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요로 기형은 선천성 기형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며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많아 발견당시 이미 비가역적인 신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에서 요로계의 선천성 기형의 임상상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조사 대상은 1987년부터 1998년까지 10년간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선천성 요로기형으로 진단된 65명의 환아로 하였고 후천적으로 발생한 수신증과 방광요관 역류 등은 제외시켰다. 이들 환아에 대한 임상상과 치료 및 경과를 임상 기록을 토대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 과 : 요로계 기형의 빈도는 신우요관 이행부 협착이 26례로 가장 많았으며 그외 중복 요로계 11례, 일측성 신무형성 10례, 방광요관 이행부 협착 7례 등의 순이었다. 이중 8례에서 한가지 이상의 요로계 기형이 동반된 복합 기형을 나타내었으며 11례에서는 선천성 심장병과 같은 타 장기의 기형이 동반되어 있었다. 진단 당시의 연령 분포는 1세 이하가 39명($60\%$)으로 가장 많았고 남녀 비는 2.25:1로 남아가 많았다. 내원시 주 증상은 요로 감염이 25례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혈뇨, 복부 종괴, 패혈증, 복통, 배뇨 이상 등이 있었다. 산전 초음파검사로 발견된 경우가 11례였고 입원시 고질소 혈증을 보인 경우는 모두 9례로서 이중 4례는 신우요관 이행부 협착, 방광요관 이행부 협착 및 중복 요로계등의 요로계 폐쇄질환이었다. 수술적 교정은 총 73례의 기형중 38례에서 시행되었다. 고질소 혈증을 보인 폐쇄성 요로 기형 4례중 1년에서 5년까지의 추적관찰 기간중 2례에서 고질소 혈증이 소실되었으며 같은 추적관찰 기간중 새로이 신기능 저하를 일으킨 례는 없었다. 결 론 : 요로의 선천성 기형은 높은 빈도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특이적인 증상을 나타내지 않아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많다. 그러므로 요로 감염, 복통, 배뇨 곤란 등의 증상이 있는 환아에서는 요로 기형의 존재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며 특히 산전 초음파검사의 광범위한 이용으로 요로 기형의 존재 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처를 행함으로서 신장의 비가역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목 적 : 요로 기형은 선천성 기형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며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많아 발견당시 이미 비가역적인 신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에서 요로계의 선천성 기형의 임상상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조사 대상은 1987년부터 1998년까지 10년간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선천성 요로기형으로 진단된 65명의 환아로 하였고 후천적으로 발생한 수신증과 방광요관 역류 등은 제외시켰다. 이들 환아에 대한 임상상과 치료 및 경과를 임상 기록을 토대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 과 : 요로계 기형의 빈도는 신우요관 이행부 협착이 26례로 가장 많았으며 그외 중복 요로계 11례, 일측성 신무형성 10례, 방광요관 이행부 협착 7례 등의 순이었다. 이중 8례에서 한가지 이상의 요로계 기형이 동반된 복합 기형을 나타내었으며 11례에서는 선천성 심장병과 같은 타 장기의 기형이 동반되어 있었다. 진단 당시의 연령 분포는 1세 이하가 39명($60\%$)으로 가장 많았고 남녀 비는 2.25:1로 남아가 많았다. 내원시 주 증상은 요로 감염이 25례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혈뇨, 복부 종괴, 패혈증, 복통, 배뇨 이상 등이 있었다. 산전 초음파검사로 발견된 경우가 11례였고 입원시 고질소 혈증을 보인 경우는 모두 9례로서 이중 4례는 신우요관 이행부 협착, 방광요관 이행부 협착 및 중복 요로계등의 요로계 폐쇄질환이었다. 수술적 교정은 총 73례의 기형중 38례에서 시행되었다. 고질소 혈증을 보인 폐쇄성 요로 기형 4례중 1년에서 5년까지의 추적관찰 기간중 2례에서 고질소 혈증이 소실되었으며 같은 추적관찰 기간중 새로이 신기능 저하를 일으킨 례는 없었다. 결 론 : 요로의 선천성 기형은 높은 빈도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특이적인 증상을 나타내지 않아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많다. 그러므로 요로 감염, 복통, 배뇨 곤란 등의 증상이 있는 환아에서는 요로 기형의 존재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며 특히 산전 초음파검사의 광범위한 이용으로 요로 기형의 존재 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처를 행함으로서 신장의 비가역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Malformation of urinary tract is among the most common of all congenital anomalies and can progress to irreversible renal damage before diagnosis due to difficulty of early diagnosis.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urinary tract anomaly and to fin...
