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축장에서 HACCP 시행주체의 HACCP 운용수준 및 성공적 시행에 대한 인식실태
A Awareness Survey of HACCP Implementation in the Korean Slaughterhouse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17 no.1, 2002년, pp.45 - 54  

이영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  김용상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과천정부청사 농림부 가축위생과) ,  강경선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공중보건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 HACCP)는 세계적으로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위생관리기법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법적으로 도축장에 연차적으로 의무적으로 적용토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HACCP를 국내 도축장에 시행하는데 있어 기본토대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HACCP이 시행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HACCP 시행주체인 영업자(124명),종업원(363명) 및 HACCP 담당공무원(170명)의 HACCP 시행능력 및 인식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HACCP의 이해정도는 도축장 영업자가 34.7%, 종업원 21.1%, 관계공무원이 57.1% 으로 공무원이 비교적 HACCP에 대한 이해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HACCP수행의지는 영업자 93.5%, 영업자 88.9%, 공무원 93.6%으로 모두 시행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도축장에서의 HACCP 수행의 가장 큰 잇점은 도축장 위생수준의 향상(54.1%), 식육판매증가(17.6%), 위생식육 생산에 대한 자긍심(9.6%), 식육수출증가(7.5%) 등으로 나타났으며, 시행시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도축장 경영난(33.2%), 도축장의 낮은 시설수준(27.3%), 종업원의 낮은 위생의식(19.4%), 및 HACCP의 이해부족(12.3%)으로 나타났다. 현 시점에서 도축장에서 효과적인 HACCP를 시행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조치로는 도축장의 시설수준향상(36.6%), 교육과 훈련을 통한 HACCP 기반 확대(17%), HACCP시행 도축장을 위한 특혜부여(11.8%), 그리고 정부와 산업체간의 긴밀한 협조체제 (10.3%)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HACCP를 시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도축장 영업자에게는 그들 자신만의 효율적인 HACCP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국내 도축장의 HACCP 시행여건을 체계적으로 분석·제공함으로서 정부등 관련업계에서 HACCP시행 정책 등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HACCP) is recognized worldwide as a science-based and systematic approach for food safety. This has been initiated to establish the HACCP system in Korean slaughterhouses by suggesting some of effective implementation ways. An awareness level survey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축장에서 HACCP를 효율적으로 시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시행 주체들의 HACCP 운용 능 력 등을 연구한 것으로서, 주요 내용은 영업자, 종업원 및 관계공무원의 HACCP 이해 정도 및 운용능력, 이들이 생각하는 HACCP 시행의 잇점 및 단점, 그리고 이들이 고려하고 있는 HACCP 시행에 있어서 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laha T.: Epidemiology and quality assurance application to food safety. Prev Vet Med 39(2), p. 81-92 (1999) 

  2. Kaferstein F, and Abdussalam M.: Food Safety in the 21st centruy. Bull World Health Organ, 77(4), 347-351, (1999) 

  3. Brun C. M. Consumer concern: motivating to action. Emerg Infect Dis, 3(4), 511-515, (1999) 

  4. Collins J. E.: hnpact of changing consumer lifestyles on the emergence /reemergence of foodbome pathogens. Emerg Infect Dis, 3(4), 471-479, (1997) 

  5. World Health Organization. Food safety and globalization of trade in food. A challenge to the public health sector, WHO/FSF/FOS/97.8, (1998) 

  6. Zink D. L.: The Impact of Consumer Demands and Trends on Food Processing. Emerg Infect Dis, 3(4), 467-469, (1997) 

  7. Todd E. C.: Epidemiology of foodbome disease: A world-wide review. World Health Stat Q, 17, 30-50, (1997) 

  8. Meng J, and Doyle M.P.: Emerging Issues in microbiological food safety. Annu Rev Nutr, 17, 255-275, (1997) 

  9. Morris J. G, and Potter M.: Emergence of New Patho-gens as a Function of Changes in Host Susceptibioity. Emerg Infect Dis, 3(4), 435-441, (1997) 

  10. Alterkruse S. F, Strem N.J.: Swerdlow DL. Campy-Iobacter jejuni? An Emerging Foodbome Pathogen. Emerg Infect Dis, 5(1), 28-35, (1999) 

  11. Murphy F. A.: Emerging Zoonoses. Emerg Infect Dis, 4(3), 429-435, (1998) 

  12. Smith J. L.: Foodbome illness in the elderly. J Food Prot 61(9), p. 1229-1239 (1998) 

  13. Mahon C. R. Foodbome illness: is the public at risk? Clin Lab Sci, 11(5), 291-297, (1998) 

  14. Collins J. E.: Impact of Changing Consumer Lifestyles on the Emergence/ Reemergence of Foodbome Pathogens. Emerg Infect Dis, 3(4), 471-479, (1997)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HACCP Introducing the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WHO/FSF/FOS/97.2 (1997)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Statistics Quarterly 50(1-2) (1997) 

  17. 식중독 발생 동향 분석 및 효과적인 관리방안 모색 연구, , (1996.12) 

  18. Henson S., Holt G., Northen J.: Costs and benefits of implementing HACCP in the UK dairy processing sector. Food Control 10 p. 99-106 (1999) 

  19. Golan E. H., Vogel S. J., Frenzen P. D., and Ralston K. L.: Tracing the Costs and Benefits of Improvements in Food Safety: The case of the HACCP program for meat and poultry. Agricultural Economic Report. No.791 Economic Research Service, USDA (2000) 

  20. WHO: Training aspects of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HACCP). Report of a WHO Workshop on Training in the HACCP with the parti-eipation of FAO; WHO/FUN/FOS/96.3, (1996) 

  21. WHO: Guidance on Regulatory Assessment of HACCP, Report of a Joint FAOIWHO Consultation on the Role of Government Agencies in Assessing HACCP; WHO/FSF/FOS/98.5, (1998) 

  22. WHO: Strategies for Implementing HACCP in Small and/or Less Developed Business.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Sports, The Netherlands. WHO/SDE/PHE/FOS/99.7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