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우 번식우 농가의 번식실태 및 번식장애 치료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Treatment of Reproductive Disorder in Hanwoo 원문보기

韓國家畜繁殖學會誌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v.26 no.3, 2002년, pp.291 - 298  

김학영 (상주대학교 축산학과) ,  송상현 (경상대학교 농생명과학원) ,  조헌조 (상주대학교 축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주지역의 한우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사육규모와 형태, 사양관리 방법 등 번식우의 사양관리 형태와 번식우의 번식장애 발생률을 조사하였으며, 번식장애우에 대하여 proge-sterone제재인 control internal drug releasing for cattle(CIDR)를 처리하여 치료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번식장애우에 대한 CIDR 처리는 7일간 질내에 삽입하였으며, 제거 하루 전에 PGF$_2$$\alpha$를 투여하여 황체를 퇴행 발정을 유기하고 발정 확인 후 10시간 간격으로 인공수정을 실시 임신의 유무로 치료 판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북 영주지방의 127호의 한우 사육농가에서 사육하는 총 1,061두의 번식우의 번식상황을 조사한 결과 번식장애우는 209두로서 발생률은 19.7%이었다. 사육규모별 번식장애 발생율은 10두 이하, 10~20두 및 20두 이상 농가에서 각각 37.5, 14.7 및 13.6%로서 사육규모가 커질수록 발생률이 유의적으로(P<0.05) 낮아지는 경 향이 었다. 2. 번식우의 농가 사육형태별 번식장애 발생률은 계류사육이 30.4%로서 군사의 14.7%보다 유의 적으로(P<0.05) 발생률이 높았으며, 군사의 경우 두당 사육면적이 넓을수록 번식장애 발생률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3. 번식장애우의 산차별 분포를 보면 미경산우가 50.7%로 가장 많았으며 산차가 증가할수록 번식장애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번식장애우의 요인별 분포는 무발정이 65.1%, 미약발정 29.2%, 난소낭종 4.3% 그리고 기타1.4%의 순으로 많이 분포되었다. 5. 209두의 번식장애우에 CIDR를 처리하고 인공 수정한 결과 157두가 임신되어 75.1%의 치료효과를 얻었다. 번식장애우의 신체충실 지수별 치료효과는 신체충실 지수가 1, 2 및 3인 경우 수태 율이 각각 85.7, 84.9 및 86.8%로서 유의 적으로(P<0.05)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다소 야윈 경우가 과비된 경우에 비하여 치료 효과가 좋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한우 사육농가의 번식장애 발생률은 19.7%로서 사육규모가 커서 농가의 관심도가 높을수록 또한 계류보다는 넓은 면적에서 군사하는 경우가 번식장애 발생률이 낮았으며, 요인별로는 발정과 관련된 장애가 많았다. 이러한 번식장애우도 농가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progesterone 제재인 CIDR를 처리함으로서 75.1%를 치료할 수 있으며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체충실지수를 1, 2 및 3으로 유지하기 위한 적정 사양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status and the effect of progesterone treatment on the recovery of reproductive disorders in Hanwoo. Hanwoo farms were surveyed the general management status, such as the type of barn, the feed intake, the incidence of reproductive disord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주 지역의 한우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사육 규모와 형태, 사양관리 방법 등 번식우의 사양관리 형태를 조사하고 번식에 공용되는 번식적령기 이후의 번식우를 대상으로 번식장애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또한 번식 장애우에 대하여 농가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인 progesterone제재를 이용하여 발정을 유도 · 인공수정함으로써 번식 장애우의 치료 효과를 구명 하고자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주 지역의 한우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사육 규모와 형태, 사양관리 방법 등 번식우의 사양관리 형태를 조사하고 번식에 공용되는 번식적령기 이후의 번식우를 대상으로 번식장애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또한 번식 장애우에 대하여 농가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인 progesterone제재를 이용하여 발정을 유도 · 인공수정함으로써 번식 장애우의 치료 효과를 구명 하고자하였다.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주지역의 한우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사육규모와 형태, 사양관리 방법 등 번식우의 사양관리 형태와 번식우의 번식장애 발생률을 조사하였으며, 번식장애우에 대하여 progesterone제재인 control internal drug releasing for cattle(CIDR)를 처리하여 치료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번식장애우에 대한 CIDR 처리는 7일간 질내에 삽입하였으며, 제거 하루 전에 PGF2α를 투여하여 황체를 퇴행 발정을 유기하고 발정 확인 후 10시간 간격으로 인공수정을 실시 임신의 유무로 치료 판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llows, R. A., Short, R. E. and Staigmiller, R. B. 1994. Exercise and induced-parturition effects on dystocia and rebreeding in beef cattle. J. Anim. Sci., 72:1667-1674 

