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0여년 동안 사내기업가정신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사내기업가정신을 위해 선제적으로 요구되는 조직의 제도적 환경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논의가 부족했다. 뿐만 아니라 조직의 자원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으로서 브리콜라주(bricolage)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내기업가정신을 위한 조직의 준비태세(organizational preparedness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 OPCE)’와 브리콜라주 및 ...
지난 40여년 동안 사내기업가정신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사내기업가정신을 위해 선제적으로 요구되는 조직의 제도적 환경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논의가 부족했다. 뿐만 아니라 조직의 자원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으로서 브리콜라주(bricolage)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내기업가정신을 위한 조직의 준비태세(organizational preparedness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 OPCE)’와 브리콜라주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그 관계에서 학습지향성(learning agility)의 조절효과를 확인한다. 먼저 역량기반관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구축한다. 주요 변수인 브리콜라주는 자원의 창의적인 재조합 및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역량이다. 또한 학습민첩성은 변화하는 환경에서 적극적인 학습 및 적용과 관련된 역량이라는 점에서, 역량기반관점은 유용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준다. 다음으로 연구변수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조직의 전략 실행의 주체이자 정보의 허브(hub) 역할을 하는 중간관리자를 연구표본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21년 10월말부터 12월 중순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264개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내적일관성을 분석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료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설검증을 위하여 SPSS 26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PCE의 하위 구성요인 중 최고경영자의 지원, 작업재량 및 보상/강화는 브리콜라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작업재량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시간가용성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내기업가정신을 높이기 위한 조직의 제도적 환경구축 노력은 전반적으로 중간관리자의 브리콜라주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브리콜라주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원의 창의적 재조합 및 재활용 역량은 중간관리자의 혁신적인 행동을 장려하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OPCE의 하위 구성요인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브리콜라주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최고경영자 지원, 작업재량 및 보상/강화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브리콜라주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내기업가정신을 위한 조직의 제도적 환경이 구축되어 있더라도 브리콜라주 역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혁신행동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의미한다. 단, 시간가용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브리콜라주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OPCE의 하위 구성요인과 브리콜라주 간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민첩성은 최고경영자 지원 및 시간가용성과 브리콜라주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고경영진 지원 및 시간가용성의 브리콜라주에 대한 효과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는 중간관리자의 학습민첩성 제고가 요구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자원제약적인 중소기업 중간관리자의 창의적 자원재조합 역량인 브리콜라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내기업가정신을 높이기 위한 조직 내부 환경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브리콜라주는 OPCE를 위한 조직의 노력이 궁극적으로 혁신행동으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매개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중간관리자의 학습민첩성이 높을 경우 브리콜라주에 대한 최고경영자 지원 및 시간가용성의 효과가 더욱 강화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많은 이론적 기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 있다.
지난 40여년 동안 사내기업가정신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사내기업가정신을 위해 선제적으로 요구되는 조직의 제도적 환경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논의가 부족했다. 뿐만 아니라 조직의 자원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으로서 브리콜라주(bricolage)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내기업가정신을 위한 조직의 준비태세(organizational preparedness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 OPCE)’와 브리콜라주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그 관계에서 학습지향성(learning agility)의 조절효과를 확인한다. 먼저 역량기반관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구축한다. 주요 변수인 브리콜라주는 자원의 창의적인 재조합 및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역량이다. 또한 학습민첩성은 변화하는 환경에서 적극적인 학습 및 적용과 관련된 역량이라는 점에서, 역량기반관점은 유용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준다. 다음으로 연구변수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설을 설정한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조직의 전략 실행의 주체이자 정보의 허브(hub) 역할을 하는 중간관리자를 연구표본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21년 10월말부터 12월 중순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264개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내적일관성을 분석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료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설검증을 위하여 SPSS 26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PCE의 하위 구성요인 중 최고경영자의 지원, 작업재량 및 보상/강화는 브리콜라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작업재량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시간가용성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내기업가정신을 높이기 위한 조직의 제도적 환경구축 노력은 전반적으로 중간관리자의 브리콜라주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브리콜라주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원의 창의적 재조합 및 재활용 역량은 중간관리자의 혁신적인 행동을 장려하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OPCE의 하위 구성요인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브리콜라주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최고경영자 지원, 작업재량 및 보상/강화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브리콜라주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내기업가정신을 위한 조직의 제도적 환경이 구축되어 있더라도 브리콜라주 역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혁신행동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의미한다. 단, 시간가용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브리콜라주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OPCE의 하위 구성요인과 브리콜라주 간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민첩성은 최고경영자 지원 및 시간가용성과 브리콜라주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고경영진 지원 및 시간가용성의 브리콜라주에 대한 효과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는 중간관리자의 학습민첩성 제고가 요구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자원제약적인 중소기업 중간관리자의 창의적 자원재조합 역량인 브리콜라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내기업가정신을 높이기 위한 조직 내부 환경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브리콜라주는 OPCE를 위한 조직의 노력이 궁극적으로 혁신행동으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매개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중간관리자의 학습민첩성이 높을 경우 브리콜라주에 대한 최고경영자 지원 및 시간가용성의 효과가 더욱 강화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많은 이론적 기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 있다.
