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구시에서 1990년대에 급속하게 증가한 편의점의 공간확산과 입지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대구의 편의점은 1992년에 도심 또는 중심업무지구(CBD)에 인접한 점이지대에 처음 도입된 후, 도심과 주거지역으로 확산돼 갔지만, 일정한 구매수요가 발생하는 곳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갔다. 그 결과, 대구시 편의점의 공간분포는 고등학교 밀집지역, 상업지역, 아파트지역 등에 특히 집중분포하는 매우 불균등한 분포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분포는 편의점의 주요한 두 가지 입지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일차적으로는 편의점의 입지가 편의점을 자주 이용하는 인구집단 즉, 그 수요인구의 분포 요인에 가장 영향을 받고, 이차적으로는 그 수요인구가 접근하기 쉬운 도로교통의 접근성 요인에 의해 입지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대구시에서 1990년대에 급속하게 증가한 편의점의 공간확산과 입지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대구의 편의점은 1992년에 도심 또는 중심업무지구(CBD)에 인접한 점이지대에 처음 도입된 후, 도심과 주거지역으로 확산돼 갔지만, 일정한 구매수요가 발생하는 곳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갔다. 그 결과, 대구시 편의점의 공간분포는 고등학교 밀집지역, 상업지역, 아파트지역 등에 특히 집중분포하는 매우 불균등한 분포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분포는 편의점의 주요한 두 가지 입지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일차적으로는 편의점의 입지가 편의점을 자주 이용하는 인구집단 즉, 그 수요인구의 분포 요인에 가장 영향을 받고, 이차적으로는 그 수요인구가 접근하기 쉬운 도로교통의 접근성 요인에 의해 입지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diffusion and locational charateristics of convenience stores in Daegu which had increased rapidly in the 1990s. The first convenience store (CVS) was introduced in the zone of transition of (Namgu district) adjacent to the city center or CBD in 1992. Thereafter they ...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diffusion and locational charateristics of convenience stores in Daegu which had increased rapidly in the 1990s. The first convenience store (CVS) was introduced in the zone of transition of (Namgu district) adjacent to the city center or CBD in 1992. Thereafter they diffused into CBD and residential areas, but they have centered around places where their steady purchasing population was distributed. As a resul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VSs in Daegu shows a very uneven pattern concentrated in areas with many high school, in commercial and business areas, and apartment residential areas. It seems that this pattern is derived from two basic locational factors. Primarily, the location of CVSs in Daegu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emand population which will be clients for CVSs. Secondarily, it is also affected by the accessibility of streets which the demand population utilizes easily.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diffusion and locational charateristics of convenience stores in Daegu which had increased rapidly in the 1990s. The first convenience store (CVS) was introduced in the zone of transition of (Namgu district) adjacent to the city center or CBD in 1992. Thereafter they diffused into CBD and residential areas, but they have centered around places where their steady purchasing population was distributed. As a resul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VSs in Daegu shows a very uneven pattern concentrated in areas with many high school, in commercial and business areas, and apartment residential areas. It seems that this pattern is derived from two basic locational factors. Primarily, the location of CVSs in Daegu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emand population which will be clients for CVSs. Secondarily, it is also affected by the accessibility of streets which the demand population utilizes easi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