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의 성숙과 저장 중에 일어나는 연화(softening)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궁천조생 온주밀감을 $3^{\circ}C$, 85% RH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중 경도, 펙틴분해효소의 활성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폐율은 저장 90일에 18.8%이었으며, 그 이후 급속히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중량감소는 24.5%까지 계속하여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경도는 2mm probe에서 538.9 g-force에서 336.9 g-force까지로 저장 중에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수분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과피에서 71.8%에서 72.6%까지로, 과육에서 90.3%에서 88.3%까지로 각각 약간 감소하였다. 성숙 중 경도는 1,176.8g-force에서 503.6 g-force로 급속히 감소하였고, 수분 함량은 과피와 과육이 각각 75.3%에서 74.9%로, 91.8%에서 90.7%로 약간 감소하였다. 세포벽 분해효소인 exo-polygalacturonase의 경우 저장 90일까지 과피에서는 326.0 units/100 g에서 534.9 units/100 g까지로, 과육에서는 63.1 units/100 g에서 81.0 units/100 g까지로 증가를 하다가 그 후 저장 150일까지 각각 394.0 units/100 g, 38.0units/100 g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Pectinesterase 활성은 저장 60일까지 과피에서는 $14.4\;{\mu}mol$에서 $38.8\;{\mu}mol$까지로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 $6.0\;{\mu}mol$로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과육에서는 저장 60일까지 $26.0\;{\mu}mol$에서 $39.0\;{\mu}mol$까지로 증가를 하다가 $8.2\;{\mu}mol$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감귤의 성숙과 저장 중에 일어나는 연화(softening)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궁천조생 온주밀감을 $3^{\circ}C$, 85% RH에서 저장하면서 저장 중 경도, 펙틴분해효소의 활성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폐율은 저장 90일에 18.8%이었으며, 그 이후 급속히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중량감소는 24.5%까지 계속하여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경도는 2mm probe에서 538.9 g-force에서 336.9 g-force까지로 저장 중에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수분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과피에서 71.8%에서 72.6%까지로, 과육에서 90.3%에서 88.3%까지로 각각 약간 감소하였다. 성숙 중 경도는 1,176.8g-force에서 503.6 g-force로 급속히 감소하였고, 수분 함량은 과피와 과육이 각각 75.3%에서 74.9%로, 91.8%에서 90.7%로 약간 감소하였다. 세포벽 분해효소인 exo-polygalacturonase의 경우 저장 90일까지 과피에서는 326.0 units/100 g에서 534.9 units/100 g까지로, 과육에서는 63.1 units/100 g에서 81.0 units/100 g까지로 증가를 하다가 그 후 저장 150일까지 각각 394.0 units/100 g, 38.0units/100 g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Pectinesterase 활성은 저장 60일까지 과피에서는 $14.4\;{\mu}mol$에서 $38.8\;{\mu}mol$까지로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 $6.0\;{\mu}mol$로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과육에서는 저장 60일까지 $26.0\;{\mu}mol$에서 $39.0\;{\mu}mol$까지로 증가를 하다가 $8.2\;{\mu}mol$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Marc. var. miyagawa) was stored at $3^{\circ}C$ and 85% relative humidity, and then the changes of firmness, pectin- degrading enzymes activity and oth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fruits during storage were investigated. Firmness of fruits with 2 ...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Marc. var. miyagawa) was stored at $3^{\circ}C$ and 85% relative humidity, and then the changes of firmness, pectin- degrading enzymes activity and oth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fruits during storage were investigated. Firmness of fruits with 2 m probe was decreased quickly from 1,176.8 g-force to 503.6 g-force, and moisture of peel and flesh were decreased from 75.3% to 74.9%, and from 91.8% to 90.7% during maturation, respectively. Decay ratio was increased to 18.75% after 90 days' storage, and after then it was increased rapidly. Weight loss was increased gradually to 24.5% during long-term storage. Firmness with 2 mm probe were decreased from 538.9 g-force to 336.9 g-force gradually during storage. Peel moisture was decreased from 75.8% to 72.6%, and flesh moisture was also decreased gradually from 90.3% to 88.3% during storage. Exopoly-galacturonase activity of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from 326.0 units/100 g to 534.9 units/100 g, and from 63.1 units/100 g to 81.0 units/100 g at 90 day's storage, respectively. After then, He enzyme activities were decreased from 394.0 units/100 g and 38.0 units/100 g, respectively. Pectinesterase activity of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from $14.4\;{\mu}mol$ to $38.8{\mu}mol$, and from $26.0{\mu}mol$ to $39.0{\mu}mol$ at 60 days' storage, respectively. After then, the enzyme activities were decreased to $6.0{\mu}mol$ and $8.2{\mu}mol$, respectively.