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중등과학 교사의 평가문해력과 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문해력 설문지와 평가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여 중등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가문해력 설문지의 개발을 위해 먼저 중등과학 교사가 직면할 수 있는 평가 딜레마를 기준으로 네 가지 평가 상황을 설정하였다. 네 가지 평가 상황은 상황 1. 총괄평가에서 학생의 성취수준이 낮게 나타났을 때, 상황...
이 연구는 중등과학 교사의 평가문해력과 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문해력 설문지와 평가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여 중등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가문해력 설문지의 개발을 위해 먼저 중등과학 교사가 직면할 수 있는 평가 딜레마를 기준으로 네 가지 평가 상황을 설정하였다. 네 가지 평가 상황은 상황 1. 총괄평가에서 학생의 성취수준이 낮게 나타났을 때, 상황 2. 수행평가 채점 중 학생의 표절을 발견했을 때, 상황 3. 과학실험평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할 때, 상황 4. 단원에 대한 수업 계획을 수립할 때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평가 상황에서 교사로서 선택가능한 행동을 나타내는 열두 가지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또한 중등 과학 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평가에 대한 진술로 이루어진 35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중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과학 교사 46명으로 중학교 교사 21명, 고등학교 교사 25명이었고, 경력별로 초임 교사 14명, 경력 교사 32명이었다. 설문 자료의 분석은 문항별 기술 통계를 중심으로 제시하였으며 학교급 및 경력별로 응답을 비교하였다. 평가문해력 설문 자료는 접근 방식을 평가문해력의 네 가지 영역별로 총괄적 접근, 형성적 접근, 개별화된 접근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평가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 자료는 평가문해력의 네 가지 영역과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묻는 문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평가문해력 설문 결과 실제 평가 상황에서 중등과학 교사는 평가 목적 영역, 평가 이론 영역에서는 형성적 접근을 하였고, 평가 과정 영역과 평가 공정성 영역에서는 총괄적 접근을 하였다. 즉, 중등과학 교사는 평가 목적과 평가 이론에 대해 구성주의적 학습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지만 평가 과정과 평가 공정성에 대해서는 전통적 학습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평가에 대한 인식 설문 결과 평가의 목적에 대해 중등과학 교사는 수업 중 이루어지는 평가의 주요 목적을 학생에게 성적이나 등급을 부여하는 것에 두는 ‘학습의 평가’ 보다 학생의 학습 진도를 확인하여 학생들이 성취기준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학습을 위한 평가’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는 ‘학습으로서의 평가’가 평가의 목적 중 하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평가 과정에 대한 인식 설문 결과, 중등과학 교사는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피드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서 수업 중 평가를 통해 교사가 학생의 특정 학습 요구를 판단해야 하며, 평가가 학생 개개인의 학습 요구에 맞춰 개별화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평가 이론에 대한 인식에서는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모두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중등과학 교사의 평가문해력에 대한 설문과 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중등과학 교사가 지향하는 평가는 구성주의적 학습관에 따른 평가이지만, 교사들이 평가 상황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평가는 전통적인 학습관에 따른 평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중등과학 교사의 평가문해력과 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문해력 설문지와 평가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여 중등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가문해력 설문지의 개발을 위해 먼저 중등과학 교사가 직면할 수 있는 평가 딜레마를 기준으로 네 가지 평가 상황을 설정하였다. 네 가지 평가 상황은 상황 1. 총괄평가에서 학생의 성취수준이 낮게 나타났을 때, 상황 2. 수행평가 채점 중 학생의 표절을 발견했을 때, 상황 3. 과학실험평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할 때, 상황 4. 단원에 대한 수업 계획을 수립할 때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평가 상황에서 교사로서 선택가능한 행동을 나타내는 열두 가지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또한 중등 과학 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평가에 대한 진술로 이루어진 35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중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과학 교사 46명으로 중학교 교사 21명, 고등학교 교사 25명이었고, 경력별로 초임 교사 14명, 경력 교사 32명이었다. 설문 자료의 분석은 문항별 기술 통계를 중심으로 제시하였으며 학교급 및 경력별로 응답을 비교하였다. 평가문해력 설문 자료는 접근 방식을 평가문해력의 네 가지 영역별로 총괄적 접근, 형성적 접근, 개별화된 접근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평가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 자료는 평가문해력의 네 가지 영역과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묻는 문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평가문해력 설문 결과 실제 평가 상황에서 중등과학 교사는 평가 목적 영역, 평가 이론 영역에서는 형성적 접근을 하였고, 평가 과정 영역과 평가 공정성 영역에서는 총괄적 접근을 하였다. 즉, 중등과학 교사는 평가 목적과 평가 이론에 대해 구성주의적 학습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지만 평가 과정과 평가 공정성에 대해서는 전통적 학습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평가에 대한 인식 설문 결과 평가의 목적에 대해 중등과학 교사는 수업 중 이루어지는 평가의 주요 목적을 학생에게 성적이나 등급을 부여하는 것에 두는 ‘학습의 평가’ 보다 학생의 학습 진도를 확인하여 학생들이 성취기준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학습을 위한 평가’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는 ‘학습으로서의 평가’가 평가의 목적 중 하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평가 과정에 대한 인식 설문 결과, 중등과학 교사는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피드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서 수업 중 평가를 통해 교사가 학생의 특정 학습 요구를 판단해야 하며, 평가가 학생 개개인의 학습 요구에 맞춰 개별화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평가 이론에 대한 인식에서는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모두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중등과학 교사의 평가문해력에 대한 설문과 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중등과학 교사가 지향하는 평가는 구성주의적 학습관에 따른 평가이지만, 교사들이 평가 상황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평가는 전통적인 학습관에 따른 평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econdary scienc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and perception of assessment. To this end, an assessment literacy questionnaire and a perception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to conduct a survey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analyze the results. In 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econdary scienc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and perception of assessment. To this end, an assessment literacy questionnaire and a perception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to conduct a survey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analyze the results. In order to develop the assessment literacy questionnaire, four assessment situations were first set based on assessment dilemmas that secondary science teachers may face. Four assessment situations were set as follows: Situation 1. When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 is low in the overall assessment; Situation 2. When the student’s plagiarism is detected dur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Situation 3. When the science experiment assessment plan is established; and Situation 4. When the lesson plan is established for the class. Next, a questionnaire with 12 questions representing behaviors that can be selected by a teacher in actual assessment situations was developed. In addition, a questionnaire with 35 questions consisting of statements on assessment was developed to figure out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assessment.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6 science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21 middle school teachers and 25 high school teachers. They can be divided by career into 14 newly novice teachers and 32 experienced teachers.