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CM 결과를 이용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수문환경 분석
An Analysis of Hydrologic Changes in Daechung Dam Basin using GCM Simulation Results due to Global Warming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4 no.4, 2001년, pp.335 - 345  

안재현 ((주)건일엔지니어링 수자원부) ,  유철상 (고려대학교 환경공학과) ,  윤용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빈번해지고 잇는 기상이변들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 받고 잇는 지구온난화 현상이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CO_2$의 증가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한 대기대순환모형(GCM)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대청댐 상류 유역의 강수량과 기온 변화에 따른 토양함수비, 증발산, 유출량 등의 변화를 물수지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CO_2$배증에 따른 지구온난화 현상이 발생할 경우 강수량의 전반적인 증가 경향과 기온의 상승이 나타났으며, 잠재증발산량의 증가와 이로 인한 토양함수비의 감소 및 증발산량의 증가가 예측되었다. 또한, 대청댐 상류 유역의 유출량은 전반적으로 증가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유출량의 계절적 변화는 여름과 가을의 증가 및 겨울의 감소가 뚜렷할 것으로 분석되어 가뭄과 홍수의 발생 가능성이 현재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hydrological environment changes in Daechung Dam Basin due to the global warming. GCM simulation results are used to predict the possible changes i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The changes of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and runoff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측이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의 완공이 1980년 12월에 이루어졌고, 댐 유입량 자료가 1981년부터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1981T 999년의 기간에 대해 수문환경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지구온난화의 결과로 유발되는 강수량과 기온의 변화(GCM 결과에 근거해 추정한 변화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GCM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분석된 한반도의 강수량과 기온의 변화를 정량화 해야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수문 환경의 변화를 분석 및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에서의 기온변화, 강우, 토양수분 등의 기상 및 수문 특성을 CO2의 증가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한 대기대순환모형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빈번해지고 있는 기상이변들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 받고 있는 지구온난화 현상이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CO2의증가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한 대기대순환모형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본 연구의 대상 유역으로 선정된 대청댐 상류 유역의 강수량과 기온 변화에 따른 토양 함수비, 증발산 유출량 등의 변화를 물수지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 과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지구온난화에 의한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결과는 기본적으로 GCM의 모의결과에 기초하여 수행된 것이다. 따라서, 예측의 신뢰도는 GCM의 결과와 이를 분석한 모형이 가지는 물리적 과정의 정확성에 좌우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인식 (1994). '지구온난화와 동반된 한반도 기온변화의 시나리오 연구(1).'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0권, 제2호, pp. 247-260 

  2. 안재현, 유철상, 윤용남 (2001). '물수지 방정식을 이용한 대청댐 건설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 34권, 제3호, pp. 217-229 

  3. 오재호, 홍성걸 (1995). '대기중 $CO_2$ 증가에 따른 한반도 강수량 변화'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3호, pp. 143-157 

  4. 윤용남(1998). 공업수문학, 청문각, pp. 249-253 

  5. 윤용남, 이재수, 유철상, 안재현 (1999).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 연구, '99 학술 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65-168 

  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3a).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포지움 : II 해앙, 수문학 분야 기상청 

  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l993b).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포지움 : IV. 기후변화 예측 시나리오 기상청 

  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4).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 환경관련 대책 연구(I), 과학기술처 

  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5).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 환경관련 대책 연구(II), 과학 기술처 

  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스템공학연구소 (1993). 지구 환경 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연구(I), 환경부, 과학기술처 

  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스템공학연구소 (1994). 지구 환경 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연구(II), 환경부, 과학기술처 

  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스템공학연구소 (1995). 지구 환경 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연구(III), 환경부, 과학기술처 

  13. 한국수자원공사 (1992). 전국 하천조사서, 건설부 

  14. 日本 土木硏究所 (1996) 地球溫暖化が日本域における水文循環に及ばす影響の豫測に關する硏究報告書 

  15. Bras, R.L. (1990). Hydrology: An introduction to hydrologic science, Addison-Wesley, Mass 

  16.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990) Climate Change The IPCC Scientific Asses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7. Jager, J. and Ferguson, H.L. (1991). Climate Change: Science, Impacts and Policy, Proceeding of the Second World climate Confer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8. Kaczmarek, Z. (1990). On the sensitivity of runoff to climate change, Rep. No. WP-90-58, IIASA, Laxenburg, Austria 

  19. Manabe, S. and Wetherald, R.T. (1975). 'The effect of doubling $CO_2$ concentration on the climate of a general circulation model.' J Atmos. Sci., 32, pp. 3-15 

  20. Penman, H.L. (1948).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 Roy. Soc., London, 193, pp. 120-145 

  21. Rodriguez-Iturbe, I., Entekhabi, D. and Bras, R.L. (1991). 'Nonlinear dynamics of soil moisture at climate scales: 1. Stochastic analysis.' Water Resource Research, Vol. 27, No.8, pp. 1899-1906 

  22. Thomthwaite, C.W. (1948). 'An Approach Toward a Rational Classification of Climate.' Geograph: Rev., 38, pp. 55-94 

  23. Yates, D.N. and Strzepek, M. (1998). 'Modeling the Nile basin under climate change.' J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3, No.2, pp. 98-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