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노인의 사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보화 수준을 중심으로 윤수정 사회복지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디지털정보화 수준 이 장애 노인의 사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분석 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t-test), ...
장애 노인의 사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보화 수준을 중심으로 윤수정 사회복지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디지털정보화 수준 이 장애 노인의 사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분석 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ANOVA), 상관 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자료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했으며, 만 60세 이상 장애인 413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장애 노인의 사회 참여와 인구 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디지털정보화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 과 연령, 성별, 학력, 장애 발생 시기, 전자기기 보유 여부, 전자기기 사 용 여부, 전자기기 활용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 사회학적 요인 중 학력, 장애 관련 요인 중 장애 발생 시기, 디지털정보화 수준에서는 전자기기 사용 여부, 전자기기 활용능력이 장애 노인의 사회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거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수준에 따 른 사회 참여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종단적 분석을 실시하여 정책 실행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장애 노 인에게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제약을 해소하여 이들의 긍정적인 장애 수용을 돕고 사회 참여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 노인에게 전자 기기 접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사회 참여 시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정부의 정보통신 기술 정책을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디지털 정책을 중심으로 개발 하여 장애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 능력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내 노 인복지관과 장애인복지관의 연계로 통합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장애 노인의 교육 수준을 높이고 적극적으로 사회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 다. 둘째,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장애 노인의 장애 발생 시점을 고려 하여 새로운 인구 집단으로 인식하고 사회 참여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서는 장애 노인 의 전자기기 사용 및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옹호자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및 복지관에서는 장애 노인의 욕구를 기반한 전자기기 활용능력 훈련을 통해 사회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애 노인의 사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보화 수준을 중심으로 윤수정 사회복지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디지털정보화 수준 이 장애 노인의 사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분석 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ANOVA), 상관 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자료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했으며, 만 60세 이상 장애인 413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장애 노인의 사회 참여와 인구 사회학적 요인, 장애 요인, 디지털정보화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 과 연령, 성별, 학력, 장애 발생 시기, 전자기기 보유 여부, 전자기기 사 용 여부, 전자기기 활용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 사회학적 요인 중 학력, 장애 관련 요인 중 장애 발생 시기, 디지털정보화 수준에서는 전자기기 사용 여부, 전자기기 활용능력이 장애 노인의 사회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거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수준에 따 른 사회 참여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종단적 분석을 실시하여 정책 실행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장애 노 인에게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제약을 해소하여 이들의 긍정적인 장애 수용을 돕고 사회 참여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 노인에게 전자 기기 접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사회 참여 시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정부의 정보통신 기술 정책을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디지털 정책을 중심으로 개발 하여 장애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 능력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내 노 인복지관과 장애인복지관의 연계로 통합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장애 노인의 교육 수준을 높이고 적극적으로 사회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 다. 둘째,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장애 노인의 장애 발생 시점을 고려 하여 새로운 인구 집단으로 인식하고 사회 참여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서는 장애 노인 의 전자기기 사용 및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옹호자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및 복지관에서는 장애 노인의 욕구를 기반한 전자기기 활용능력 훈련을 통해 사회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Elderly People: Focusing o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zation YOUN, SU-J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disability factors...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Elderly People: Focusing o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zation YOUN, SU-J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disability factors, and digital literacy levels on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s, one-way variance(ANOVA),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earch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22 Digital Information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and analyzed for 413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ged 60 and over.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mong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demographic, disability-related, and digitalization factors rel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ge, gender, education level, disability onset period, possession of electronic devices, frequency of electronic device use, and digital literacy skill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mong demographic factors, education level, and among disability-related factors, disability onset period, and in terms of digitalization factors,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and digital literacy skills significantly influenced social participation among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macroscopic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ngitudinal analysis targeting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wing differences in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s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necessary evidence for policy implement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physical constraints that negatively impact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us facilitating their positive acceptance of disabilities and promoting social participation. Third, effective enhancement of electronic device accessibility for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nsured to enable them to enjoy various benefits of social participation. Fourth, there is a need to develop systems that support the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ies of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y focusing on demand-centered digital policies, rather than supply-centered ICT policies of the government. Practical recommendat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grated educational services by linking elderly welf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to raise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actively encourage their social participation. Second,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need to consider the age of onset of disability in order to recognize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s a new population group and find ways to increase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ird, organizations that provide social services need to train advocates to increase the use and accessibility of electronic devices for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Finally, community and welfare centers should provide needs-based electronic literacy training for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to increase their social participation.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Elderly People: Focusing o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zation YOUN, SU-J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disability factors, and digital literacy levels on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s, one-way variance(ANOVA),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earch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22 Digital Information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and analyzed for 413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ged 60 and over.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mong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demographic, disability-related, and digitalization factors rel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ge, gender, education level, disability onset period, possession of electronic devices, frequency of electronic device use, and digital literacy skill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mong demographic factors, education level, and among disability-related factors, disability onset period, and in terms of digitalization factors,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and digital literacy skills significantly influenced social participation among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macroscopic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ngitudinal analysis targeting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wing differences in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s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necessary evidence for policy implement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physical constraints that negatively impact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us facilitating their positive acceptance of disabilities and promoting social participation. Third, effective enhancement of electronic device accessibility for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nsured to enable them to enjoy various benefits of social participation. Fourth, there is a need to develop systems that support the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ies of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y focusing on demand-centered digital policies, rather than supply-centered ICT policies of the government. Practical recommendat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grated educational services by linking elderly welf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to raise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actively encourage their social participation. Second,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need to consider the age of onset of disability in order to recognize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s a new population group and find ways to increase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ird, organizations that provide social services need to train advocates to increase the use and accessibility of electronic devices for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Finally, community and welfare centers should provide needs-based electronic literacy training for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to increase their social particip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