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감을 첨가한 식빵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hite Bread with Sweet Persimm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2, 2011년, pp.253 - 258  

오원경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김주희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남부 지방의 특산물인 단감의 이용성 다변화를 위하여 식빵에 응용하였다. 단감은 폴리페놀, 카로테노이드, 식이섬유, 미네랄, 비타민 C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전통적으로 혈압을 낮추거나 감기를 예방 하는데 널리 이용되어져 왔고 근래에는 과학적으로 건강에 유익한 여러 기능성들이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감을 함유한 식빵을 제조하여 제빵 적성을 조사하였다. 단감의 기능성은 과육보다 껍질, 씨, 꼭지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본 실험에서는 단감 과육과 단감 전체를 각각 30% 함유한 식빵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대조식빵(WB), 단감 과육 함유 식빵(FPB), 단감 전체 함유 식빵(WPB)의 여러 특성을 비교하였다. 종자치환법으로 각 식빵의 부피를 측정한 후, 비용적을 구한 결과 WB($3.51\;cm^3$/g), FPB($2.99\;cm^3$/g), WPB($3.21\;cm^3$/g)이었으며, 제빵 손실률은 WB (9.81%), FPB(7.78%), WPB(8.86%)이었다. WB에 비해 FPB, WPB로 갈수록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백색도는 감소하였다. WB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색도 차이(${\Delta}E$)를 구한 결과 FPB는 6.65이었고 WPB는 11.22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식빵 추출물 10 mg/mL 농도에서 WB는 $12.39{\pm}0.135%$이었고, FPB는 $14.57{\pm}0.01%$, WPB는 $19.57{\pm}0.44%$로 단감 과육과 단감 전체가 첨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각 식빵의 총 페놀 함량은 WB, FPB, WPB가 각각 $177.05{\pm}5.52$, $185.26{\pm}0.79$, $216.24{\pm}5.47$ mg GAE/g으로 역시 단감 과육, 단감 전체가 첨가될수록 증가하였다. WB의 경도는 175.33 Dyne/$cm^3$이었고 FPB와 WPB에서 감소하였다. 관능검사에서는 FPB가 물성, 향기, 맛, 전체적 선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WPB는 향과 맛에서 WB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단감과 같이 영양과 기능성이 잘 조화된 과일로 현대인의 건강과 기호성에 부합될 수 있는 새로운 가공기술과 가공식품을 연구, 개발하여 제품의 고급화와 다양화를 이룬다면 국민의 건강에도 기여하며 농업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crease utilization of Korean sweet persimmon, white breads containing sweet persimmon were prepared and those characterizations were evaluated. WB (white bread without persimmon), FPB (white bread containing 30% (w/w) persimmon flesh), and WPB (white bread containing 30% (w/w) whole persimm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 가공은 비교적 가공방법이 단순하고 경제적인데다 건강식품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이 차츰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단감을 이용한 가공방법의 개발과 농가에서의 적극적인 홍보 등이 뒷받침된다면 생산량의 증가와 함께 소비 확대까지 이루어져 감 농가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감 전체 또는 단감 과육으로 단감을 2부류로 나누어서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물성적 특성, 생리학적 특성, 관능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단감을 이용한 식빵의 제조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어떤 물질의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대상 활성 산소족에 따라 다양하다. 본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활성 산소족인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으로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보라색을 나타내는 DPPH는 분자 내에 안정한 라디칼을 함유하지만,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라디칼이 소거되며 노란빛을 띄게 된다.
  • 단감은 폴리페놀, 카로테노이드, 식이섬유, 미네랄, 비타민 C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전통적으로 혈압을 낮추거나 감기를 예방하는데 널리 이용되어져 왔고 근래에는 과학적으로 건강에 유익한 여러 기능성들이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감을 함유한 식빵을 제조하여 제빵 적성을 조사하였다. 단감의 기능성은 과육보다 껍질, 씨, 꼭지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본 실험에서는 단감 과육과 단감 전체를 각각 30% 함유한 식빵을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은 어떻게 분류하는가? 감의 분류는 수확 당시 탈삽 유무에 따라 떫은감(Diospyros kaki L.)과 단감(Diospyros kaki T.)으로 분류하고 있다(1). 우리나라 감의 재배면적은 밀감, 배, 사과에 이어 4번째로 많은 면적이다.
단감 함유 식빵의 경도 측정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단감 함유 식빵의 경도 측정 결과를 Table 6에 나타내었다. 무첨가 식빵의 경도는 175.33 Dyne/cm3이었으나 단감 과육과 단감 전체가 함유된 식빵에서는 그 값이 줄어들었다. 즉, 식빵의 경도가 단감의 첨가로 인해 약해지는 것을 알수 있었다. 식빵의 물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밀가루에 함유된 글루텐이다.
감의 가공에 대한 연구 중 단감을 이용한 경우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편, 지금까지 감의 가공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떫은 감에 한정되어 있으며 단감을 이용한 경우는 단감조청(8), 단감을 이용한 발효 와인 제조(9), 단감 식초(10), 단감 분말을 이용한 식빵 제조(11), 요구르트 제조(12) 등이 보고되어 있다. 감 가공은 비교적 가공방법이 단순하고 경제적인데다 건강식품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이 차츰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단감을 이용한 가공방법의 개발과 농가에서의 적극적인 홍보 등이 뒷받침된다면 생산량의 증가와 함께 소비 확대까지 이루어져 감 농가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SB. 1998. New Technology for Sweet Persimmon Cultivation. Oh-Sung Press, Seoul, Korea. p 103-107. 

