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시험과 피험자 동의서에 대한 인식조사 -암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A Survey of the Cognition on Clinical Trial and Informed Consent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臨床藥理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v.3 no.2, 1995년, pp.141 - 153  

김훈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경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강봉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양학교실) ,  송혜향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통계학교실) ,  문한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신약이 개발되면 약물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인정받기 위해서 양질의 제 1,2,3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시험대상자들이 임상시험과 피험자 동의서에 관하여 잘 알고 있지 않으면 연구에 어려움이 많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항암제에 대한 임상시험이 보다 과학적이고 윤리적으로 시행되고 피험자들이 이를 쉽게 이해하여 자발적이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만들기 위하여 암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임상시험과 피험자 동의서에 대한 인식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시험과 피험자동의서에 대하여 25개 문항으로 작성된 설문을 작성하였다. 내용은 크게 나누어 임상시험의 목적, 윤리적인면, 이에 대한 참여의지 및 의료기관에서 동의서의 작성 경험과 임상시험을 위한 피험자 동의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도록 구성되었다. 대상은 서울 시내 및 인천지역의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 5군데에서 내과, 일반외과, 치료방사선과의 암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 및 가족으로 하였으며 각 병원에서의 표본 추출은 비슷한 숫자로 하였고 작성된 문항들은 3명의 의과대학생들에 의해 상담의 형식으로 실시하였다. 결 과: 총 189명(남 70명, 여 119명, 환자 75명, 가족 74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임상시험이 신약 또는 새로운 치료방법의 유효성(149명, 78.8%) 및 안전성을 보는 것 (152명, 80.4%)이라는 사실을 대체적으로 잘 알고 있었으며 58명(30.7%)이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한다고 하여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임상시험을 받으면 환자가 손해와 이득을 다 볼 수 있다고 한 경우는 52.9%로 반수 일방적으로 이득 또는 손해를 볼 수 있다고 응답하였고 대다수(179명 , 94.7%)가 환자는 임상시험을 거부할 권리가 있음을 알고 있었다. 자신 또는 가족이 암인 경우 임상시험을 받겠다는 대답이 146명(76.7%)였으며 효과의 기대 때문이라는 것이 주된(82.1%) 이유였고 받지 않겠다는 이유로는 위험할까 봐가 대부분(81.4%)이었다. 117명(61.9%)이 의료기관에서 동의서의 작성경험이 있다고 하였으며 이중 7명(6.0%)이 임상시험에 대한 동의서의 경험이 있다고 하였다. 피험자 동의서라는 말을 들어보았다는 대답은 11명(5.9%)에 불과하였고 설명 후 이의 필요성에 대하여 묻는 질문에는 135명(71.4%)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동의서의 길이가 길어진다면 스스로 읽겠다(30명, 15.9%)기보다는 84.1%가 구두설명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었다. 임상시험시 발생하는 부작용 또는 문제점의 발생시 의사나 회사에 책임을 묻겠다는 대답이 76명(40.2%)으로 이 중 17명(9.0%)은 시비를 가리지 않고 무조건 책임을 묻겠다고 하였다. 결 론 : 본 설문조사는 임상시험과 피험자 동의서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설문 조사로 대상인 암환자와 가족들이 비교적 정확하고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임상시험과 피험자 동의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며 피험자동의서의 간편성과 이해력의 향상에 대한 연구가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When new drugs are developed, phase I, II and III clinical trials should be taken for those drugs to be proven safe and effective if it is necessary, and the recipients should understand well the clinical trial and informed consent. This survey might be the first one on the cognition on...

주제어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