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was presented focusing on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question, and responses were compared by school level and career. The survey data for assessment literacy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approaches into a summative approach, a formative approach, and an individualized approach for each of the four areas of assessment literacy. The survey data for perception of assessment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questions about four areas of assessment literacy and questions about general perception of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assessment literacy, secondary science teachers took a formative approach in the assessment purpose area and the measurement theory area, while taking a summative approach in the assessment process area and assessment fairness area in the actual assessment situ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secondary science teachers approach the assessment purpose and measurement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t learning, but approach the assessment process and assessment fair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learning.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perception of assessment, secondary science teachers recognized the main purpose of assessment during class as ‘an assessment for learning’ to determine whether students reached the achievement standard by checking students’ learning progress, rather than ‘an assessment of learning’ to give scores or grades to students. Teachers also recognized that ‘an assessment as learning' was one of the purposes of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process, it was found that secondary science teachers recognized feedback through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s important. In the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fairness, they recognized that teachers should determine the specific learning needs of students through assessment during class, and that assessment should be individualized according to the learning needs of each student. In the perception of assessment theory, bot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secondary scienc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and perception of assessment, secondary science teachers aim for the assessment based on the constructivist learning perspective, but the assessment that teachers actually use in the assessment situation fail to get away from the assessment based on the traditional learning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econdary scienc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and perception of assessment. To this end, an assessment literacy questionnaire and a perception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to conduct a survey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analyze the results. In order to develop the assessment literacy questionnaire, four assessment situations were first set based on assessment dilemmas that secondary science teachers may face. Four assessment situations were set as follows: Situation 1. When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 is low in the overall assessment; Situation 2. When the student’s plagiarism is detected dur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Situation 3. When the science experiment assessment plan is established; and Situation 4. When the lesson plan is established for the class. Next, a questionnaire with 12 questions representing behaviors that can be selected by a teacher in actual assessment situations was developed. In addition, a questionnaire with 35 questions consisting of statements on assessment was developed to figure out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assessment.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6 science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21 middle school teachers and 25 high school teachers. They can be divided by career into 14 newly novice teachers and 32 experienced teachers.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was presented focusing on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question, and responses were compared by school level and career. The survey data for assessment literacy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approaches into a summative approach, a formative approach, and an individualized approach for each of the four areas of assessment literacy. The survey data for perception of assessment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questions about four areas of assessment literacy and questions about general perception of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assessment literacy, secondary science teachers took a formative approach in the assessment purpose area and the measurement theory area, while taking a summative approach in the assessment process area and assessment fairness area in the actual assessment situ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secondary science teachers approach the assessment purpose and measurement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t learning, but approach the assessment process and assessment fair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learning.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perception of assessment, secondary science teachers recognized the main purpose of assessment during class as ‘an assessment for learning’ to determine whether students reached the achievement standard by checking students’ learning progress, rather than ‘an assessment of learning’ to give scores or grades to students. Teachers also recognized that ‘an assessment as learning' was one of the purposes of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process, it was found that secondary science teachers recognized feedback through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s important. In the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fairness, they recognized that teachers should determine the specific learning needs of students through assessment during class, and that assessment should be individualized according to the learning needs of each student. In the perception of assessment theory, bot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secondary scienc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and perception of assessment, secondary science teachers aim for the assessment based on the constructivist learning perspective, but the assessment that teachers actually use in the assessment situation fail to get away from the assessment based on the traditional learning perspectiv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