  2. George AP, Redpath S. 2008. Health and medicinal benefits of persimmon fruit: a review. Adv Hort Sci 22: 244-249. 

  3. Gu HF, Li CM, Xu YJ, Hu WF, Chen MH, Wan QH. 2008. Structural featur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annin from persimmon pulp. Food Res Int 41: 208-217. 

  4. Fernandez-Rojas B, Ortiz-Moreno A, Hernandez-Navarro D. 2010. Phenolic content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of persimmon (Dyospiros kaki L.) cultivated in Mexico. J Biotechnol 150: 312. 

  5. Santos-Buelga C, Scalbert A. 2000. Proanthocyanidins and tannin-like compounds-nature, occurrence, dietary intake and effects on nutrition and health. J Sci Food Agric 80: 1094-1117. 

  6. Kim SG, Lee YC, Suh KG, Choi HS. 2001. Acetaldehyde dehydrogenase activator from persimmon and its processed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54-958. 

  7. http://www.naas.go.kr/rrdi/Products/Products0102.asp?mmnuP&midx7 

  8. Bae SM, Park KJ, Shin DJ, Hwang YI, Lee SC. 2001.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J ochung with sweet persimmon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88-91. 

  9. Bae SM, Park KJ, Kim JM, Shin DJ, Hwang YI, Lee SC. 200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weety persimmon win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66-70. 

  10. Hong JH, Lee GM, Hur SH. 1996. Production of vinegar using deteriorated deastringent persimmons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25: 123-128. 

  11. Chung JY, Kim KH, Shin DJ, Son GM. 2002. Effects of sweet persimmon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38-742. 

  12. Cho YS, Cha JY, Kwon OC, Ok M, Shin SR. 2003. Preparation of yogurt supplemented with sweet persimmon powde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Preserv 10: 175-181. 

  13. AACC. 1983. Approved method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 8th ed. St. Paul, MN, USA. p 10-10A. 

  14.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0-1583. 

  15.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6. Hsu CL, Chen W, Weng YM, Tseng CY. 2003.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m flours a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Food Chem 83: 85-92. 

  17. Judd DG, Wyszecki G. 1964. Applied colorific science for industry and business. Diamond Co., Osaka, Japan. p 333. 

  18. Ahn SI, Heuing BJ, Son JY.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9-24. 

  19. Jang IC, Jo EK, Bae MS, Lee HJ, Jeon GI, Park E, Yuk HG, Ahn GH, Lee SC. 2010.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cv. Fuyu) fruit. J Med Plants Res 4: 155-160. 

  20. Matsuo T, Itoo S. 1978. The chemical structure of kakitannin from immature fruit of the persimmon (Diospyros kaki L.). J Agric Biol Chem 42: 1673-1643. 

  21. Yonemori K, Matsushima J. 1983. Differences in tannins of non-astringent and astringent type fruits of Japanese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J Japan Soc Hort Sci 52: 135-144. 

  22. Suzuki T, Someya S, Hu F, Tanokura M. 2005. Comparative study of catechin compositions in five Japanese persimmons (Diospyros kaki ). Food Chem 93: 149-152. 

  23. Tomas-Barberan FA, Gil MI, Cremin P, Waterhouse AL, Hess-Pierce B, Kader AA. 2001. HPLC?DAD?ESIMS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nectarines, peaches, and plums. J Agric Food Chem 49: 4748-4760. 

  24. Shahidi F, Naczk M. 2004. Phenolic in Food and Nutraceutical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403-442. 

  25. Balasundram N, Sundram K, Samman S. 2006. Phenolic compounds in plants and agri-industrial by-products: antioxidant activity, occurrence, and potential uses. Food Chem 99: 191-203. 

  26. YH Jo, JW Park, JM Lee, HR Park, SC Lee. 2010.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parts of J angseong Daebong persimmon (Diospyros kaki cv. Hachiy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00-505. 

  27. Song JC, Park HJ. 1998. Recent Food Processing & Preservation. Hyo-Il Culture Press, Seoul, Korea. p 178-188. 

  28. Kim YS,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heat white bread with substituted Nelumbo nucifera G. te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448-456. 

  29.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1. Qualities of bread added with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folium) leaf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82-8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