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라고 있는 귀화식물의 생활형, 원산지, 도입시기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현지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본 연구에서는 귀화식물이란 “우리나라 비토착종으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야생상태에서 스스로 번식하여 생존할수 있는 종”으로 정의(定議)하여 처리하였다. 2. 제주도에 자라는 귀화식물의 종류는 31과 111속 178종 10변종의 188종류로 조사 정리하였다. 과별로는 국화科 43種類(23%), 벼科 27種類(14%), 콩과 15種類(8%), 십자화과 15종류(8%)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원산지별로는 아메리카가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유럽 의 원산지인 종이 많았다. 3. 제주도의 귀화식물 188종류의 분포지를 파악하였는데, 이를 토대로 보면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종은 97종류이었고, 제도에만 분포하는 종은 37종류이었다. 4. 제주도의 귀화식물 원산지별로는 유럽64(35%) 종류이고, 아메리카지역 85(45%)종류, 아시아지역 19(10%)종류순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라고 있는 귀화식물의 생활형, 원산지, 도입시기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현지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본 연구에서는 귀화식물이란 “우리나라 비토착종으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야생상태에서 스스로 번식하여 생존할수 있는 종”으로 정의(定議)하여 처리하였다. 2. 제주도에 자라는 귀화식물의 종류는 31과 111속 178종 10변종의 188종류로 조사 정리하였다. 과별로는 국화科 43種類(23%), 벼科 27種類(14%), 콩과 15種類(8%), 십자화과 15종류(8%)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원산지별로는 아메리카가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유럽 의 원산지인 종이 많았다. 3. 제주도의 귀화식물 188종류의 분포지를 파악하였는데, 이를 토대로 보면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종은 97종류이었고, 제도에만 분포하는 종은 37종류이었다. 4. 제주도의 귀화식물 원산지별로는 유럽64(35%) 종류이고, 아메리카지역 85(45%)종류, 아시아지역 19(10%)종류순으로 나타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about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Jeiu Island. A field survey and flora lists of relevant literature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Definition of naturalized plants was determined in this study a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about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Jeiu Island. A field survey and flora lists of relevant literature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Definition of naturalized plants was determined in this study as “non-native species in Korea which have been introduced anthropologically or naturally and can reproduce and survive in wild habitats by themselves.” It wa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31 families, 111 genera, 188 taxa including 178 species, 10 varieties. Family Compositae and Gramineae covered 23% and 14% of naturalized plants, respectively.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188 taxa ; 97 taxa in the whole south Korea,39 taxa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15 taxa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and 37 taxa only in Jeju.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about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Jeiu Island. A field survey and flora lists of relevant literature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Definition of naturalized plants was determined in this study as “non-native species in Korea which have been introduced anthropologically or naturally and can reproduce and survive in wild habitats by themselves.” It wa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31 families, 111 genera, 188 taxa including 178 species, 10 varieties. Family Compositae and Gramineae covered 23% and 14% of naturalized plants, respectively.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188 taxa ; 97 taxa in the whole south Korea,39 taxa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15 taxa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and 37 taxa only in Jeju.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라고 있는 귀화식물의 생활형, 원산지, 도입 시기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현지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본 연구는 개항(開港, 1876) 이후에 들어온 新歸化植物 중에서 양과 김(1988)이 발표한 제주도 내의 귀화식물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생활형 및 원산지, 도입 시기를 推定하여, 목록을 새로 작성하고자 실시하였다.
제안 방법
1. 본 연구에서는 귀화 식물이란 "우리나라 비 토착종으로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야생상태에서 스스로 번식하여 생존할수 있는 종”으로 정의(定義)하여 처리하였다.
