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흉복부 대동맥류는 질환 자체가 광범위하고 수술 중 척수를 포함한 각종 장기의 보호 및 허혈 방지라는 면에서 아직도 수술 합병증이 높은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치료성적, 합병증 발생, 사망률 등을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흉복부동맥류로 수술을 시행한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검토을 통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남자가 22명, 여자가 16명, 평륜 연령은 46.2$\pm$12.3세였고, 크로포드 진단분류 상 1형 이 13례(34.2%), 2형이 19례(50%), 3형이 4례(11%), 4형이 2례(4.8%)였다. 만성 대동맥박리증에 관련된 경우가 29례(76.3%)로 가장 많았고, Marfan 증후군이 동반된 경우가 9례(23.7%)에서 있었다. 원위부 대동맥 관류를 35례에서 시행하였으며, 고동맥-고정맥 심폐바이패스를 31례에서, 좌심방-고동맥 바이패스를 4례에서 시행하였다.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한 31례중 4례에서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를 이용하였다. 대동맥 차단 중 복강내 주요 대동맥 분지로의 선택적 관류를 시행하였다. 대동맥류의 최대직경은 평균 8.2$\pm$2.4cm이었고, 동맥류가 파열된 경우는 11례(28.9%)에서 있었다. 전례에서 인조혈관을 이용한 대동맥의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단계적으로 흉복부 대동맥을 겸자하면서 인공혈관을 문합하였고, Adamkiewicz 동맥으로 생각되는 부위의 늑간 동맥을 문합해주었는데, 8번째부터 12번째 흉추 사이의 늑간 동맥 중 역류혈류가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것들을 문합해 주었다. 술 후 조기사망은 3례에서 있었으며, 사인은 심폐기 이탈 실패 (2례), 저혈압 및 산증(1례) 등이었다. 조기 합병증으로는 애성 5례, 출혈 5례, 창상간염 3례, 장기간의 인공호흡기보조가 3례 등이 있었다. 치명적인 조기 합병증인 하지마비는 2례(5.3%)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례는 대동맥의 심한 석회화로 늑간동맥을 문합해 주지 못했던 경우였다. 35명의 환자에서 평균 추적기간은 103.1$\pm$6.1 개월, 2년 생존율은 93.8%, 5년 생존율은 86.1%, 8년 생존율은 80.7%였다. 추척기간 동안 4례의 만기사망이 관찰되었고, 사인은 2례에서는 갑작스런 의식소실이 발생하여 규명하기 어려웠으며, 대동맥-식도루 발생에 의한 경우가 1례, 경동맥류 파열에 의한 경우가 1례 등이었다. 만기 합병증으로는 복부 대동맥류(2례), 상행 대동맥 및 대동맥 근부 확장(1례), 대동맥-늑막루(1례), 창상 부위 탈장(1례), 역행성 사정(1례) 등이 있었다. 결론: 저자들은 흉복부대동맥류의 수술에 있어 심폐우 회술 혹은 좌심방-고동맥 바이패스를 통한 원위부 관류 및 저체온법, 수술 시 척수의 혈류공급과 관련된 늑간동맥의 연결 등으로 주요 신경합병증의 발생을 줄이고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향후 임상 경험 축적과 함께 보다 정련된 위험인자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3명의 환자에서 좌측 흉복부 절개(left thoracoabdominal incision)# 시행하였으며, 2례에서는 복부 중앙 절개를, 1례 에서는 좌즉 후즉방 융곽 절개(left posterolateral thoracotomy incision)를 시행하였다. 좌측 후측방 흉곽 절개를 이용하여 흉부 대동맥 치환을 시행하고 1달 후 다시 복부 중앙 절개를흉복부 대동맥 전장을 치환한 경우가 14례였고, 이 중 6례 에서 Y-형 인공혈관을 이용하여 양측 총장골동맥까지 치환 하였다<aortobiiliac bypass graft).
  • 대동맥 늑막루는 최초 수술 후 4년이 지나 발생한 객혈로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 후 발견되었고, 수술 소견 상 흉부대동맥의 치환부위 중 하 부 흉추부위의 늑간 동맥 문합 부분에 가성 동맥류가 생겼 고 이것이 폐의 좌하엽과 대동맥-늑막루를 형성하고 있었다. 가성 동맥류를 절제하고 늑막루를 형성하고 있는 좌하엽의 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상기 4명의 환자는 재수술 후 모두 건강한 상태로 지내고 있다.
  • 1998년 이후로는 경식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정맥 캐뉼 라가 우심방에 올바로 위치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고정맥 캐뉼라만으로 충분한 관류를 유지할 수 없었던 경우 폐동맥 에 캐뉼라를 추가로 삽입하였고 고정맥 캐뉼라의 삽입이 원 활치 않았던 경우에 폐동맥(혹은 폐동맥과 우심방)에 캐뉼라 를 삽입하였다. 통상적인 심폐바이패스의 경우 심부 냉각법 (core cooling과 체표면 냉각법(surface cooling)을 함께 이용하였다.
