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화의 항산화 활성 및 ascorbic acid(vitamin C)와 ${\beta}-carotene$ (provitamin A)의 부위별 및 채취시기별 함량분포를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에서는 뿌리 $(RC_{50}\;=\;0.5{\mu}g/ml$이하)와 줄기 $(RC_{50}\;=\;0.5{\mu}g/ml)$부분이 특히 강하였으며 부위별로 보면 뿌리, 줄기, 잎, 열매 순으로 나타났고, 부위별 ascorbic acid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11월에 채취한 시료의 경우 잎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열매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해당화는 약 4.2배로 매우 높은 함량임을 알 수 있다. 해당화는 11월에 채취한 것이 9월에 채취한 것보다 약 $1.59\;{\sim}\;1.77$배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위별 ${\beta}-carotene$의 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열매, 잎 순으로 함량이 낮아짐을 알 수 있으며, 11월에 채취한 해당화 열매의 f-carotene 함량이 높았고, 줄기와 뿌리에서는 ${\beta}-carotene$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ether extract량으로 볼 때 carotene 이외의 성분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었다. 잎의 ${\beta}-carotene$ 함량은 해당화의 경우는 9월에 채취한 것이 11월에 채취 한 것보다 약간 높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해당화에는 ${\beta}-carotene$이나 비타민 C 같은 항산화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앞으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해당화의 항산화 활성 및 ascorbic acid(vitamin C)와 ${\beta}-carotene$ (provitamin A)의 부위별 및 채취시기별 함량분포를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에서는 뿌리 $(RC_{50}\;=\;0.5{\mu}g/ml$이하)와 줄기 $(RC_{50}\;=\;0.5{\mu}g/ml)$부분이 특히 강하였으며 부위별로 보면 뿌리, 줄기, 잎, 열매 순으로 나타났고, 부위별 ascorbic acid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11월에 채취한 시료의 경우 잎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열매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해당화는 약 4.2배로 매우 높은 함량임을 알 수 있다. 해당화는 11월에 채취한 것이 9월에 채취한 것보다 약 $1.59\;{\sim}\;1.77$배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위별 ${\beta}-carotene$의 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열매, 잎 순으로 함량이 낮아짐을 알 수 있으며, 11월에 채취한 해당화 열매의 f-carotene 함량이 높았고, 줄기와 뿌리에서는 ${\beta}-carotene$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ether extract량으로 볼 때 carotene 이외의 성분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었다. 잎의 ${\beta}-carotene$ 함량은 해당화의 경우는 9월에 채취한 것이 11월에 채취 한 것보다 약간 높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해당화에는 ${\beta}-carotene$이나 비타민 C 같은 항산화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앞으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Vitamin contents in different plant parts and harvesting time of Rosa rugosa Thunb were determined. Among the plants parts analys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art was root $(below\;0.5\;{\mu}g/ml)$,...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Vitamin contents in different plant parts and harvesting time of Rosa rugosa Thunb were determined. Among the plants parts analys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art was root $(below\;0.5\;{\mu}g/ml)$, leaf contained the highest ascorbic acid content of 2999.6 mg/100g. Fruit contained ascorbic acid (713.6 mg/ 100g) 4.2 times less than leaf. Vitamin contents in leaf parts also differed depanding on harvesting time. Vitamin content in leaf harvested in November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September.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total ${\beta}-carotene$ in leaf showed lower contents than that in fruit.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Vitamin contents in different plant parts and harvesting time of Rosa rugosa Thunb were determined. Among the plants parts analys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art was root $(below\;0.5\;{\mu}g/ml)$, leaf contained the highest ascorbic acid content of 2999.6 mg/100g. Fruit contained ascorbic acid (713.6 mg/ 100g) 4.2 times less than leaf. Vitamin contents in leaf parts also differed depanding on harvesting time. Vitamin content in leaf harvested in November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September.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total ${\beta}-carotene$ in leaf showed lower contents than that in frui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실험은 해당화의 항산화활성을 조사하고 항산화물질 인 ascorbic acid (vitamin C) 와 β-carotene (provitamin A) 의 부위 별 및 채취 시 기별 함량분포를 조사하는데 목적 이 있다.
제안 방법
, 1975) 등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건조 분말화한 식물부위를 6% HPQj를 소량씩 가하여 mortar에서 균일하게 마쇄, 추출하고 용매를 추가하여 ascorbic acid의 농도가 1-7 mg/100ml가 되도록 조절하고 정치한 다음, 투명한 상등액 10ul를 취하여 HPLC column에 주입하고 Table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pBondapak Cis reverse-phase column(22cm X 4. 6mm), 이 동상으로 tetrabutylammonium hydroxide가 함유된 MeOH-H2O(l : 1) 용액 을 사용하여 HPLC를 실시하여 chromatogram을 얻고 따로 ascorbic acid 표준물질로부터 얻어진 표준검량선의 회귀직선에 대입하여 ascorbic acid 함량을 구하였다.
