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 정량 식품빈도 조사법 (SQFFQ)과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영양평가 Software 개발
Software for Nutritional Assessment Using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24-hour Recall Method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7 no.4, 2002년, pp.548 - 558  

이상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신 (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 ,  김형숙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해정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혜미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uter software program for nutritional assessment using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s) and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software for the SQFFQ was divided into input, output, and database. For dietary analyses, recipe and f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질환과 관련된 영양역학 분야 연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미량영양소의 데이터베이스를 보충함과 동시에 computer system을 이용한 software를 개발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영양 판정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만성질환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미량영양소와 각종 지방산을 고려한 식품 database를 보완 및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영양평가의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반정량적 식품빈도 조사법과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한국인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software를 개발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설계하였다.
  • 현재까지 개발된 많은 프로그램들(한국영양학회 부설 영양정보센터 1998;대한영양사회 1998)이 1일 식사, 혹은 1인에 대한 평균 섭취 식생활에 관한 정보만을 제공한 것에 비해 본 프로그램은 반정량적 식품 섭취 조사 방법을 바탕으로 설계되어 임상조사 등에 이용 가능하도록 대상자 개인뿐 아니라 전체의 평균 식습관 조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실물 사진의 이용은 식품빈도 조사법이 지니고 있는 정량 분석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채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들이 섭취하는 음식의 섭취 빈도 뿐만 아니라, 식품의 섭취 빈도 및 섭취량 그리고 영양소 섭취량까지 정량화할 수 있어 여러 방향으로의 연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보건복지부(2000) : ’98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보고서 

  2. 권경순.신종수.윤옥현.윤은숙.이미경.정두례.조용범(1998) 한식조리 - 기능사 실기시험문제집, 효일문화사 

  3. 대한영양사회(1995) : 당뇨환자를 위한 식품교환표 (2판 개정판) 

  4. 대한영양사회(1998) : 프로영양상담 98 

  5. 백희영.문현경.최영선.안윤옥.이홍규.이승욱(1997) 한국인의 식생활과 질병 : 연구방법론 및 자료집, pp.358-465 

  6. 염초애.장영숙.윤숙자(1999) : 한국음식, 효일문화사 

  7. 한국식품공업회(1998) : 식품 및 음식의 눈대중량표 

  8. 한국영양학회(1995) : 한국인 영양권장량 (6판 개정판) 

  9. 한국영양학회 부설 영양정보센터(1998) : CAN Pro manual 

  10. 황혜성.한복려.한복진(1997) :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11. Hankin JH, Rhoads G, glober GA (1975): A dietary method for epidemiologic study of gastrointestinal cancer. Am J Clin Nutr 28: 1055-1061 

  12. Jain MG, Harrison L, Howe GR, Miller AB (1982): Evaluation of a self-administered dietary questionnaire for use in a cohort study. Am J din Nutr 36: 931-935 

  13. Kim MJ, Kim YO, Kim SI (1998): Validity of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y conditions of one portion size. Korean J Community Nutr 3 (2): 273-280 

  14. Kim MK, Lee SS, Ahn YO (1996):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ong middle-aged m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3): 346-394 

  15. Kim WY, Yang EJ (1998): A study on depart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s. Korean J Nutrition 31 (2): 220-230 

  16. Kwon HH, Lee TS, Kim lB, Lee HY, Jang JH, Kim OS, Choi JT, Yeun IS (1996):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orean foods - determination of fatty acid contents en. The Annual Report of KFDA 1: 71-82 

  17. Lee TS, Kwon HH, Kim SH, Kim lB, Kwon OR, Lee HY, Jang JH, Choi JT (1998):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orean foods - determination of fatty acid contents en. The Annual Report of KFDA 3(6): 776-788 

  18. Lee TS, Kwon HH, Kim SH, Kim lB, Kwon OR, Lee HY, Jang JH, Choi JT, Kim OS, Yeun IS, Park JY, Kang JH (1997):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orean foods - determination of fatty acid contents en. The Annual Report of KFDA 2: 56-65 

  19. Moon HK, Kim EK (1999): Comparison of nutrient calculation programs for dietary intak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5 (1): 100-115 

  20. Oh SY, Hong MH (1998): Repeatability of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on the Korean elderly. Korean J Nutrition 31 (7): 1183-1191 

  21. Rimm EB, Giovannucci EL, Stampfer MJ, Colditz GA, Litin LB, Willett WC (1992):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n expanded selt-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among male health professionals. Am J Epidemiol 135: 1114-1126 

  22. Shim JE, Ryu JY, Paik HY (1997): Contribution of seasoned to nutrition intake assess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adults in rural area of Korea. Korean J Nutrition 30(10): 1211-1218 

  23. Willett WC, Reynolds RD, Cottrell-Hoehner S, Sanpson L, Browne ML (1987): Validation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omparison with a 1-year diet record. J Am Diet Assoc 87 (1): 43-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