  • 하부 흉추부위의 늑간 동맥 문합을 시행하고 문합 원위부에서 다시 대동맥을 겸자하고, 복부 말단 대동맥 (terminal aorta)을 겸자 후 celiac axis, 상장간막 동맥, 양측 신 동맥으로 선택적 관류(selective visceral perfusion)를 시행하였다. 단계적으로 흉복부 대동맥을 겸자하면서 인공혈관을 문 합하였고, Adamkiewicz 동맥으로 생각되는 부위의 늑간 동맥 을 문합해주었는데 T8-12사이의 늑간 동맥 중 역류혈류가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것들을 문합해 주었다. 늑간동 맥은 문합해야 할 부위의 대동맥이 상대적으로 정상크기에 가까운 경우는 대동맥을 비스듬히 절제하여 늑간동맥을 환자의 대동맥에 남겨두고 인조혈관을 비스듬히 잘라내어 문 합을 하였다.
  • 대동맥 겸자 시 원위부의 관류를 위하여 통상적인 심폐바 이패스, 좌심방-고동맥 바이패스 등을 시행하였는데, 통상적 심폐바이패스의 경우 동맥 캐뉼라는 고동맥에 정맥 캐뉼라는 고정맥, 폐동맥, 우심방 등에 삽입하였다. 상행대동맥과 대동맥궁의 대동맥류가 합병된 경우에는 고동맥-양공정맥 바이패스 및 전신순환정지를 이용하였으며 , 복부대동맥만을 치환한 경우에서는 특별한 바이패스 기법은 이용하지 않았다.
  • 0) 분이었다. 상행대동맥, 대동맥궁, 흉부대동 맥에 모두 동맥류가 있었던 1례의 경우는 고동맥-양공정맥 바이패스(femorobicaval bypass)를 시행하였으며 완전순환정지 하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 5 cm 으로 계속 추적 중에 있다. 상행대동맥류(최대 직경 7 cm) 및 대동맥 근부 확장이 생긴 41세 여자 환자에서 흉복부 대동맥류 수술 후 50개월 째에 벤탈씨 수술을 시행하였다. 대동맥 늑막루는 최초 수술 후 4년이 지나 발생한 객혈로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 후 발견되었고, 수술 소견 상 흉부대동맥의 치환부위 중 하 부 흉추부위의 늑간 동맥 문합 부분에 가성 동맥류가 생겼 고 이것이 폐의 좌하엽과 대동맥-늑막루를 형성하고 있었다.
  • 원위부 대동맥 관류를 총 35례에서 시행하였으며 이 중 고 동맥-고정맥(혹은 폐동맥)을 통한 부분 심폐바이패스를 31 례에서 시행하여 가장 많이 시행한 관류법이었으며, 좌심방- 고동맥 바이패스를 4례에서 시행하였다. 초저체온하 전신순 환정지는 모두 4례에서 시행되었는데, 모두 고동맥-고정맥 바이패스를 시행 중 대동맥 겸자가 불가능하여 직장체온을 약 20℃까지 낮춘 후 순환정지 하에서 대동맥 치환을 한 경 우였다.
  • 수 술시 대동맥 겸자 원위부 관류를 시행하는 것이 단순 겸자 를 통해 수술을 시행하는 것보다 수술 사망률과 합병증 발 생, 그 중에서도 하지 마비 발생률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하며하지 마비를 비롯한 술 후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저체온법, 좌심방-고동맥 우회로 형성, 완전순환정지, 뇌척수액 배액 등이 꾸준히 시행 또는 시도되고 있다. 저자 들은 흉복부 대동맥류의 수술 성적, 합병증 발생, 사망률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 좌즉 폐를 허탈시키기 위하여 double lumen endotracheal tube를 삽관하였으며, 체표면 냉각을 위하여 냉 각담요(blanketrol)를 수술대에 위치시켰다. 좌측 흉복부 절개 를 시행하고 5번째 혹은 6번째 늑골을 절제한 후 늑막강으로 접근하였으며 횡격막은 중앙부위의 건(tendon) 부위를 피하 면서 방사형으로 절개하여 대동맥으로 접근하였다. 흉복부 절개 후 수술 시야 확보를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자가 견인 기(self-retractor)를 위치시킨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 4번째 환자는 39세 남자환자로 수술 후 문제없이 지내다가 술 후 81개월 째에 갑작스런 의식소실로 사망하였다(Table 4). 총 35 명의 환자에서 추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추적 기 간 중 1년에 한번씩 흉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대 동맥의 크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평균 추적기간은 103.
