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뇌혈관질환자에게 수행된 간호중재분석
A study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the ICU nurses to the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order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4 no.1, 2001년, pp.94 - 104  

박영례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최경숙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the ICU nurses to the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order practically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5 nurses with 86 cerebrovascular disorder cases from one ICU with the ques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혈관질환 중환자에게 실제로 수행된 간호 중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되었다.
  • 간호사가 간호진단과 정해진 목표에 따라 예견된 방법으로 임상적 진단과 지식을 통해 환자의 이익을 위하여 실시하는 과학적 근거를 가진 모든 종류의 간호행위이다(McCloskey & Bulechek, 1996). 본 연구에서는 McCloskey & Bulechek (1996)의 433개 간호중재 중 중환자실 간호사가 뇌혈관질환 자들에게 수행하는 간호중재로 선정한 44개 항목과 중환자실에서의 핵심 간호중재(김수진, 1997) 22개를 합하여 총 66개의 간호중재를 목록화한 것을 말한다.
  • 이를 병리학적으로 분류하면 폐쇄성 뇌혈관질환에는 뇌혈전증과 뇌색전증이 있으며, 출혈성 뇌혈관질환에는 뇌내출혈과 지주막하출혈이 있다(대한신경외과학회, 1996).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 관리체계가 세분화되지 않은 통합된 중환자실에서 뇌출혈, 동맥류, 뇌경색으로 진단 받은 뇌혈관질환자에게 이루어지는 간호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중재 조사지를 이용하여 뇌혈관 질환 중환자에게 실제로 수행되는 간호중재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뇌혈관질환 중환자에게 급성기에 실제로 수행 되는 간호중재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 하다. 이러한 연구로 중점적 간호중재를 파악하여 뇌혈관질환 중환자 간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세부영역에서의 간호중재분류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혈관질환자는 발병 후 1개월 이내에 얼마가 사망하는가? 뇌혈관질환자는 발병 후 1개월 이내에 약 25%가 사망하고, 나머지 75%는 비록 사망하지 않더라도 심각한 후유증으로 환자 본인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손실이 큰 질환이다(강현숙, 1997) . 뇌혈관질환자의 회복은 발병 후 즉각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최상의 결과를 가져오고 전반적인 신경학적 증상의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Jahnke, 1991) 발병 후 첫 수주일 동안 신속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뇌혈관질환 중환자에게 실제로 수행된 간호 중재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1) 간호중재별로 가장 많이 수행된 중재 내용은 활력증상감시이었고, 그 다음은 낙상방지, 뇌부종관리, 반사장애관리, 신경계관리, 심장간호, 의사소통강화, 테크놀로지관리, 침상안정간호, 호흡과 관련된 자료감시 등의 순이었다. 2 ) 영역별로는 생리학적 복합적영역의 간호중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다음으로는 생리학적 기본적영역, 행동학적영역, 안전영역, 건강체계영역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 및 군별로 살펴보면 생리학적 기본적영역에서는 배설관리군이 많이 사용되었고, 간호중재는 침상안정간호, 뇨배설관리, 튜브관리:도뇨관, 신체의 억제 등의 순이었다. 생리학적 복합적영역에서는 신경계관리군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간호중재는 뇌부종 관리, 반사장애관리, 신경계관리, 심장간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행동학적영역에서는 의사소통강화군이 많이 사용되었고, 간호중재는 의사소통강화, 접촉, 적극적 경청 등의 순이었다. 안전영역에서는 위험관리군이 많이 사용되었고, 간호중재는 활력증상감시, 낙상방지 등의 순이었다. 건강체계영역에서는 건강체계관리군이 사용되었고, 간호중재는 테크놀로지 관리와 검사물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3) 각 근무교대별로 빈번하게 수행되는 간호중재는 거의 비슷하게 수행되고 있었으며 낮번에는 투약이, 초번에는 접촉이, 밤번에는 체온조절감시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뇌혈관질환을 경험한 대부분의 환자는 무엇과 같은 후유증을 동반하여 완전한 회복이 어려운가? 뇌혈관질환을 경험한 대부분의 환자는 편마비와 감각 기능의 손실이나 저하로 인한 기동성 장애, 자가간호 능력 저하, 의사소통장애, 우울, 그리고 인성의 변화 등과 같은 후유증을 동반하여 완전한 회복이 어렵다. 환자의 생명과 질병의 심각한 후유증을 생각할 때 질병에 의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질병의 회복기에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성기 간호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