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유산균과 효모의 단독 및 혼합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장내미생물 변화 및 분의 암모니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or Mixed Feeding of Lactobacillus and Yeast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NH$_{3}$ Gas Emission in Laying Hens원문보기
본 연구는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과 효모의 단독 및 혼합 첨가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1주령된 ISA Brown 240수를 공시하여 10주 동안 사양하면서 산란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회장 및 맹장내 미생물 변화, 계란품질 변화 및 계분내 암모니아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첨가구와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1(LCH), Lactobacillus vaginalis avibro2(LVH), 효모 Pichia ferinosa SKM-1(PF)을 단일 급여한 처리와 혼합 급여한 처리구(PF+LCH, PF+LVH)모두 6처리구로 하였다. 사료 g 당 유산균 첨가수준은 $10^{7}$ cfu 였으며, 생효모는 3$\times$$10^{6}$ cfu 이었다. 각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 공시하여 10주간 시험을 실시한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율은 생균제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으며 P<0.05), 처리구간 차이는 없었다. 평균난중도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1일 산란량은 생균제 첨가가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P<0.05), 처리구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난생산 사료효율은 생균제 첨가구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소 이용성은 생균제 급여구가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었다. 회장내 유산균 수는 LVH, PF)LClt PF+LVH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효모는 맹장에서 PF구가 높았으나 PF+LVH는 가장 났았고 회장내 혐기성 미생물은 LVEt PF+LCH, PF+LVH가 가장 많았다. 난각질은 PF 급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저하되었으며(P<0.05), Haugh unit는 처리구간에 일관성이 없었다. 계분내 암모니아 발생량은 배분후3일부터 6일까지 최대로 발생하였는데, 이 시기에 생균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P<0.05). 본 연구에서 산란계에 생효모 및 유산균의 단독 혹은 혼합 첨가는 산란율을 향상시키고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감소시켰으며, 혼합첨가가 단독 첨가보다 향상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과 효모의 단독 및 혼합 첨가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1주령된 ISA Brown 240수를 공시하여 10주 동안 사양하면서 산란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회장 및 맹장내 미생물 변화, 계란품질 변화 및 계분내 암모니아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첨가구와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1(LCH), Lactobacillus vaginalis avibro2(LVH), 효모 Pichia ferinosa SKM-1(PF)을 단일 급여한 처리와 혼합 급여한 처리구(PF+LCH, PF+LVH)모두 6처리구로 하였다. 사료 g 당 유산균 첨가수준은 $10^{7}$ cfu 였으며, 생효모는 3$\times$$10^{6}$ cfu 이었다. 각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 공시하여 10주간 시험을 실시한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율은 생균제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으며 P<0.05), 처리구간 차이는 없었다. 평균난중도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1일 산란량은 생균제 첨가가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P<0.05), 처리구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난생산 사료효율은 생균제 첨가구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소 이용성은 생균제 급여구가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었다. 회장내 유산균 수는 LVH, PF)LClt PF+LVH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효모는 맹장에서 PF구가 높았으나 PF+LVH는 가장 났았고 회장내 혐기성 미생물은 LVEt PF+LCH, PF+LVH가 가장 많았다. 난각질은 PF 급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저하되었으며(P<0.05), Haugh unit는 처리구간에 일관성이 없었다. 계분내 암모니아 발생량은 배분후3일부터 6일까지 최대로 발생하였는데, 이 시기에 생균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P<0.05). 본 연구에서 산란계에 생효모 및 유산균의 단독 혹은 혼합 첨가는 산란율을 향상시키고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감소시켰으며, 혼합첨가가 단독 첨가보다 향상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Total 240 of ISA Brown layers were employed in this experiment to study the effects of single or mixed feeding of Lactobacillus and yeast on the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laying hens.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six dietary treatments; None(Control), Pichia farinosa(PF), Lactobaci...