  • 입원 당시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으며 수술 후 추적은 의무기록과 외래 내원 기록(서울대병원 임상연구 데이타베이스)에 의존하였다. 추적이 중단되거나 확인이 안된 경우는 주소지 혹은 주민등록 번호 등을 이용한 추적 을 통하여 환자 혹은 보호자와 직접 연락하여 결과를 도출 하였다.
  • 흉복부 절개 후 수술 시야 확보를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자가 견인 기(self-retractor)를 위치시킨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통상적인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좌측 고동맥에 동맥캐뉼라 를, 좌측 고정맥에 정맥캐뉼라를 삽입하였고 45cm 길이의 고정맥 캐뉼라를 삽입하여 우심방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98년 이후로는 경식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정맥 캐뉼 라가 우심방에 올바로 위치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 상행대동맥과 대동맥궁의 대동맥류가 합병된 경우에는 고동맥-양공정맥 바이패스 및 전신순환정지를 이용하였으며 , 복부대동맥만을 치환한 경우에서는 특별한 바이패스 기법은 이용하지 않았다. 통상적인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한 경우 심폐기 가동 후 직장 체온을 32℃정도로 내려 심장 박동이 유지되도록 하였 으며 흉부대동맥의 최근위부(most proximal portion)와 중간부 위를 각각 겸자 후 인공도관을 이용한 근위부 혈관 문합을 시행하고 단계적으로 복부 대동맥 쪽으로 내려가면서 문합 을 시행하였다. 하부 흉추부위의 늑간 동맥 문합을 시행하고 문합 원위부에서 다시 대동맥을 겸자하고, 복부 말단 대동맥 (terminal aorta)을 겸자 후 celiac axis, 상장간막 동맥, 양측 신 동맥으로 선택적 관류(selective visceral perfusion)를 시행하였다.
  • 통상적인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한 경우 심폐기 가동 후 직장 체온을 32℃정도로 내려 심장 박동이 유지되도록 하였 으며 흉부대동맥의 최근위부(most proximal portion)와 중간부 위를 각각 겸자 후 인공도관을 이용한 근위부 혈관 문합을 시행하고 단계적으로 복부 대동맥 쪽으로 내려가면서 문합 을 시행하였다. 하부 흉추부위의 늑간 동맥 문합을 시행하고 문합 원위부에서 다시 대동맥을 겸자하고, 복부 말단 대동맥 (terminal aorta)을 겸자 후 celiac axis, 상장간막 동맥, 양측 신 동맥으로 선택적 관류(selective visceral perfusion)를 시행하였다. 단계적으로 흉복부 대동맥을 겸자하면서 인공혈관을 문 합하였고, Adamkiewicz 동맥으로 생각되는 부위의 늑간 동맥 을 문합해주었는데 T8-12사이의 늑간 동맥 중 역류혈류가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것들을 문합해 주었다.
  • 하지마비는 모두 수술 직 후에 나타났으며, 1례에서는 하부 흉추 부위의 늑간동맥을 문합하였으나 하지마비가 나타났으며 나머지 1례의 경우는 대동맥이 전체적으로 심한 석회화 양상을 보였으며 하부 흉 추부위의 늑간 동맥을 문합하기 위하여 석회화된 내막을 절 제하고 늑간 동맥의 박리를 시도하였지만 문합할 수 있는 늑간 동맥을 찾지 못하여 문합을 못한 경우였다. 하지마비가 발생한 두 명 모두 Crawford 제 2 형 흉복부 대동맥류를 가지고 있었으며 고동맥-고정맥 삽관을 통한 부분 심폐바이패 스를 이용하였다.
  • 좌측 흉복부 절개 를 시행하고 5번째 혹은 6번째 늑골을 절제한 후 늑막강으로 접근하였으며 횡격막은 중앙부위의 건(tendon) 부위를 피하 면서 방사형으로 절개하여 대동맥으로 접근하였다. 흉복부 절개 후 수술 시야 확보를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자가 견인 기(self-retractor)를 위치시킨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통상적인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좌측 고동맥에 동맥캐뉼라 를, 좌측 고정맥에 정맥캐뉼라를 삽입하였고 45cm 길이의 고정맥 캐뉼라를 삽입하여 우심방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 데이터

  • 1990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저자들의 병원에서 흉복 부 대동맥류로 수술을 시행한 3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입원 당시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으며 수술 후 추적은 의무기록과 외래 내원 기록(서울대병원 임상연구 데이타베이스)에 의존하였다.
