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식기구 표면의 위생상태 및 대장균 소독효과
Inhibition Effect of Sanitizers against E. coli and a Hygienic Condition on the Surface of Utensils and Equipments Used to Food Serv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6, 2002년, pp.965 - 970  

김이선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영수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시내 초등학교 급식소에 HACCP 제도를 조기 구축하기 위하여 현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급식기구를 스텐, 나무, 플라스틱 등 대표적 3가지 재질로 분류하여 이들 기구의 소독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들 급식기구 표면의 위생상태는 생균수ㆍ대장균군수.살모넬라균수 측정을 통해 확인되었고, 급식 기구 재질에 따른 소독효과는 소독제의 농도와 처리 시간을 달리한 대장균의 소독효과 실험으로 파악되었다. 급식기구 표면의 위생상태를 검사한 결과 위생도마를 제외한 급식기구들에서 $10^4$~$10^{5}$ CFU/100m$^2$의 세균이 검출되어 여전히 학교 급식소의 위생수준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장균군수의 경우는 대부분의 급식기구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스테인레스 급식기구 중 야채절단기와 탈피기에서는 2.8X$10^1$CFU/100 $cm^2$ 및 1.1X$10^1$CFU/100$cm^2$의 대장균군수가 검출되어 즉시 시정이 요구되어졌다. 급식기구 재질에 따른 대장균의 소독효과 실험결과, 스테인레스 및 나무재질의 급식기구 소독에는 sodium hypochlorite를 유효염소농도 200ppm으로 희석하여 3분가량 소독하는 것이 적합하였고, 플라스틱 급식기구의 소독에는 100ppm 농도로 3분 또는 200ppm 농도로 1분 가량 소독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70% ethylalcohol의 경우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급식기구 소독에는 10초가 적합하였고, 나무.플라스틱 재질에는 30초가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hibition effect of sanitizers against E. coli and a hygienic condition on the surface of utensils and equipments which were used to food service. Samples swabbed using cotton were collected from the surface of stainless steel, wood and plastic utensils and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무, 플라스틱 등 대표적 3가지 재질로 분류한 후 이들 급식기구의 표면에 대한 생균수, 대장균군수, 살모넬라균수 등을 조사하여 위생상태를 확인하였고 소독제를 이용하여 농도별, 처리시간별로 급식기구 재질에 따른 대장균 소독효과에대 한 실험을 실 시 해 봄으로써, 학교급식 소 급식 기 구 소독 방법 표준화 및 HACCP 제도 조기 정 착의 기초자료를 제 시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wak TK, Jang HJ, Rew K. 1990. Hazard analysis and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of sauteed beef of pork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Food Hygiene 5: 99-100. 

  2. Shin SW, Rew K, Kwak TK. 1990. Hazard analysis of packaged meals (Dosirak) during delivery. Korean J Food Hygiene 5: 85-98. 

  3. Kwak TK, Lee HS, Yang IS, Kim SH, Moon HK. 1991. Assessment of nutritional adequacy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served in day-care cen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7: 111-118. 

  4. Kwak TK, Joo SY, Lee SM. 1992. Applying HACCP for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1: 123-135. 

  5. Hong CH, Lee YW. 1992. Development of an inspection item and its application for the hygienic improvement of foodservice establishment using. Korean J Food Hygiene 7: 33-45. 

  6. Kim SH. 1994. Relationships between actual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Dosirak items marketed in CVS. Korean J Dietary Culture 11: 235-469. 

  7. Kye SH, Moon HK. 1995.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of Korean soups prepared at Korean resturants: Hazard analysis of tang (Galbitang, Sullungtang, Jangkuk). Korean J Soc Dietary Culture 10: 35-44. 

  8. Kye SH. 1995.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of one-dish meal prepared at Korean resturants: Naeng-myeun (cold noodles) and Pi-bim bab (mixed rice). Korean J Soc Dietary Culture 10: 167-174. 

  9. Kye SH, Moon HK, Chung HR, Hwang SH, Kim WS. 1995.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sanitary condition in Korean style-restaurant in Seoul city are (2): Evaluation on sanitary management of cooking equipment and personal hygiene. Korean J Soc Dietary Culture 10: 1-10. 

  10. Seo SY. 1995. Microbiological quality imporvement study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1. Kwak TK, Nam SL, Kim JL, Park SJ, Seo SY, Kim SH, Choi EH. 1995. Hazard analysis of commiss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1: 249-260. 

  12. Kwak TK, Kim SH, Park SJ, Cho YS, Choi EH. 1996.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atices for packaged meals (Kim Pab)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using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Korean J Food Hygiene 11: 177-187. 

  13. Rew K. 1996. The development of computer-assisted HACCP program and HACCP education/training manual for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ssurance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JE. 1998. The application of HACCP model to the development of the sanitation management tools for quality control of food service establishment. MS Thesis. Sookmyo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JS. 1999. Development of the computer-assisted HACCP system program and HACCP-based sanitation evaluation tools for institutional food service operation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6. Chun HJ. 1998.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of plastic container and kitchen utensils used in employee feeding foodservice operation in Seoul. J Korean Soc Food Sci Nutr 14: 21-24. 

  17. Dong KJ, Eun SL. 2002. The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enviroments and facilities at food service operation in elementary scho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16-220. 

  18. Kim YS, Jeon YS, Han JS. 2001. Disinfection state and effective factors of utensils and equipments used to foodservice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69-977. 

  1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0. Food code 78-107. 

  20. Harrigan WF, McCance ME. 1976.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Academic Press INC, New York. 

  21. Jeong DK, Lee JS. 2000.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of foodservice operation in Youngdo. Youngdo development institute,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22. Bryan FL. 1982. Microbiological hazards of feeding systems. In Microbiological Safety of Food in Feeding Systems. ABMPS Report No. 125,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p 64. 

  23. Luck H, Ganron H. 1990. Quality control in the dairy industry. In The microbiology of milk products.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24. Sykes G. 1965.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2nd ed. JB Lippincott company, Philadelphia. p 341-486. 

  25. Price PB. 1950. Reevalution of ethyl alcohol as a gemicide. Archs Surg 60: 492-501. 

  26. Lee GI. 1977. The experimental study of disinfectants effect on the skin by alcohol and the other disinfectant solutions.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