Total 240 of ISA Brown layers were employed in this experiment to study the effects of single or mixed feeding of Lactobacillus and yeast on the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laying hens.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six dietary treatments; None(Control), Pichia farinosa(PF), Lactobacillus crispatus avihen1 (LCH), Lactobacillus vaginalis avihen1(LVH), LCH+PF, and LVH+PF. Viable microflora were added to meet 3${\times}$10$^<$TEX>6/ cfu PF and 10$^<$TEX>7/ cfu Lacrobacillus per g of feed. There were four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10 birds per replicates. Laying performance was recorded for 10 weeks, followed by a metabolism trial during which nutrient utilization, pattern of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NH$\sub$3/ emission were examined. Egg production and daily egg mass of birds fed either single or mixed microorganism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P<0.05). Egg weight and feed intak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all treatments. However, feed conversion ratio tended to improve by the supplementation of microbes.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ether extract and crude ash tended to improve in Lactobacillus treatments, however,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With regards to the number of intestinal microbes, number of anaerobes were increased in microbes feeding group. Eggshell quality of PF layers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s. No consistent trend was found in Haugh Unit among all treatments. Fecal NH$\sub$3/ gas emi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LVH, LVH+PF and LCH+PF than the other treatments(P<0.05). From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could be concluded that single or mixed feeding of Lactobacillus and yeast improves the laying performance and decreases the fecal ammonia gas emission. No synergic effect was found when both microbes were mixed and fed to the layers.
Total 240 of ISA Brown layers were employed in this experiment to study the effects of single or mixed feeding of Lactobacillus and yeast on the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laying hens.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six dietary treatments; None(Control), Pichia farinosa(PF), Lactobacillus crispatus avihen1 (LCH), Lactobacillus vaginalis avihen1(LVH), LCH+PF, and LVH+PF. Viable microflora were added to meet 3${\times}$10$^<$TEX>6/ cfu PF and 10$^<$TEX>7/ cfu Lacrobacillus per g of feed. There were four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10 birds per replicates. Laying performance was recorded for 10 weeks, followed by a metabolism trial during which nutrient utilization, pattern of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NH$\sub$3/ emission were examined. Egg production and daily egg mass of birds fed either single or mixed microorganism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P<0.05). Egg weight and feed intak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all treatments. However, feed conversion ratio tended to improve by the supplementation of microbes.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ether extract and crude ash tended to improve in Lactobacillus treatments, however,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With regards to the number of intestinal microbes, number of anaerobes were increased in microbes feeding group. Eggshell quality of PF layers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s. No consistent trend was found in Haugh Unit among all treatments. Fecal NH$\sub$3/ gas emi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LVH, LVH+PF and LCH+PF than the other treatments(P<0.05). From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could be concluded that single or mixed feeding of Lactobacillus and yeast improves the laying performance and decreases the fecal ammonia gas emission. No synergic effect was found when both microbes were mixed and fed to the lay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과 효모의 단독 및 혼합첨가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1주령된 ISA Brown 240수를 공시하여 10주 동안 사양하면서 산란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회장 및 맹장내 미생물 변화, 계란 품질변화 및 계분내 암모니 아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금 맹장에서 유래한 유산균과 음식물에서 선발된 효모 Pichia farinosa를 산란계에 급여하여 산란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분의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 장내 미생물 변화 그리고 계란품질에 대한 단일 및 혼합급여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제안 방법
21주령된 ISA Brown 240수를 공시하여 10주 동안 사양하면서 산란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회장 및 맹장내 미생물 변화, 계란 품질변화 및 계분내 암모니 아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처 리구는 무첨가구와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l(LCH), Lactoba cillus vaginalis avibro2(LVH), 효모 Pichia ferinosa SKM-1 (PF)을 단일 급여한 처리와 혼합 급여한 처리구(PF+LCH PF+LVH)모두 6처리구로 하였다.
대조구는 유산균과 효모균주를 급여하지 않았으며, 유산균 2종 (LCH, LVH), 생효모인 Pichia farinosa SKM-1 (PF) 를 단일 급여한 처리와 유산균과 생효모를 혼합 급여한 PF+ LCH, PF+LVH 처리구 모두 6개의 처리구를 두었다. 유산균의 첨가수준은 사료 g당 107 cfii였고, 효모는 106cfii 수준으로 하였다.
유산균의 첨가수준은 사료 g당 107 cfii였고, 효모는 106cfii 수준으로 하였다. 각 처리구는 4반복, 반복당 10수씩을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음수토록 하였다. 계사는 양 측면이 윈치커텐으로 된 개방식 계사였고 점등은 17시간으로 하였다.
