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natto와 B. licheniformis 혼합 Starter로 제초된 청국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2, 2002년, pp.204 - 210  

연규춘 (충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동호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팀) ,  김정옥 (세종대학교 가정학과) ,  육홍선 (세종대학교 가정학과) ,  조재민 (충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변명우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국장의 산업적인 대량생산 system에 B. subtilis, B. natto, B. licheniformis 그리고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균주를 starter로 하여 45시간 동안 청국장을 발효시키면서 각 시험제품의 미생물 생장, 일반성분, 효소활성,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고 관능을 평가하였다. 청국장의 수분은 점질물의 형성이 많은 B.subtilis와 B. natto 시험구에서 다소높았으며 pH는 B. licheniformis에서 8.68로 가장 높았고 B. subtilis 에서 8.13으로 가장 낮았다. 미생물의 생장정도는 B. subtilis가 $10^{9}$ CFU/g까지, B. licheniformis는 $10^{8}$ CFU/g까지 생장하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B. subtilis에서 1.35 unit/g으로 가장 높았고 B. licheniformis에서 0.45 unit/g으로 가장 낮았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 은미생물의 생장률 및 단백질분해 효소의 활성에 비례하여 B. subtilis > B. natto> B. licheniformis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균주를 starter로 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일반 품질은 B. natto와 B. licheniformis를 단독 접종한 제품의 평균치에 해당하는 특성을 보였다. 검출된 향기성분의 화학적 구성은 ketones 9종, alcohols 11종, aldehyde 6종, heterocyclic compounds 4종, ester 6종, acids 4종, hydrocarbons 4종, 기타 14종이었으며 균주별로는 B. subtilis에서 25종, B. natto에서 30종, B. licheniformis에서 28종, B. natto와 B. licheniformis를 혼합하여 접종한 청국장에서는 41종의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유기산의 총량은 B. subtilis를 접종한 청국장에서 3.98%로 가장 높았고 B. natto는 2.24%, B. licheniformis는 1.53%이었으며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시험구에서 는 1.67%의 함량을 보였다. 분석된 향기성분과 유기산은 starter로 접종된 Bacillus의 종류에 따라 각각 특징적 인 조성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맛 그리고 전체적인 선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시료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B. subtilis를 starter로 한 시료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chungkookjang were investigated. The samples were prepared and fermented by the inoculation of Bacillus strains; B. subtilis, B. natto and B. licheniformis as a single starter, and mixed culture of B. natto and B. licheniformis on the industri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acillus를 이용한 콩알메주 제조연구에 관한 Kim 등(12)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청국장 불쾌취의 원인물질인 alkylpyrazine류나 함sulfide 화합물, 암모니 아성 화합물의 생 성 정도가 낮은 B. naito와 B. lichenifor- mis(20)를 주 발효균주로 하여 청국장의 불쾌 취 를 감소시 키면서도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청국장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HC. 1999. Fermentation food. Sinkwang Press Co, Seoul. p 105-117. 

  2. Kim WK, Choi KH, Kim YT, Park HH, Choi JY, Lee YS, Oh HI, Kwon IB, Lee SY. 1996.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from Bacillus sp. strains CK 11-4 screened from chungkookjang. Appl Environ Microbiol 62: 2482-2488. 

  3. Lee BK. 1999. Immunomodulation material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Lecture 3 presented at 2nd Symposium for Soybean Fermentation Foods, The Research Institute of Soybean Fermentation Foods, Yeungnam Univ, Korea. 

  4. Cheigh HS, Lee JS, Lee CY. 1993.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melanoidin related products fractionated from fermented soybean sauce. J Korean Soc Food Nutr 22: 570-575. 

  5. Shon MY, Seo KI, Lee SW, Choi SH, Sung NJ. 2000. Biological activities of Chungkookjang prepared with black bean and changes in phytoestrogen cont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36-941. 

  6. Kim KJ, Ryu MK, Kim SS.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with rice straw.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01-308. 

  7. Ahn BS. 2000. Studies on the volatile compounds in chungkookjang irradiated with high-dose gamma irradiation. Ph D Thesis. Korea University of Seoul, Korea. 

  8. Lee OS, Hong DK, Koo MS, Shin DB, Chung KS. 1994.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eze-dried chungkookjang soup.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50-254. 

  9. Choe JS, Kim JS, Yoo SM, Park HJ, Kim TY, Chang CM, Shin SY. 1996. Survey on preparation method and consumer response of chungkukjang. Kor J Soybean Research 13: 29-43. 

  10. Allagheny N, Obanu ZA, Campbell-Platt G, Owens JD. 1996. Control of ammonia formation during Bacillus subtilis fermentation of legumes. Int J Food Microbiol 29: 321-333. 

  11. Choi SH, Ji YA. 1989. Changes in flavor of chungkoo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229-234. 

  12. Kim DH, Lim DW, Bai S,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four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13. Larroche C, Besson I, Gros JB. 1999. High pyrazine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in solid substrate fermentation on ground soybeans. Process Biochem 34: 667-674. 

  14. Joo HK. 1971.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of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 64-67. 

  15. Lee BY, Kim DM, Kim KH. 1991. Studies on the change in rheological properties of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478-484. 

  16. Rhee SH, Kim SK, Cheigh HS. 1983. Studies on the lipids on the Korean soybean fermentation foods: I. Changes of lipids composition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399-403. 

  17. Suh JS, Lee SG, Ryu MK. 1982.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II. Changes of the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during the storage of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09-314. 

  18. Suh JS, Ryu MK, Hur YH. 1983.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III. Changes of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and nitrogen compounds during chungkookjang koji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385-391. 

  19. Lee BY, Kim DM, Kim KH. 199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iscous substance extracted from chungkoo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599-604. 

  20. Seok YR, Kim YH, Woo HS, Kim TW, Lee SH, Choi C. 1994. Change of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using Bacillus licheniformis CN-115. J Korean Agric Chem Soc 37: 65-73. 

  21.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2. SAS Institute Inc. 1985. SAS user's guide. 5th ed.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23. Lee HJ, Suh JS. 1981.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1). Changes of the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during chungkookjang koji preparation. Korean J Nutr 14: 97-104. 

  24. Lee KH, Lee HJ, Chung MK. 1971. Studies on chungkookjang (Part 1). On the changes of soybean protein in manufacturing chungkookjang. J Korean Agric Chem Soc 14: 191-200. 

  25. Sung NJ, Ji YA, Chung SY. 1984. Changes in nitrogenous compounds of soybean during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3: 275-2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