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매체가 다양해지고 정보가 유통되는 속도 또한 빨라지고 있지만, 노인 등의 정보취약계층에게는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노년층의 정보격차는 또 다른 형태의 삶의 격차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파악하고 노인의 디지털 ...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매체가 다양해지고 정보가 유통되는 속도 또한 빨라지고 있지만, 노인 등의 정보취약계층에게는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노년층의 정보격차는 또 다른 형태의 삶의 격차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파악하고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정보화기기 보유 및 사용 여부,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와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등 디지털 리터러시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정보화기기 보유 및 사용 여부,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와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등 디지털 리터러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및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와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등 디지털 리터러시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전국에서 65세 이상 노인 10,09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의 원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정보화기기 보유 및 사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피처폰은 39.2%,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54.2%가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 중 정보화기기의 사용시간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평균 주 6.38일, 하루 평균 1.03시간, 컴퓨터는 평균 주 3.5일, 하루 평균 1.3시간 사용하였다.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중 정보화기기 활용도에서는 11개 기능 중 평균 3.68개를 사용하였고, 메시지 받기의 사용도가 가장 높고 전자상거래의 사용도가 가장 낮았다.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중 정보화기기 사용 시 불편도에서는 키오스크 사용이 가장 불편하고 신용카드 이용이 가장 덜 불편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차이 분석 결과, 스마트폰 사용집단이 미사용집단보다 연령은 낮고 교육 연수는 길며, 여성 비율이 더 많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유배우 및 이혼별거 비율은 높고 미혼과 사별 비율은 더 낮았다. 또 부부동거 비율은 높고 독거 및 가족동거 비율은 낮았으며, 주관적 건강이 더 양호하고 가구소득이 더 높았다.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일수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소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양적 리터러시 중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의 하루 중 사용시간은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소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중 정보화기기 기능별 활용도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가구형태, 주관적 건강상태 및 소득수준에 의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중 정보화기기 사용시 불편도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가구형태, 주관적 건강상태 및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가지 회귀모델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모델 1에서는 교육 연수, 주관적 건강상태, 오분위가구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 분산에 대한 설명력은 26.3%로 나타났다. 모델 2에서는 모든 사회인구학적 변인, 그리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일수와 사용시간 등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 변인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 2의 설명력은 모델 1보다 1.2% 더 증가하여 27.5%였다. 모델 3에서는 모든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 변인, 그리고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변인 중 정보화기기 사용시 불편도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을 많이 받았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사용일수가 많을수록,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사용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정보화기기 사용에 불편이 적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모델 3의 설명력은 모델 2보다 3.6% 더 증가하여 조사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 분산의 31.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지속가능한 노인의 디지털 교육을 위해서 노인이 쉽게 이해하고 다가갈 수 있는 정보제공 및 디지털기기 교육 향상 방안, 둘째, 노인 집단의 다양성을 반영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디지털 소외해소 방안, 셋째 노인 세대의 정보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 및 배움 의지와 인식 전환 방안, 마지막으로 노년층 정보화 교육은 다양한 지역자원과의 협력과 다양한 인력 활용 운영 방향을 제안하였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매체가 다양해지고 정보가 유통되는 속도 또한 빨라지고 있지만, 노인 등의 정보취약계층에게는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노년층의 정보격차는 또 다른 형태의 삶의 격차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파악하고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정보화기기 보유 및 사용 여부,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와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등 디지털 리터러시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정보화기기 보유 및 사용 여부,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와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등 디지털 리터러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및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와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등 디지털 리터러시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전국에서 65세 이상 노인 10,09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의 원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들의 정보화기기 보유 및 사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피처폰은 39.2%,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54.2%가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 중 정보화기기의 사용시간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평균 주 6.38일, 하루 평균 1.03시간, 컴퓨터는 평균 주 3.5일, 하루 평균 1.3시간 사용하였다.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중 정보화기기 활용도에서는 11개 기능 중 평균 3.68개를 사용하였고, 메시지 받기의 사용도가 가장 높고 전자상거래의 사용도가 가장 낮았다.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중 정보화기기 사용 시 불편도에서는 키오스크 사용이 가장 불편하고 신용카드 이용이 가장 덜 불편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차이 분석 결과, 스마트폰 사용집단이 미사용집단보다 연령은 낮고 교육 연수는 길며, 여성 비율이 더 많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유배우 및 이혼별거 비율은 높고 미혼과 사별 비율은 더 낮았다. 또 부부동거 비율은 높고 독거 및 가족동거 비율은 낮았으며, 주관적 건강이 더 양호하고 가구소득이 더 높았다.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일수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소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양적 리터러시 중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의 하루 중 사용시간은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소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중 정보화기기 기능별 활용도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가구형태, 주관적 건강상태 및 소득수준에 의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중 정보화기기 사용시 불편도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가구형태, 주관적 건강상태 및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가지 회귀모델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모델 1에서는 교육 연수, 주관적 건강상태, 오분위가구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 분산에 대한 설명력은 26.3%로 나타났다. 모델 2에서는 모든 사회인구학적 변인, 그리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일수와 사용시간 등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 변인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 2의 설명력은 모델 1보다 1.2% 더 증가하여 27.5%였다. 모델 3에서는 모든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적 디지털 리터러시 변인, 그리고 질적 디지털 리터러시 변인 중 정보화기기 사용시 불편도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을 많이 받았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사용일수가 많을수록,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사용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정보화기기 사용에 불편이 적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모델 3의 설명력은 모델 2보다 3.6% 더 증가하여 조사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 분산의 31.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지속가능한 노인의 디지털 교육을 위해서 노인이 쉽게 이해하고 다가갈 수 있는 정보제공 및 디지털기기 교육 향상 방안, 둘째, 노인 집단의 다양성을 반영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디지털 소외해소 방안, 셋째 노인 세대의 정보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 및 배움 의지와 인식 전환 방안, 마지막으로 노년층 정보화 교육은 다양한 지역자원과의 협력과 다양한 인력 활용 운영 방향을 제안하였다.
