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노인 공간의 기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a Space for Senior Citizens Using Digital Cont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257 - 267  

권지혁 (인하대학교 문화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들의 문화에 주목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노인공간을 기획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이론적으로는 노인의 신체적·사회적·심리적 노화, 노인 전용공간 및 노인문화로서 디지털 콘텐츠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심층인터뷰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들은 기존 노인공간에서 운영하는 문화 프로그램 이외의 새로운 놀이 문화를 원하고 있었으며, 1인 미디어, 게임 등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특히, 노인들은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가 가족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해 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노인문화공간을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lan a space for senior citizens using digital contents as the measures for securing the cultural diversity by paying attention to culture of senior citizens. For this,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digital contents as physical/social/psychological aging of seni...

주제어

표/그림 (1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문화공간의 콘텐츠를 위해 제시된 컨셉은? 본 논문은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노인문화공간을 기획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노인문화공간의 컨셉은 ‘디지털 샤워존’으로 설정했으며 힐링, 치유, 창조 등의 서브 컨셉을 제시했다. 이를 기반으로 노인문화공간은 만남의 공간, 제2의 공간, 기억의 공간 등 3개의 공간을 제시했으며 신체, 인지, 심리적 문제들의 치유를 위한 힐링 콘텐츠, 유튜브 관련 창조형 디지털 콘텐츠, 게임, 영상 등의 놀이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제시했다.
노인의 4중고란 무엇인가? 신체, 심리, 사회적 노화는 노인들의 4중고(重苦)를 불러온다. 노인의 4중고는 빈곤, 질병, 고독과 역할 상실이다. 신체적 노화는 질병을, 사회적 노화는 빈곤과 역할 상실을, 심리적 노화는 고독을 촉발한다.
노인복지시설의 프로그램은 무엇을 중시하는가? 노인복지관은 지역에 거주하는 노년층에게 건강한 노후를 보장하고 삶의 질을 증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지자체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다수의 노인복지시설은 노인의 복지, 건강, 여가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노인복지시설에서 운영하는 문화 프로그램들은 댄스, 체조, 탁구, 가요교실, 평생교육 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 H. Kwon & S. K. Baik. (2016). Semiotic Analysis of Smart Application-based Game Contents for Silver Generat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3(2), 307-316 

  2. H. J. Lee. & H. K. Kim. (2017).A Study on the status of sports facilities and sport programs of the Multipurpose Senior Centers in Seoul.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6(1), 473.488 

  3. S. H. Lee. & Y. S. Hwang. (2013). A Study on the Utility Conditions and User Satisfaction of Leisure and Culture Facilities in Senior Welfare Centers. Design Convergence Study, 12(6), 363-382. 

  4. Y. G. Kwon. (2006).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Program-Satisfaction at the Senior Welfare Centers : focused in Metropolitan area, Korea.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33, 103-125. 

  5. J. H. Lee. & H. J. Kim. (2019). Identific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an Aged Population and Analysis on Characterization of the Cluster: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7), 1365-1371. 

  6. H. C. YOON. & J. Y. KIM. & J. W. KIM. & T. S. JUN. (2014). A Study on Variable Living Space Design of Elderly Housing for Elderly Lifetime. 9(2),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69-82. 

  7. K. W. Jwa. & S. K. & J. H. Park. (2018). A Study on Facility Standards and a Spatial Combination of Geriatric Hospital and Geriatric Cent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3(6). 241-250. 

  8. N. Y. Song & S. W. No & K. S. Nam. (2011). A Study on the Smart Space by Types of Service Program of Senior Centers in Seoul. Seoul Studies, 12(2), 155-167 

  9. S. H. Song et al. (2013), Elderly psychology. Seoul: SHINJEONG. 

  10. K. D. Kim & M. Y. Kim. (2010). Aging Society. Seoul: HAKJISA 

  11. Y. M. Jeong.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ecovery elasticity in the elderly: focusing on the types of social support. Culture and Convergence, (12), 115-126. 

  12. S. J. Hong. (2010). Gerontology. Seoul: HAWOO. 

  13. M. S. Hong. (2013). Senior and media. Seoul: COMMUNICATIONBOOKS. 

  14. Y. J. Kim & J. M. Jeong. (2006). Senior and media.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15. Y. M. Kim & H. J. KIM (2017).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The Mediating Rol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2(3). 343-370. 

  16. H. Lee.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Quality of Life of Senior Participating in Leisure Programs at Senior Welfare Center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9), 603-615. 

  17. Y. J. Jeong. (2017). Senior and Smart Media Education. Seoul: COMMUNICATIONBOOKS. 

  18. Ministry of Helath an Welfare. (2019), Senior Welfare Facilities in 2019. Seoul : Ministry of Helath an Welfare. 

  19. J. H. Tae. & J. H. Kwon. (2017).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Exhibition Contents in Local Museum Utilizing Media. The Journal of Global Cultural Contents, (28), 181-204. 

  20. Creswell, J. W. (2003).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 CA: Sage 

  21. W. S. Kim. & Y. S. Shin. & K. H. Kim . & D. Y. Jung. (2018).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cultural contents preference for active seniors' enjoyment.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12), 20-28. 

  22. N. H. Jun. & W. I. Won (2018). Analysis of Object and Functional Elements of the Elderly Leisure Program in Youtube : Recreation, Therapeutic Recreation. Korean Journal of Leisure & Recreation, Recreation & Park. 42(3), 43-57. 

  23. J. H. Ko. (2019). 50+ Generation Digital Competency and Proposal for Adaptation to the Future. Seoul. Seoul 50 Plus Foundation. 

  24. K. N. kim. (2014).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of Culture Contents Exhibition Hal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5), 435-442. 

  25. S. Y. OH. (2018). Ability to use media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KISDI STAT Report 18(2). Chungbuk Jincheon : KISID 

  26. S. B. Cho. & S. H. Byun. (2011). Comparative Analysis and Research about Marketability of Digital Contents Industry for Silver Generation.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4(2), 181-186. 

  27. Y. C. Jeong. & Y. H. Kim. (2018). 2018 Broadcast Media Usage Behavior Survey. Seoul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8. J. H. Shin. (2015). Retirement age media use. KISDI STAT Report 15(5). Chungbuk Jincheon : KISID 

  29. J. J. Cho. & K. M. Um. & J. M. Lim. (2016). complex exercise program with Wii-Fit Plus for fall-related physical factors in the over 65 elderly. 25(4).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1357-1368. 

  30. J. H. Ahn. & S. J. Park. (2016). The Effects of Serious Game for Elderly People : Focused on the Case of Development of Rejuvenesce Villag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4(3), 195-206. 

  31. S. K. Baik. & H. J. Lee. (2015). A Study on Schema Theory in Greimas' Narrative Schema. Semiotic Inquiry, 42. 251-2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