  • 첫 번째 환자는 48세 여자로서 수술 직후 하지마비가 발생하여 재활치료 를 꾸준히 받아오던 환자로 술 후 19개월 째에 갑작스런 의 식소실로 응급실에 사망상태로 도착한 경우였으며, 두 번째 환자는 39세 남자로서 수술 29개월 후에 좌측 경동맥의 가성 동맥류가 발생하였고 이의 파열로 의심되는 갑작스런 객혈 로 사망하였으며, 3번째 환자는 40세 남자로서 수술 후 4개 월 째에 대동맥-식도루가 발생하여 심한 출혈로 사망하였다. 4번째 환자는 39세 남자환자로 수술 후 문제없이 지내다가 술 후 81개월 째에 갑작스런 의식소실로 사망하였다(Table 4). 총 35 명의 환자에서 추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추적 기 간 중 1년에 한번씩 흉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대 동맥의 크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 사망환자 3명을 제외한 35명의 환자를 외래진료를 통하여 추적하였으며 이 중 4명의 만기 사망이 있었다. 첫 번째 환자는 48세 여자로서 수술 직후 하지마비가 발생하여 재활치료 를 꾸준히 받아오던 환자로 술 후 19개월 째에 갑작스런 의 식소실로 응급실에 사망상태로 도착한 경우였으며, 두 번째 환자는 39세 남자로서 수술 29개월 후에 좌측 경동맥의 가성 동맥류가 발생하였고 이의 파열로 의심되는 갑작스런 객혈 로 사망하였으며, 3번째 환자는 40세 남자로서 수술 후 4개 월 째에 대동맥-식도루가 발생하여 심한 출혈로 사망하였다.
  • 사망환자 3명을 제외한 35명의 환자를 외래진료를 통하여 추적하였으며 이 중 4명의 만기 사망이 있었다. 첫 번째 환자는 48세 여자로서 수술 직후 하지마비가 발생하여 재활치료 를 꾸준히 받아오던 환자로 술 후 19개월 째에 갑작스런 의 식소실로 응급실에 사망상태로 도착한 경우였으며, 두 번째 환자는 39세 남자로서 수술 29개월 후에 좌측 경동맥의 가성 동맥류가 발생하였고 이의 파열로 의심되는 갑작스런 객혈 로 사망하였으며, 3번째 환자는 40세 남자로서 수술 후 4개 월 째에 대동맥-식도루가 발생하여 심한 출혈로 사망하였다. 4번째 환자는 39세 남자환자로 수술 후 문제없이 지내다가 술 후 81개월 째에 갑작스런 의식소실로 사망하였다(Table 4).
  • 수술관련 사망은 3례에서 있었다. 첫 번째는 51세 남자 환 자로, 만성 대동맥 박리로 인한 흉복부 대동맥류로 6년 전에 상행대동맥을 치환한 병력이 있었는데, 좌측 쇄골하 동맥 직하부에서 신동맥까지 대동맥치환을 시행하였으며 심폐기 이 탈이 되지 않아 사망한 경우이고, 두 번째는 53세 남자환자 로서 역시 만성대동맥 박리에 의한 흉복부 대동맥류였으며 좌측 쇄골하 동맥에서 celiac axis까지 대동맥 치환을 시행하 였으나 역시 심폐기 이탈에 실패하여 사망하였고, 세 번째 환자는 73세 남자환자로서 흉부대동맥(T6 level)에서 celiac axis직하부까지 대동맥 치환을 시행하고 별문제 없이 일반 병실로 전원되었으나, 술 후 8일째에 나타난 갑작스런 저혈 압과 대사성 산증으로 사망한 경우였다(Table 4). 합병증으로는 하지 마비가 2례 있었으며, 그 외에 애성이 5례, 출혈이 5례, 장기간 인공호흡기 보조가 3례, 창상 감염이 3례 , 유미 흉이 2례에서 발생하였다(Table 5).

데이터처리

  • 모든 연속변수는 평균 및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범주 형 자료분석을 위해 Chi-square test를, 생존율 산출을 위해 Kaplan-Meier method를 이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통 계패키지(Release 10.

이론/모형

  • 통상적인 심폐바이패스의 경우 심부 냉각법 (core cooling과 체표면 냉각법(surface cooling)을 함께 이용하였다. 좌심방-고동맥 바이패스를 이용한 경우는 원심성 펌프 (centrifugal pump)를 이용하였으며 체온조절은 체표면 냉각법 을 이용하였다.
  • 고정맥 캐뉼라만으로 충분한 관류를 유지할 수 없었던 경우 폐동맥 에 캐뉼라를 추가로 삽입하였고 고정맥 캐뉼라의 삽입이 원 활치 않았던 경우에 폐동맥(혹은 폐동맥과 우심방)에 캐뉼라 를 삽입하였다. 통상적인 심폐바이패스의 경우 심부 냉각법 (core cooling과 체표면 냉각법(surface cooling)을 함께 이용하였다. 좌심방-고동맥 바이패스를 이용한 경우는 원심성 펌프 (centrifugal pump)를 이용하였으며 체온조절은 체표면 냉각법 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