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Digital Divide on The Digital Daily Life of The Elderl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9, 2020년, pp.9 - 15  

허성호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60세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경향성을 측정하여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디지털 의사소통 기술, 디지털 자신감, 디지털 자기통제감, 디지털 생활만족을 측정하였다. 연구모형은 교차설계 모형과 이중매개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 접근성이 높은 집단이 전반적인 디지털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 활동성이 높은 집단이 디지털 자기통제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의사소통 기술이 디지털 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디지털 자신감과 디지털 자기통제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층의 디지털 격차에 대한 극복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digital divide on the digital daily life of the elderly. Adaptation tendencies for digital divide were measured and classified into groups for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And digital communication skills, digital confidence, digital self-control, 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디지털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3,4,7,9-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이 경험하는 디지털 격차 지수를 근거로 디지털 적응 경향성을 도출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할 것이며, 측정 변수들 간의 이중매개모형을 제시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자기통제감과 관련이 있는 것은? 디지털 자기통제감은 온라인 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나 어려움에 대한 대처능력과 관련이 있다[11].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총 4개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한국사회는 인구의 초고령화와 더불어 노년세대의 정보격차 해소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한국사회는 인구의 초고령화와 더불어 노년세대의 정보격차 해소 방안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1,2]. 왜냐하면 근래 들어 4차 산업 혁명 분위기와 더불어 사회적 문제로 가장 크게 부각되는 것이 초고령화 부작용이라고 보기 때문이다[3]. 정보화 현상으로 인해 점점 더 복잡하고 어려운 정보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정보중심의 적응 역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러한 적응에 미흡한 계층이 발생하기 마련이다[4].
디지털 환경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면 어떤 효과가 있는가? 한편, 정보화 사회에 대한 적응 경향의 측면에서는 정보화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8]. 디지털 환경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면 정보화 능력이 향상되고, 정보처리에 있어서도 정확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기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통제감 또한 자신감과 더불어 큰 영향력을 받게 된다[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W. S. Kang & H. S. Yang. (2012). A Study on Efficient Policies of solving the Digital Divide for Weak Layers in the Smart Phone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 29-38. Doi: 10.14400/JDPM.2012.10.1.029. 

  2. H. S. Lee, S. H. Lee, & J. A. Choi. (2016). Redifining Digital Poverty : A Study on Target Changes of the Digital Divide Survey for Disabilities, Low-Income and Eld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1-12. Doi: 10.14400/JDC.2016.14.3.1. 

  3. J. Y. Lee & J. Y. Lim. (2017). The prospe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ome healthcare in super-aged society.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21(3), 95-100. 

  4. A. Scheerder, A. van Deursen & J. van Dijk. (2017). Determinants of Internet skills, uses and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second-and third-level digital divide. Telematics and informatics, 34(8), 1607-1624. 

  5. A. A. Tichavakunda & W. G. Tierney. (2018). The "wrong" side of the divide: Highlighting race for equity's sake. The Journal of Negro Education, 87(2), 110-124. 

  6. A. Datta, V. Bhatia, J. Noll & S. Dixit. (2018). Bridging the digital divide: Challenges in opening the digital world to the elderly, poor, and digitally illiterate. IEEE Consumer Electronics Magazine, 8(1), 78-81. 

  7. S. Hwang & Y.-H. Shin. (2019). A Critical Review on Mobility Business and Government Regulations: Trends, Issues, and Conflict Management. Informatization Policy, 26(2), 3-23. 

  8. B. M. Jung, S. J. Min, & G. W. Nam. (2019).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Deagu: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9. K. Aesaert, D. Van Nijlen, R. Vanderlinde & J. van Braak. (2014). Direct measures of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kills in primary education: Using item response theor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CT competence scale. Computers & Education, 76, 168-181. 

  10. L. A. Sharp. (2018). Collaborative Digital Literacy Practices among Adult Learners: Levels of Confidence and Perceptions of Import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11(1), 153-166. 

  11. L. I. Pearlin, E. G. Menaghan, M. A. Lieberman & J. T. Mullan. (1981).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4), 337-356. 

  12. T. K. Yu, M. L. Lin & Y. K. Liao. (2017). Understanding factors influenc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doption behavior: The moderator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digital skill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1, 196-208. 

  13. C. D. Ryff & C. L. M. Keyes.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 

  14. B. J. Blazic & A. J. Blazic. (2020). Overcoming the digital divide with a modern approach to learning digital skills for the elderly adults.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5(1), 259-279. 

  15. Y. J. Lee. (2013). The Effect of Information Conditions on Mental Health among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0), 17-29. Doi: 10.14400/JDPM.2013.11.10.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