Grow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corporate entrepreneurship over the past 40 years. Yet, research into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s remained limited. The concept of bricolage recently has emerged as a resource recombination capability to overcome resource...
Grow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corporate entrepreneurship over the past 40 years. Yet, research into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s remained limited. The concept of bricolage recently has emerged as a resource recombination capability to overcome resource constrain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organizational preparedness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OPCE), bricolage and innovation behavior,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As a theoretical underpinning, a capability-based view is adopted. Bricolage is a capability that allows for the recombination and reuse of existing resources, while learning agility is also one that pertains to learning and applications in a fast-changing environment. This points out that the view serves as a useful theoretical base. Building 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regarding constructs, hypotheses were developed. Middle manager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were identified as an appropriate sample in that they are in a core position which executes strategies and deals with information flow.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21. This led to a final sample size of 264. To assess validity and reliabilities of the construc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n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were conducted, respectively. A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test hypothese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using an SPSS(version 26). A Sobel test was also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found that top management support, work discretion and rewards/reinforcement as the sub-components of OPCE were all positively associated with bricolage, with the highest value of work discretion.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organizational efforts to encourage corporate entrepreneurship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bricolage capability of middle managers. Second, bricolag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novation behavior. This points out that the resource recombination and reuse capability can be a significant driver of the innovative behavior of middle managers. Third, the results found that bricolag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op management support, work discretion and rewards/reinforcement and innovation behavior. This denotes that the resource recombination and reuse capability is essential to innovative behavior, even though an organizational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 is established Fourth,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learning ag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link between top management support and time availability and bricolage, respectively. The findings show that middle manager’s learning agility is of great importance to further enhancing the effect of top management support and time availability on bricolage. These findings empirically indicate that, to strengthen the bricolage capability of middle managers in SMEs,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such an environment as OPCE. Furthermore, the results also show that bricolage can positively link OPCE with innovative behavior and learning agility has a potential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top management support and time availability and bricolag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research provides rich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Grow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corporate entrepreneurship over the past 40 years. Yet, research into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s remained limited. The concept of bricolage recently has emerged as a resource recombination capability to overcome resource constrain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organizational preparedness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OPCE), bricolage and innovation behavior,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As a theoretical underpinning, a capability-based view is adopted. Bricolage is a capability that allows for the recombination and reuse of existing resources, while learning agility is also one that pertains to learning and applications in a fast-changing environment. This points out that the view serves as a useful theoretical base. Building 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regarding constructs, hypotheses were developed. Middle manager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were identified as an appropriate sample in that they are in a core position which executes strategies and deals with information flow.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21. This led to a final sample size of 264. To assess validity and reliabilities of the construc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n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were conducted, respectively. A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test hypothese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using an SPSS(version 26). A Sobel test was also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found that top management support, work discretion and rewards/reinforcement as the sub-components of OPCE were all positively associated with bricolage, with the highest value of work discretion.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organizational efforts to encourage corporate entrepreneurship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bricolage capability of middle managers. Second, bricolag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novation behavior. This points out that the resource recombination and reuse capability can be a significant driver of the innovative behavior of middle managers. Third, the results found that bricolag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op management support, work discretion and rewards/reinforcement and innovation behavior. This denotes that the resource recombination and reuse capability is essential to innovative behavior, even though an organizational institutional environment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 is established Fourth,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learning ag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link between top management support and time availability and bricolage, respectively. The findings show that middle manager’s learning agility is of great importance to further enhancing the effect of top management support and time availability on bricolage. These findings empirically indicate that, to strengthen the bricolage capability of middle managers in SMEs,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such an environment as OPCE. Furthermore, the results also show that bricolage can positively link OPCE with innovative behavior and learning agility has a potential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top management support and time availability and bricolag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research provides rich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Keyword
#사내기업가정신을 위한 조직의 준비태세(OPCE), 브리콜라주, 혁신행동, 학습민첩성, 중간관리자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명숙
학위수여기관
영남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경영학과
지도교수
박태경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151 p. : 삽화
키워드
사내기업가정신을 위한 조직의 준비태세(OPCE), 브리콜라주, 혁신행동, 학습민첩성, 중간관리자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