Nowaday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formation media are being diversified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is being accelerated. In proportion to that,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for the groups of people vulnerable about information such as the elderly ...
Nowaday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formation media are being diversified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is being accelerated. In proportion to that,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for the groups of people vulnerable about information such as the elderly to acquire information. Also, the digital divide in the aged is resulting in another sort of gap in life. Therefore, this study i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digital literacy level of the elderl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igital literacy level on life satisfaction in the aged. In order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raw data of 「The 2020 Survey on the Elderl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o 10,097 people aged 65 or older selected from all over Korea. The main results drawn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bjects’ possession and use of information devices, 39.2% of them possess feature phones while 54.2% have either smartphones or tablet PCs. Concerning the time to use information devices, they use smartphones or tablet PCs for 6.38 days a week and 1.03 hours a day and also computers for 3.5 days a week and 1.3 hours a day on average.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devices, they use 3.68 out of 11 functions averagely. The frequency of receiving messages with it is the highest whereas that of using e-commerce is the lowest. About the degree of inconvenience in using information devices, they find it the most difficult to use the kiosk and the least difficult in using a credit card. Second,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according to the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group using smartphones tends to include those who are younger or received education for more years, more women,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more persons having a spouse or divorced or separated, and fewer ones that are single or widowed than the group not using them. In addition, there are more couples living together and fewer ones living with families, and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is better and their household income is higher. In the number of days to use smartphones or tablet PC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level of income. Also, in the time to use smartphones or tablet PCs a day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level of income. In using functions of information devi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types of household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level of income. In addition, in the degree of inconvenience of using information devi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types of household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level of incom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factors having influence over life satisfaction, all three regression models a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Model I, the years of educat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household income quintile a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ver the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is 26.3%. In Model II, it has been found that all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quantitative digital literacy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days and hours to use smartphones or tablet PC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II is 27.5% which is 1.2% higher than that of Model I. In Model III, it has been found that all sociodemographic variables, quantitative digital literacy variables, and the degree of inconvenience in using information devices, one of the qualitative digital literacy variables, indicate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ose who are female, older, or more educated, indicate bett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r higher household income, use smartphones or tablet PCs for more days or for more hours, and feel less discomfort in using information devices tend to indicate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III is 3.6% higher than that of Model II, which makes it explain 31.1% about the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how to provide information and improve education about digital devices so that the elderly can understand them easily and have easy access to them as a way to realize sustainable digital education for the elderly. Second, how to reduce their digital alien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reflecting the diversity of senior groups. Third, how to pay more attention to elderly generations’ use of information, elevate their will to learn, and change their recognition. Lastly, how to cooperate with local resources for information education targeting the elderly and to use and operate a variety of human resources.
Nowaday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formation media are being diversified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is being accelerated. In proportion to that,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for the groups of people vulnerable about information such as the elderly to acquire information. Also, the digital divide in the aged is resulting in another sort of gap in life. Therefore, this study i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digital literacy level of the elderl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igital literacy level on life satisfaction in the aged. In order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raw data of 「The 2020 Survey on the Elderl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o 10,097 people aged 65 or older selected from all over Korea. The main results drawn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bjects’ possession and use of information devices, 39.2% of them possess feature phones while 54.2% have either smartphones or tablet PCs. Concerning the time to use information devices, they use smartphones or tablet PCs for 6.38 days a week and 1.03 hours a day and also computers for 3.5 days a week and 1.3 hours a day on average.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devices, they use 3.68 out of 11 functions averagely. The frequency of receiving messages with it is the highest whereas that of using e-commerce is the lowest. About the degree of inconvenience in using information devices, they find it the most difficult to use the kiosk and the least difficult in using a credit card. Second,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according to the subjec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group using smartphones tends to include those who are younger or received education for more years, more women,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more persons having a spouse or divorced or separated, and fewer ones that are single or widowed than the group not using them. In addition, there are more couples living together and fewer ones living with families, and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is better and their household income is higher. In the number of days to use smartphones or tablet PC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level of income. Also, in the time to use smartphones or tablet PCs a day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level of income. In using functions of information devi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types of household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level of income. In addition, in the degree of inconvenience of using information devi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types of household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level of incom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factors having influence over life satisfaction, all three regression models a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Model I, the years of educat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household income quintile a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ver the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is 26.3%. In Model II, it has been found that all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quantitative digital literacy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days and hours to use smartphones or tablet PC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II is 27.5% which is 1.2% higher than that of Model I. In Model III, it has been found that all sociodemographic variables, quantitative digital literacy variables, and the degree of inconvenience in using information devices, one of the qualitative digital literacy variables, indicate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ose who are female, older, or more educated, indicate bett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r higher household income, use smartphones or tablet PCs for more days or for more hours, and feel less discomfort in using information devices tend to indicate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III is 3.6% higher than that of Model II, which makes it explain 31.1% about the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how to provide information and improve education about digital devices so that the elderly can understand them easily and have easy access to them as a way to realize sustainable digital education for the elderly. Second, how to reduce their digital alien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reflecting the diversity of senior groups. Third, how to pay more attention to elderly generations’ use of information, elevate their will to learn, and change their recognition. Lastly, how to cooperate with local resources for information education targeting the elderly and to use and operate a variety of human resourc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