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Marc. var. miyagawa) was stored at $3^{\circ}C$ and 85% relative humidity, and then the changes of firmness, pectin- degrading enzymes activity and oth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fruits during storage were investigated. Firmness of fruits with 2 m probe was decreased quickly from 1,176.8 g-force to 503.6 g-force, and moisture of peel and flesh were decreased from 75.3% to 74.9%, and from 91.8% to 90.7% during maturation, respectively. Decay ratio was increased to 18.75% after 90 days' storage, and after then it was increased rapidly. Weight loss was increased gradually to 24.5% during long-term storage. Firmness with 2 mm probe were decreased from 538.9 g-force to 336.9 g-force gradually during storage. Peel moisture was decreased from 75.8% to 72.6%, and flesh moisture was also decreased gradually from 90.3% to 88.3% during storage. Exopoly-galacturonase activity of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from 326.0 units/100 g to 534.9 units/100 g, and from 63.1 units/100 g to 81.0 units/100 g at 90 day's storage, respectively. After then, He enzyme activities were decreased from 394.0 units/100 g and 38.0 units/100 g, respectively. Pectinesterase activity of peel and flesh were increased from $14.4\;{\mu}mol$ to $38.8{\mu}mol$, and from $26.0{\mu}mol$ to $39.0{\mu}mol$ at 60 days' storage, respectively. After then, the enzyme activities were decreased to $6.0{\mu}mol$ and $8.2{\mu}mol$, respectivel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감귤에 함유되어 있는 펙틴분해효소들이 성숙과 저장 중에 일어나는 연화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온주밀감의 경도, 펙틴분해효소의 활성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제안 방법
miyagawa)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감귤을 인다센(유효성분 4-chlorophenyl-butylnitrile 1.5%와 ethylene bis dithiocarbamate 65%) 1, 300배(유효농도 기준0.05%) 용액에 2 분간 침지 처리한 다음 풍건하였다. 결점과를 선별한 후 감귤을 용량이 26 L인 플라스틱 컨테이너에 약 12 kg씩 넣고, 저온저장고에 입고하기 전에 30℃에서 24시간 저장 전 처리를 하였다.
과즙의 가용성 고형물은 Abbe굴절계 (RA-510, Kyoto Electronic, Japan)로 측정하였으며, 과즙의 pH는 pH meter(Orion 310, USA), 산 함량은 0.1 N NaOH 용액으로 적정하여 정량한 다음 구연산으로 환산하였다.4) 총산 함량과 당도와의 관계를 당산비(Brix/acid ratio)로 나타내었다.
30℃에서 30분 동안에 1μmol의 환원당을 생성하는 효소량을 1 units. 하였으며, 다음식에 의해 효소 활성을 계산하 였다.
Pectinmethylesterase(PEase)의 활성 즉정은 허 등7)의 titrimetric assay법을 수정한 방법으로 하였다. 즉, 0.
과실의 중량 감소는 반복당 10개의 과실을 선정하여 각각의 중량을 15일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초기의 중량에서 매회 측정된 중량을 뺀 수치를 초기 중량에 대한 총 감소 중량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저장용 감귤 시료는 제주도 남원읍 한남리에서 1999년 11월에 생산된 55mm~70mm인 중간 크기의 궁천조생(Cimis unshiu Marc. var. miyagawa)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감귤을 인다센(유효성분 4-chlorophenyl-butylnitrile 1.
결점과를 선별한 후 감귤을 용량이 26 L인 플라스틱 컨테이너에 약 12 kg씩 넣고, 저온저장고에 입고하기 전에 30℃에서 24시간 저장 전 처리를 하였다. 내부 공간이 160×190×235 cm인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의 저온저장고에서 저장 중 내부 온도를 3±0.5℃, 분사식 노즐로 상대습도를 85±5%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분석 시료는 12월부터 5월까지 저장하면서 15일 간격으로 반복'처리구마다 감귤을 각각 4~5개씩을 선정하여 일부분씩을 고루 취하여 혼합한 다음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5℃, 분사식 노즐로 상대습도를 85±5%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분석 시료는 12월부터 5월까지 저장하면서 15일 간격으로 반복'처리구마다 감귤을 각각 4~5개씩을 선정하여 일부분씩을 고루 취하여 혼합한 다음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과실의 경도는 직경이 각각 2 mm probe가 부착된 texture analyzer(IA-XT2, UK)를 사용하여 중간부위의 경도를 측정한 후,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과피율은 조사 시기별로 과피와 과육을 분리한 다음 각각의 중량을 측정하여 과실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수분 함량은 각 시료를 일정량 취하여 105℃ 건조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론/모형
과피율은 조사 시기별로 과피와 과육을 분리한 다음 각각의 중량을 측정하여 과실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수분 함량은 각 시료를 일정량 취하여 105℃ 건조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4) 총산 함량과 당도와의 관계를 당산비(Brix/acid ratio)로 나타내었다. 총당은 과육을 homogenizer로 분쇄한 다음 0.7 N HC1 로 가수분해한 용액을 0.7 N NaOH로 중화한 다음 정용한 후 여과한 여액을 Somogyi-Nelson 방법5)으로 정량하였다. 비타민C는 시료 10g를 5% metaphosphoric acid 50ml를 가한 후 마쇄하여 감압여과하고 찌꺼기는 소량의 물로 세척하여 추가로 추출한 후 100 m2로 한 다음 2, 4- dinitrophenyl hydrazine 비색법6)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7 N NaOH로 중화한 다음 정용한 후 여과한 여액을 Somogyi-Nelson 방법5)으로 정량하였다. 비타민C는 시료 10g를 5% metaphosphoric acid 50ml를 가한 후 마쇄하여 감압여과하고 찌꺼기는 소량의 물로 세척하여 추가로 추출한 후 100 m2로 한 다음 2, 4- dinitrophenyl hydrazine 비색법6)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효소의 추출은 손 등1)이 행한 방법에 따라 시료 200 g에 증류수 400mZ를 가하여 균질화한 다음 여기에 1M이 되도록 NaCl를 가하고 pH 6으로 맞추어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mimcloth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에 85% (NH4)SO4로 염석하여 원심분리하고, 침전물을 0.