  2. Fajersson, P., Stanko, R. L. and Williams, G. L. 1999. Distribution and repeatability of anterior pituitary responses to GnRH and relationship of response classification to the postpartum anovulatory interval of beef cows. J. Anim. Sci., 77:3043-3049 

  3. Gordon, I. 1996. Controlled reproduction in cattle and buffaloes. CAB international 

  4. Lucy, M. C., Billings, H. J., Butter, W. R., Ehnis, L. R., Fields, M. J., Kesler, D. J., Kinder, J. E., Mattos, R. C., Short, R. E., Thatcher, W. W., Wettemann, R. P., Yelich, J. V. and Hafs, H. D. 2001. Efficacy of an intravaginal progesterone insert and an injection of $PGF_{2a}$ for synchronizing estrus and shortening the interval to pregnancy in postpartum bee cows, peripubertal beef heifers and dairy heifers. J. Anim. Sci., 79:982-995 

  5. Macmillan, K. L., Taufa, V. K., Barnes, D. R. and Day, A. M. 1991.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heifers and cows treated with a new intravaginal device. Anim. Reprod. Sci., 26:25-40 

  6. Mares, S. E., Peterson, L. E., Handerson, E. A. and Davenport, M. E. 1977. Fertility of beef herds inseminated by estrus or by time following Synchro-Mate B (SMB) treatment. J. Anim. Sci., (suppl. 1):185(Abstr.) 

  7. Odde, K. G. 1990. A review of synchronization of estrus in postpartum cattle. J. Anim. Sci., 68:817-830 

  8. Ryan, D. P., Snijders, S., Yaakub, H. and O'Farrell, K. J. 1995. An evaluation of estrus synchronization programs in reproductive management of dairy herds. J. Anim. Sci., 73:3687-3695 

  9. Webel, S. K. 1976. Control of the estrus cycle in cattle with a progesterone releasing intravaginal device. Proc. 8th Congr. Anim. Reprod. AI. Krakow. 3:521-523. 

  10. Xu, Z. Z., Verkerk, G. A., Mee, J. F., Morgan, S. R., Clark, B. A., Burke, S. R. and Burton, L. J. 2000. Progesterone and follicular changes in postpartum noncyclic dairy cows after treatment with progesterone and estradiol or with progesterone, GnRH, $PGF_{2a}$ and estradiol. Theriogenology, 54:273-282 

  11. 백광수, 김재환, 강희설, 이종경, 류일선, 김남식. 1997. 한우 암소의 번식장애 유형과 원인구명. 축산기술연구소 보고서. 104-112 

  12. 백광수, 고응규, 성환후, 이명식, 류일선, 정진관, 나승환. 1998a. 산차가 한우번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4:359-366 

  13. 백광수, 고응규, 성환후, 이명식, 최순호, 김영근. 1998b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설태 조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2:367-373. 

  14. 변명대, 조헌조. 1973. 한우 번식장해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학회지. 15:114-118 

  15. 이용빈, 임경순. 1982. 도살우의 번식장애사례 조사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6:19-30 

  16. 장구, 손창호, 이은송, 류일선, 이강남, 이동원, 오명환, 오성종, 정근기, 최상용, 노규선, 김상철, 이병천, 황우석. 2001. 한우의 신속한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II. 조기 임신진단법 및 번식장애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6:7-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