Purpose : Malformation of urinary tract is among the most common of all congenital anomalies and can progress to irreversible renal damage before diagnosis due to difficulty of early diagnosis.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urinary tract anomaly and to find out the most appropriate diagnostic and therapeutic measures for children with these anomalies. Methods : During the past 10 years from 1987 to 1998, review of medical records revealed 65 children with congenital anomaly of urinary trac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 The most common anomalies were ureteropelvic junction obstruction occuring in 26 cases ($36\%$), followed by ureteral duplication in 11 cases, renal agenesis in 10 cases and ureterovesical function obstruction in 7 cases. Complex anomaly of urinary tract was found in 8 cases and anomaly of other systems such as congenital heart disease was detected in 11 cases. The most frequent age group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below 1 year of age constituting 39 cases ($60\%$) and male preponderance was noted as male to female ratio being 2.25:1. Presenting symptoms were urinary tract infection in 25 cases, followed by hematuria, abdominal mass, abdominal pain and voiding difficulty, etc, and in 11 cases, the anomaly was picked up by routine prenatal ultrasonography. Azotemia was noted in 9 cases and the underlying anomaly was obstructive uropathy in 4 out of these 9 cases. Surgical correction was undertaken in 38 cases (most frequently in cases of obstructive uropathy) and in 2 out off cases with obstructive uropathy in whom surgical correction was done, azotemia disappeared during follow up period of 1-5years. No new cases of deteriorating renal function appeared during follow-up period. Conclusion : In spite of high incidence of congenital malformation of urinary tract, early diagnosis is still hampered by nonspecific symptoms and signs. Therefore, in patients with symptoms such as urinary tract infection, abdominal pain and voiding problems, etc, it Is advisable to take various diagnostic tests promptly to pick up any urinary tract anomaly and to apply proper therapy in order to avoid progression to irreversible renal damage. In this regard, prenatal ultrasonography should be utilized more widely as a routine procedure to detect any urinary tract anomalies before birth.
Purpose : Malformation of urinary tract is among the most common of all congenital anomalies and can progress to irreversible renal damage before diagnosis due to difficulty of early diagnosis.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urinary tract anomaly and to find out the most appropriate diagnostic and therapeutic measures for children with these anomalies. Methods : During the past 10 years from 1987 to 1998, review of medical records revealed 65 children with congenital anomaly of urinary trac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 The most common anomalies were ureteropelvic junction obstruction occuring in 26 cases ($36\%$), followed by ureteral duplication in 11 cases, renal agenesis in 10 cases and ureterovesical function obstruction in 7 cases. Complex anomaly of urinary tract was found in 8 cases and anomaly of other systems such as congenital heart disease was detected in 11 cases. The most frequent age group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below 1 year of age constituting 39 cases ($60\%$) and male preponderance was noted as male to female ratio being 2.25:1. Presenting symptoms were urinary tract infection in 25 cases, followed by hematuria, abdominal mass, abdominal pain and voiding difficulty, etc, and in 11 cases, the anomaly was picked up by routine prenatal ultrasonography. Azotemia was noted in 9 cases and the underlying anomaly was obstructive uropathy in 4 out of these 9 cases. Surgical correction was undertaken in 38 cases (most frequently in cases of obstructive uropathy) and in 2 out off cases with obstructive uropathy in whom surgical correction was done, azotemia disappeared during follow up period of 1-5years. No new cases of deteriorating renal function appeared during follow-up period. Conclusion : In spite of high incidence of congenital malformation of urinary tract, early diagnosis is still hampered by nonspecific symptoms and signs. Therefore, in patients with symptoms such as urinary tract infection, abdominal pain and voiding problems, etc, it Is advisable to take various diagnostic tests promptly to pick up any urinary tract anomaly and to apply proper therapy in order to avoid progression to irreversible renal damage. In this regard, prenatal ultrasonography should be utilized more widely as a routine procedure to detect any urinary tract anomalies before birt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