유산균은 김상호 등(2000)의 방법을 이용하여 배양 및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유산균을 다시 희석하여 1(/ cfh/ml이 되게 하여, 즉시 사료에 10%씩 혼합하여 급여하였고 효모는 배양 후 원심분리하여 하층부를 냉장 보관하면서 사료급여량의 10%로 조정된 증류수에 3X106 cfu 효모를 희석한 후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신선한 생균을 급여하기 위하여 매 2일마다 유산균과 효모를 처리별로 사료와 혼합하여 당일분은 바로 급여하였고, 나머지 1일분은 37℃의 incubator 에 보관후 익일에 급여하였으며, 사료급여시 잔량은 제거하였다.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신선한 생균을 급여하기 위하여 매 2일마다 유산균과 효모를 처리별로 사료와 혼합하여 당일분은 바로 급여하였고, 나머지 1일분은 37℃의 incubator 에 보관후 익일에 급여하였으며, 사료급여시 잔량은 제거하였다.
계란은 매일 오후 3시에 채란하여 난중 및 산란율을 조사하였고, 사료섭취량은 매주 조사하였으며, 난생산 사료 요구율(사료섭취량/난중)을 계산하였다.
난 각파 열강도 및 난각두께는 FHK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계란 내부 품질인 Haugh unit은 QCM+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장내 미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종료시 각 처리별로 4수씩을 경골탈퇴법으로 희생시켰으며, 회장내용물은 Mec kel's diverticulum 부위에서 아래쪽으로 5 cm 정도 절단하여 채취하였고, 맹장은 두 개의 맹장내용물 전체에서 장 내용물을 무균적으로 채취하였다. 각각의 장 내용물들은 생리적식염수를 이용하여, #"까지 계단희석하였다.
영양소 소화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양시험 종료후 처리당 4수씩 24수를 전분채취법으로 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균체중과 비슷하고 정상적인 산란을 유지하며 정상적인 분을 배설하는 개체를 선발하여 1수용 대사케이지에 수용하고 케이지 적응을 고려하여 3일간 시험사료를 자유 채식 시켜 케이지에 적응토록 하였고, 이후 3일동안 매일 250 g씩 사료를 급여하여 사료섭취량과 배설량을 조사하였다.
실시하였다. 평균체중과 비슷하고 정상적인 산란을 유지하며 정상적인 분을 배설하는 개체를 선발하여 1수용 대사케이지에 수용하고 케이지 적응을 고려하여 3일간 시험사료를 자유 채식 시켜 케이지에 적응토록 하였고, 이후 3일동안 매일 250 g씩 사료를 급여하여 사료섭취량과 배설량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분은 균질기로 충분히 섞은 후 65°C로 고정된 송풍건조기에서 3〜4일간 건조한 후 칭 량하였다.
각 영양소의 소화율은 총섭취량에서 총배설량을 감하여 다시 총섭취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 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처리당 3 수씩 신선계분을 1일간 곤충의 침입을 배제한 상태에서 채취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500 ml 유리용기에 70 g씩 담아 호기적으로 보관하면서 가스검지기와 NH3 gas검지 관5)을 이용하여 7일동안 매일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21주령된 ISA Brown 240수를 공시하여 10주 동안 사양하면서 산란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회장 및 맹장내 미생물 변화, 계란 품질변화 및 계분내 암모니 아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처 리구는 무첨가구와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l(LCH), Lactoba cillus vaginalis avibro2(LVH), 효모 Pichia ferinosa SKM-1 (PF)을 단일 급여한 처리와 혼합 급여한 처리구(PF+LCH PF+LVH)모두 6처리구로 하였다. 사료 g 당 유산균 첨가 수준은 107 cfu 였으며, 생효모는 3X1O15 cfu 이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공시계는 21주령 ISA Brown으로 240수를 이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10주간 축산기술연구소 가금 과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유산균은 산란계의 맹장에서 유래한 Lactobacillus crispatus avihenl (LCH:KFCC-11197), Lactoba cillus vaginalis avihen2 (LVH:KFCC-11198)이었으며, 효모는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에서 분리 한 Pichia farinosa SKM-1 (PF) 이었다.
기초사료는 옥수수와 대두박 위주의 사료를 이용하였으며, 조단백질과 대사에너지함량은 각각 16%와 2, 800 KcaVkg 으로 하였다(Table 1).
공시계는 1수용 3단 철제 케이지에서 사육하였으며 시험사료는 입추 이후 시험종료시까지 자유채식시켰고, 물은 자유로이 음수토록 하였다. 계사는 양 측면이 윈치커텐으로 된 개방식 계사였고 점등은 17시간으로 하였다.