대상 데이터
조사는 1997년과 2001년까지 제주도 전역에서 조사, 채집하여 확인한 귀화식물 188 종류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채집된 표본은 민속자연사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다. 또한 양과 김(1998)에 의해 제주도의 귀화식물 연구와 한국에서의 귀화 식물 분포에 근거하여 확인된 188種類를 대상으로 生活形은 1, 2년생, 다년생 초본과 수목의 비율을 조사하고, 분포 영역을 제주, 전국, 중부, 남부로 구분하여 비교 검토하였고, 국명과 學名 표기는 대한식물도감(01, 1980)과,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1995)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그 외 原色日本歸化植物圖鑑(1989) 혹은 한국식물분류학회 발표논문(이와 임, 1978; 임과 전, 1980; 박, 1997)에 준하였다.
이론/모형
있다. 또한 양과 김(1998)에 의해 제주도의 귀화식물 연구와 한국에서의 귀화 식물 분포에 근거하여 확인된 188種類를 대상으로 生活形은 1, 2년생, 다년생 초본과 수목의 비율을 조사하고, 분포 영역을 제주, 전국, 중부, 남부로 구분하여 비교 검토하였고, 국명과 學名 표기는 대한식물도감(01, 1980)과,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1995)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그 외 原色日本歸化植物圖鑑(1989) 혹은 한국식물분류학회 발표논문(이와 임, 1978; 임과 전, 1980; 박, 1997)에 준하였다.
귀화식물의 도입된 시기는 이미 발표된 박(1949)에 의하여 3기로 구분하였다. 즉, 개항(1876) 이후 森(1921)까지를 제 1기, 1922부터 1963년까지 발표(京城藥專植物同好會, 1936; 鄭 등, 1937; 安와 李, 1963)한 시기를 제 2기, 1964년부터 현재까지 발표(김, 1992; 박, 1996; 고 등 1997; 梁, 1998)된 시기를 제 3기로 나누었다(Table 4).
성능/효과
2. 제주도에 자라는 귀화식물의 종류는 31과 111 속 178종 10변종의 188 종류로 조사정리하였다. 과별로는 국화科 43種類(23%), 벼科 27種類(14%), 콩과 15種類(8%), 십자화과 15종류(8%)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원산지별로는 아메리카가 가장 많았다.
제주도에 자라는 귀화식물의 종류는 31과 111 속 178종 10변종의 188 종류로 조사정리하였다. 과별로는 국화科 43種類(23%), 벼科 27種類(14%), 콩과 15種類(8%), 십자화과 15종류(8%)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원산지별로는 아메리카가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유럽의 원산지인 종이 많았다.
3. 제주도의 귀화식물 188종류의 분포지를 파악하였는데, 이를 토대로 보면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종은 97종류이었고, 제도에만 분포하는 종은 37종류이었다.
4. 제주도의 귀화식물 원산지별로는 유럽 64(35%)종류이고, 아메리카 지역 85(45%)종류, 아시아 지역 19(10%)종류 순으로 나타난다.
제주도의 귀화식물을 관찰, 채집, 조사에서 얻어진 결과를 Table 5 "제주도의 귀화 식물상 목록” 에서 總整理해 보면 31科 111屬 178種 10變種으로 총 188種類에 이른다.
통하여 외국에서 이입되었다. 목초지의 개량을 위한 외래 種子의 수입시에 이입된 것으로 생각되는 서양금혼초(개민들레), 가시비름, 왕도깨비가지, 페루꽈리, 소엽이 발견되었고, 부두갓에서 미국비름, 한라산 5.15도로 주변에서 미국쑥부쟁이와, 쓰레기 매립장에서 애기 나팔꽃이 발견되었고, 그 주변지로 확산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조사에서 밝혀진 제주도의 귀화식물 총188종류의 生活形을 분석해본 결과는 Table 1과 같이 1년생 초본이 79종(41%), 2년생 32(18%), 1〜2년생 14(8%), 다년생 60(32%)로 대부분 초본이 185(98%) 종류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주로 초본들로 목초지, 약초지, 약용식물 등 이용 가치가 높은 외래식물을 유입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