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칡즙 첨가 식빵의 관능적 특성과 향기성분
The Sensory Properties and Flavor Components of the White Bread Added with Arrowroot juic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4 no.4 = no.164, 2002년, pp.604 - 609  

최성희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영수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칡즙 첨가 식빵의 관능적 특성은 색도, 조직감, 관능평가를 통해 조사하였다. 첨가된 칡즙의 양이 증가할수록, L값은 유의적으로 현저히 감소하였고, b값은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으며 a값은 유의적으로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경도, 씹힘성과 부착성은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한 반면 껌성질은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칡즙 첨가 식빵의 관능평가 결과로 칡즙이 25% 첨가되었을 때, 최적의 배합 비율로 평가되었다. 조직감에 대한 기호도는 칡즙의 양이 증가할수록 식빵이 쫄깃쫄깃한 성질이 증가하나 입안에 붙는 듯한 느낌을 주어 15% 첨가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맛에 대해서는 식빵의 종류나 관능검사를 실시한 사람들의 연령에 관계없이 유의적인 차이가 거의 없었다. 냄새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는 식빵을 먹었을 때, 첨가된 칡즙의 양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칡즙과 칡즙이 25% 첨가된 식빵의 향기성분 농축물을 GC-MS로서 분리 동정하고, 칡즙의 특징적인 향기 화합물이 칡즙 첨가 식빵의 향기 화합물로 전이된 향기성분을 고찰하였다. 칡즙의 향기 화합물의 특징적인 것으로는 미생물 발효차에서 동정된 methoxy phenol 화합물들, 3-methoxy acetophenone, 녹차 등에서 동정된 ${\beta}-damascenone$, 반 발효차인 오룡차와 포종차에서 동정된 꽃 향기 성분인 benzylcyanide, 그 외 menthofuran과 coumarin 등 총 35종이 동정되었다. 칡즙 첨가 식빵의 향기 화합물은 굽기 과정의 갈변반응에 의해 생성된 구수한 향에 기여하는 pyrazine류, pyrrole류, pyridine류 20종이 동정되었고, 아울러 칡즙 첨가에 의해 전이된 methoxy phenol화합물과 benzylcyanide, ${\beta}-damascenone$, menthofuran과 coumarin 등의 총 55종이 동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nsory properties and flavor components of the white bread added with arrowroot juice. The lightness of bread crumb decreased significantly as arrowroot juice was added. While the yellowness increased slightly, redness increased remarkably. The hardness, chewiness and adhesiveness of the whi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식빵의 일반적인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칡즙 첨가 식빵의 최적 배합 비율을 결정하고, 최적의 칡즙 첨가 식빵과 칡즙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GC-MS로 분석 동정하여 칡즙의 향기성분이 식빵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Value are Means±SD for n=3.
  • 2)Mean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in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 2)Mean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in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3)Mean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in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Ryuk, C.S. The Picture Book for the Korean Medicinal Plant. p. 301.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989) 

  2. Jung, H.S. Biological activities of tannin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the root of Pueraria thumbergiana.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97) 

  3. Oh, M.J., Lee, G.S., Son, H.Y. and Kim, S.Y. Antioxidative com-ponents of Pueraria root.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93-798(1990) 

  4. Lee, J.S., Lee, K.H. and Jung, J.H. Effect of extract of Pueraria radix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218-224 (1999) 

  5. Kim, M.H. and Park, S.B. Studies on the content of Pueraria radix in the tea by HPLC. Korean J. Food Hygiene 2: 89-95(1987) 

  6. Jane, M.J.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arrowroot.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1997) 

  7. Jin, J.I. An Illustraed Chinese Medicine Book. p. 66. Songak Publishing Co., Seoul (1990) 

  8. Kim, K.O., Kim, S.S., Sung, N.K. and Lee, Y.C. The Method and Application of Sensory Evaluation.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1997) 

  9. SAS user's guide, Statistic,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1988) 

  10. Jo, N.J. and Kim, Y.H. Material Crane of bread-making. B&C World Publishing Co., Seoul (2000) 

  11. Kim, R.Y. Effect of wheat germ powder on the quality white bread.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2001) 

  12. Kurata, T. and Kato, H. Formation of cooking flavor in foods. Goryo. 132: 11-26 (1981) 

  13. Miyazawa, M. and Kameoka, H. Volatile flavor component of Puerariae radix. Agric. Biol. Chem. 52: 1053-1055 (1988) 

  14. Kawakami, M., Tamanishi, T., Kobayashi, A. and Shibamoto, M. Characteristic phenolic compounds in fungal fermented tea. p. 95.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ea Science (1991) 

  15. Kawakami, M., Yamanishi, T. and Kobayashi, A. Flavor constitu-ents of pickled tea, Goishi-cha and Awa-cha. Nippon Nogeika-gaku Kaishi 61: 345-348 (1987) 

  16. Choi, S.H. and Kim, K.H.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mmer-ical Potyeanatum odoratum tea. M.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1997) 

  17. Choi, S.H. Characterization of various tea flavor. J. Korean. Tea Soc. 4:115-133(1998) 

  18. Yamanishi, T. Tea. Goryo 161: 57-72 (1989) 

  19. Hujimaki, M. Goryonoziten. p. 169. Asakurasouten, Tokyo, Japan(1982) 

  20. Choi, S.H. and Kim, K.H. The aroma components of yun nam tea by different extracting conditions. J. Korean Tea Soc. 6: 103-110(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