 가까울수록 효과크기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20여 년간 수행된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은 영유아 교사의 개인심리정서 기능, 사회적 기능, 직무적 기능향상에 있어 주목할 만한 효과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미 개발되고 적용된 프로그램들을 체계화하여 보육 및 교육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둘째, 어린이집이 유치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프로그램 효과성을 보였는데, 이는 어린이집의 낮은 질적 환경과 양성체계의 문제점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방안 즉, 보육교사의 자격 기준과 수업연한을 강화 및 영유아 보육 및 교육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한 유보통합에 대한 노력과 체계적인 실현 방안이 논의될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셋째, 영유아교사 대상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성을 극대화하려는 방안으로 회차당 시간을 120분 넘지 않게 하며, 운영횟수에 있어 주 1회보다 주 1회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초기 연구보다 최근 연구에 가까울수록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향상되고 있음이 밝혀졌는데, 이는 지난 20여 년간의 관련 연구들이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의 선행된 영유아교사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살피고, 관련 요인들의 효과성을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이를 종합·정리한 후 객관적인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교사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