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고기 소비가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은 평범한 식품보다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성분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고기 양념에 분쇄한 인삼세근을 첨가량에 따라 0%, 0.5%, 1.0%과 2.0%수준으로 첨가하여 돈육 인삼불고기제품을 개발한 다음 인삼첨가수준에 따른 이화학적 및 관능적 제품특성을 무첨가구와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CIE로 측정한 육색에 있어서는 인삼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L값과 b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삼이 첨가되지 않은 처리구와 비교하여 인삼이 첨가된 처리구의 연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응집성, 탄력성 및 씹힘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 평가 결과 인삼첨가 농도가 높은 처리구가 기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 조리한 다음 5$^{\circ}C$에서 7일간 냉장 저장하면서 산화도를 측정한 결과 인삼 첨가구가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무첨가구와 비교하여 낮은 TBA 값을 나타냈다. 지방산 조성은 인삼 2% 첨가한 처리구가 PUFA/SFA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돈육 불고기 제품에 인삼을 첨가함으로서 육질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향과 기호도를 증진시켜 일반돈육제품과 차별화된 제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삼불고기 돈육가공제품은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인삼과 국내 비선호부위인 돈육의 전지 및 후지를 적절하게 이용한 것으로서 국제시장에서 돈육 수출 및 소비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meat consumption increases, consumers have demanded meat products containing functional ingredients which beneficial health effect rather than a normal fo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Bulgogi product(PB) containing differ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늘날 현대인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새로운 맛을 추구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인들은 라면이나 카레 등의 경우에서와같이 매운맛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한 점을 미루 어 볼 때 종래의 단맛 위주의 감미만을 제공하던 양념의 개념을 탈피하여 현대인의 다양한 취향과 기호에 부응할 수 있도록 종래의 양념 소스와는 다른 독특한 맛과 건강효과를 동시에 지닌 조리용 소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약효가 인정되고 한국을 대표하는 건강식품인 인삼 세근을 돈육 불고기 양념에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고 자 수행되었다.
  • 오늘날 고기 소비가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은 평범한 식품보다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성분 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고기 양념에 분쇄한 인삼 세근을 첨가량에 따라 0%, 0.5%, 1.0%과 2.0% 수준으로 첨가하여 돈육 인삼 불고기 제품을 개발한 다음 인삼 첨 가수준에 따른 이화학적 및 관능적 제품 특성을 무 첨가 구와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CIE로 측정한 육색에 있어서는 인 삼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L 값과 b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u, S. Y. (1976) The genus Panax(Ginseng) in Chinese Medicine. Economic Botany 30(1), 11-28 

  2. Hu. S. Y. (1978) The ecology, Phytogeography and ethnobotany of ginseng. Proc. 2nd International Ginseng Symp. Korea Ginseng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149-157 

  3. Matsuda, H., Kubo, M. and Mizuno, M. (1987) Pharmacological study on Panax ginseng C. A. Meyer(VIII). Cardiovascular effect of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Yakugaku Zasshi. 41(2), 125-134 

  4. 한국인삼연초연구원 (1996) 최신고려인삼 (성분 및 효능편) 

  5. 윤소라, 나진주, 김시관, 김석장, 김기열 (1998) Determination of Ginsenoside Rf and Rg_2 from Panax ginseng using Enzyme Immunoassay. Chem. Pharm. Bull (Japan). 46(7), 1144-1147 

  6. 임창진, 박은혜, 홍정근, 이동관 (1981) 인삼총사포닌, 디올계 및 트리올계 사포닌의 효과 2. 횐쥐의 몇가지 혈액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Ginsene Sci. 5(1), 200-206 

  7. 전홍기, 이선희, 이종근 (1982) 인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세균의 생육에 미치는 인삼성분의 영향.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0(2), 101-108 

  8. Fenwick, D. E. (1983) Saponin contents in vegetables and food. J. Sci. Food Aeric. 34, 186-191 

  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10. Tarladgis, B. G., Watts, B. M., Younathan, M. T. and Dungan, L. R. (1960)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in rancid foods. J. Am. Oil Chem. Soc. 37, 44-48 

  11. Rhee, K. S. (1978) Minimization of further lipid oxidation in distillation 2-thiobarbituric acid test of fish and meat. J. Food Sci. 43: 1776-1779, 1781 

  12. Folch, J., Lee, M. and Stanley, G. H. 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0 

  13. Metcalfe, L. and Wang, C. N. (1981)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esters using organic base-catalyzed transesterification. J. Chromatogr. Sci. 19, 530-535 

  14. SAS. SAS/STAT. (1998) SAS/STAT user's guide: Statistics. SAS Inst., Cary, NC 

  15. 김만욱, 차강주, 조영현, 홍순근 (1980) 인삼의 항산화 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23(3), 173-177 

  16. Han, B. H., Park, M. H. and Han, Y. N. (1981) Studies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Korean ginseng(III). Identification of phenolic acid. Arch. Pharm. Res. 4(1), 53-58 

  17. Han, B. H., Park, M. H., Han, Y. N. and Woo, L. K, (1979) Studies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Korean Biochem. J. 12(1), 33-40 

  18. Park, C. W., Lim, J. K., Lee, J. S. and Chung, M. H. (1984)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on the actions of oxygen radicals of gelation of skin collagen. The Seoul J. of Medicine 25(1), 45-52 

  19. Chung, Y. H., Kim, K. W. and Oura, H. (1993) Effects of ginsenoside Rb2 on the antioxidants in senescence-accelerated mice (SAM-R/l). Proc. 6th International Ginseng Symp. Korea Ginseng & Tobacco Research Institute 30-32 

  20. Paik, T. H., Chun, H. J., Kang, B. S. and Hong, J. T. (1989) The effects of ginseng extracts on photooxidation I serum lipid. Korean J. Ginseng Sci. 3(2), 234-238 

  21. 신미옥, 배송자, 김남홍 (1992) 인지질 Liposome에 미치는 대두 Saponin의 항산화효과 J. Korean Soc. Food Nutr. 21(4), 381-385 

  22. Glauert, A. M., Dingle, J. J. and Lucy, J. A. (1962) Action of saponin on biological cell membrane. Nature, 196, 193. 

  23. Kitagawa, I., Yoshikawa, M. and Yosioka, I. (1976) Saponin and sapogenol XIII, Structures of three soybean saponins: soyasa ponin I, soyasaponin II, soyasaponin III. Chem. Pharm. Bull. (Tokyo) 24, 121 

  24. Sakamoto, J., Morimoto, K. and Tanaka, O. (1975) Quantitative analysis of Dammarane type saponins of ginseng and its application to the evaluation of the commercial ginseng tea and ginseng extract. Yakugaku Zasshi. 95(12), 1456-1461 

  25. Otsuka, H., Morita, Y., Ogiwara, Y., Shibata, S. (1977) The evaluation of Ginseng and its congeners by droplet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DCC). Plant Med. 32, 9-17 

  26. Kubo, M., Tani, T., Katsuki, T., Ishizake, K. and Arichi, S. (1980) Biochemistry. 1. Ginsenosides i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Root). J. Nat. Prod. 43, 278-2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