, 1970) 등의 방법 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즉, Scheme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 료분말 10 g을 ethylether 150 ml씩으로 3회 주출하고 추출물을 합하여 건조한 다음 그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 ether 추출물은 다시 n-hexane으로 용출한 다음 preparative TLC를 7회 실시 하여 분획하고 β-carotene band를 n-hexane으로 추출 일정용량으로 한다음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따로 β-carotene 표준물질 각 변량을 동일조작을 실시하여 얻은 표준검량선에 대입하여 F-carotene함량을 구하였다.
즉, Scheme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 료분말 10 g을 ethylether 150 ml씩으로 3회 주출하고 추출물을 합하여 건조한 다음 그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 ether 추출물은 다시 n-hexane으로 용출한 다음 preparative TLC를 7회 실시 하여 분획하고 β-carotene band를 n-hexane으로 추출 일정용량으로 한다음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따로 β-carotene 표준물질 각 변량을 동일조작을 실시하여 얻은 표준검량선에 대입하여 F-carotene함량을 구하였다.
해당화의 항산화 활성 및 ascorbic acid (vitamin C) 와 β-carotene (provitamin A) 의 부위별 및 채취시 기별 함량분포를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 에서는 뿌리 (RCs = 0.
이론/모형
항산화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유라디칼인 (free radical)인 1, 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 1 -diphenyl-2-picrylhydrazyl, DPPH)을 사용하여 최 (Choi et al., 1993) 등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Ascorbic acid의 추출 및 정량은 Sood (Sood et al., 1976) Wittmer (Wittmer et al., 1975) 등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건조 분말화한 식물부위를 6% HPQj를 소량씩 가하여 mortar에서 균일하게 마쇄, 추출하고 용매를 추가하여 ascorbic acid의 농도가 1-7 mg/100ml가 되도록 조절하고 정치한 다음, 투명한 상등액 10ul를 취하여 HPLC column에 주입하고 Table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pBondapak Cis reverse-phase column(22cm X 4.
"arotene의 추출 및 정 량은 Sweeney (Sweeney et al., 1971 ; Sweeney et al., 1970) 등의 방법 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즉, Scheme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 료분말 10 g을 ethylether 150 ml씩으로 3회 주출하고 추출물을 합하여 건조한 다음 그 무게를 측정하였다.
성능/효과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활성 실험을 한 결과 해당화 부위별 항산화활성을 보면 뿌리, 줄기, 잎, 열매 순으로 나타났으며, 뿌리는 RC50이 0.5ug/ml이하로 매우 강하였고 줄기부분도 RC50이 0.5ug/ml로 강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데이터를 넣지는 않았지만 생열귀의 항산화활성과 비교해보면 생열귀는 뿌리 (0.
5ug/ml로 강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데이터를 넣지는 않았지만 생열귀의 항산화활성과 비교해보면 생열귀는 뿌리 (0. 5 ug/ml 이하) , 줄기 (0. 5 ug/ml 이하) , 열매 (12 ug/ ml), 잎(10 ug/ml)으로 해당화가 생열귀보다 항산화활성이 좋게 나타났다.
이때 ascorbic acid의 함량은 표준ascorbic acid가 HPLC 상에 나타내는 ascorbic acid와 그 이성체 isoascorbic acid의 합인 total ascorbic acid로 하여 산출하였다. 해당화의 부위별 ascorbic acid 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잎, 열매, 줄기 및 뿌리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11월에 채취한 시료의 경우 잎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 해당화는 3.0%를 나타내었다. 이는 열매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해당화는 약 4.
잎의 β-carotene 함량은 해당화의 경우는 9월에 채취한 것이 11월에 채취한 것보다 약간 높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해당화 열매의 함량이 높아서 기능성 식품 개발 원료로서 응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항산화활성 에서는 뿌리 (RCs = 0.5 ug/ml이하) 와 줄기 (RC50= 0. 5ug/ml)부분이 특히 강하였으며 부위별로 보면 뿌리, 줄기, 잎, 열매 순으로 나타났고, 부위별 ascorbic acid 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11월에 채취한 시료의 경우 잎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열매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해당화는 약4.
2배로 매우 높은 함량임을 알 수 있다. 해당화는 11월에 채취한 것이 9월에 채취한 것보다 약 1. 59 ~ 1.77배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위별 β-carotene의 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열매, 잎 순으로 함량이 낮아짐을 알 수 있으며, 11월에 채취한 해당화 열매의 β-carotene 함량이 높았고, 줄기와 뿌리에서는 β-carotene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ether extract량으로 볼 때 β-carotene 이외의 성분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었다. 잎의 β-carotene 함량은 해당화의 경우는 9월에 채취한 것이 11월에 채취한 것보다 약간 높았다.
후속연구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해당화에는 β-carotene이나 비타민 C 같은 항산화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앞으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