난각 및 난질분석은 24주령과 30주령에 각 반복별로 난중이 비슷한 5개씩의 계란을 선발하여 조사하였다. 난 각파 열강도 및 난각두께는 FHK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계란 내부 품질인 Haugh unit은 QCM+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처리
본 시험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GLM(SAS Institute, 1996)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처리별 유의성 분석은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5%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일반성분, Ca 및 P분석은 AOAC(1995)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각 영양소의 소화율은 총섭취량에서 총배설량을 감하여 다시 총섭취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성능/효과
평균난중도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1일 산란량은 생균제 첨가가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P<0.05), 처리구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난생 산 사료효율은 생균제 첨가구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경향 을 보였다. 영양소 이용성은 생균제 급여구가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었다
난각질은 PF 급여구가 다른 처 리구에 비하여 저하되었으며(P<0.05), Haugh unit는 처리구간에 일관성이 없었다. 계분 내 암모니아 발생량은 배분후 3일부터 6일까지 최대로 발생하였는데, 이 시기에 생균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발생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는다(P<0.
본 연구에서 산란계에 생효모 및 유산균의 단독 혹은 혼합 첨가는 산란율을 향상시키고 계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감소시켰으며, 혼합첨가가 단독 첨가보다 향상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효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평균 산란율은 유산균과 효모의 단독 또는 혼합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생균제 첨가구에서는 PF 첨가 구가 가장 높았지만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고, 단독 및혼한급여에 의한 차이도 없었다.
평균난중은 처 리간 58 g 정도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1일 산란량은 PF 첨가구가 때문에 무첨가 구에 비하여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 다른 처리 구는 무첨가보다 향상되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수당 사료섭취 량은 생균제 처 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당 사료섭취 량은 생균제 처 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 요구율은 산란량이 증가한 PF와 LCH+PF 급여구가 대조 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 특히 PF 급여가 가장 개선되었다(P<0.05).
Michihiro and Nakano(1996)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와 Streptococcus faecalis를 혼합 급여구가 무첨가와 단일 급여 구보다 사료효율이 개선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과 효모의 단일 및 혼합급여가 무첨가에 비하여 뚜렷이 증가하였으나 미생물 첨가방법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것으로 효모와 유산균의 혼합급여에 의한 상승효과가 없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우며, 여러 단계의 생리적인 시기에서 연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박수영 등(2001)과 김상호 등(2001)은 육계에 대한 연구에서 유산균 급여에 의한 영양소 소화율이 무첨가에 비하여 증가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이러한 보고에서 생균제의 급여는 영양소 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영향으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생물수 변화를 나타내었다. 회장내 유산균 수는 LVH, PF+LCH, PF+LVH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효모는 맹장에서 PF구가 높았으나 PF+LVH는 가장 낮아 일관적이지는 않았다. 회장내 혐기성 미생물은 LVH, PF+LCH, PF+LVH7} 가장 많고 LCH구가가장 낮았으며, 맹장내에서는 LVE구가 무첨가에 비하여 많았다(P<0.
05), 효모는 맹장에서 PF구가 높았으나 PF+LVH는 가장 낮아 일관적이지는 않았다. 회장내 혐기성 미생물은 LVH, PF+LCH, PF+LVH7} 가장 많고 LCH구가가장 낮았으며, 맹장내에서는 LVE구가 무첨가에 비하여 많았다(P<0.05). 장내미생물 변화에서 LVH구를 제외하고는 생균제의 급여에 의한 일관된 차익 관찰되지 않았다.
05). 생균제간 비교에서는 PF와 LCH첨가구가 다른 생균제 처 리 보다 발생 량이 높게 나타났다
회장내 유산균 수는 LVH, PF+LCH, PF+LVH첨가구가 대조 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PV0.05), 효모는 맹장에서 PF구가 높았으나 PF+LVU는 가장 났았고 회 장내 혐기성 미생물은 LVH, PF+LCH, PF+LVH7} 가장 많았다.
후속연구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과 효모의 단일 및 혼합급여가 무첨가에 비하여 뚜렷이 증가하였으나 미생물 첨가방법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것으로 효모와 유산균의 혼합급여에 의한 상승효과가 없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우며, 여러 단계의 생리적인 시기에서 연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