Exo-polygalacturonase의 활성 측정은 손 등1)의 방법에 준하였다. 즉, 효소 반응은 1% PGase 용액 200㎕와 증류수 100㎕의 혼합액에 효소액 100 ㎕를 가하여 3UC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100 mM borate 용액 2 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성능/효과
1) 식물조직 내에는 polygalacturonase(PGase)와 pectinmethylesterase(PEase)가 있다. PGase는 유리카르복 시기가 존재하는 펙틴 물질을 분해하여 직접적으로 식물조직을 연화시키는 것으로, 이 효소는 펙틴 중의 메톡 시기를 분리시켜 유리 카르 복시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식물조직의 연화를 방지하려면 PGase의 작용을 억제시키고 PE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펙틴이 Ca+2 이온과 cross-linkage를 형성시켜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과일의 연화에 관여하는 효소에는 PGase, PEase, cellulase, glycosidase 등이 있으며, 이들 효소는 과일의 성숙과 후숙하는 동안에 활성이 증가한다. 특히 PGase는 세포벽 중 middle lamella의 구성 성분인 펙틴질을 분해시켜 유리시킴으로써 불용성 펙틴질은 감소하고 가용성 펙틴질이 증가하게되며, 이 때 세포벽의 middle lamella가 용해되어 연화를 촉진한다.
1 N NaOH 용액으로 적정하여 정량한 다음 구연산으로 환산하였다.4) 총산 함량과 당도와의 관계를 당산비(Brix/acid ratio)로 나타내었다. 총당은 과육을 homogenizer로 분쇄한 다음 0.
7%로 약간 감소하였다. 그리고 저장 감귤에서는 저장용 감귤의 저장전 처리로 인하여 초기에 과피에서 감소되었던 수분은 저장기간에 따라 과피와 과육의 수분 함량이 각각 75.8%에서 72.6%까지로, 90.3%에서 88.3%까지로 약간 감소하였다. 감귤은 수확 후에도 계속되는 호흡 작용으로 내용 성분의 변화와 더불어 과육에서부터 과피로 수분이 이동되고, 표면에서의 수분 증발이 일어나 저장기간 중 중량 감소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숙과에서 PEase의 출현과 높은 활성은 연화와 관련이 없는 다른 세포벽 대사에 관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3) PEase는 세포벽의 pcilygalacturonan의 methoxyl기를 제거하쪅PGase의 작용을 쉽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불용성 pectin철이 가용성pextin질로 전환되며, 가용성pectin질에는 중성 단당류의 비율이 낮 타고 하였다.3) PGase의 활성은 미추교에서 매우 낮거나 서희나타나지 않으나, 과일의.성숙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연화되는 시기 동안에 가장 높게 나타난다.
6은 감귤의 저장 중 연화에 영향을 미치는 셰포벽 분해 효조인 exo-polygalacturonase 활성변화를 다 타내었다. exo-polygalacturonase 활성은 과피에서 326.0units/100g에서 저장 90일에 534.9units/100g까지로, 과육에서 63.1units/100g에서 81.0 units/100 g까지로 각각 증캬흘하다가 저장 후 150일에는 394.0 Units/100 g과 38.0units/100 g으로 급속히 감소하였다. 조생 온 주밀감의 경우 저장 90일까지 효소 활성이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미루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은 90일 정도가 알맞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0units/100 g으로 급속히 감소하였다. 조생 온 주밀감의 경우 저장 90일까지 효소 활성이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미루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은 90일 정도가 알맞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후속연구
이에 따라 제주감귤산업은 감귤의 생산량 증가에 비하여 소비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아, 물량 조절을 위한 저장, 가공, 유통 등 생산에서 소비까지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체제로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소비자의 기호에 알맞은 감귤을 장기간 공급함으로써 물량조절을 이룰 수 있는 저온저장 기술의 확립과 실용화는 더욱 시급한 일이 될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