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we consist in the crucial juncture have to develope culture goods which is worth standing for our nation's endemism. In this vein, this study tried to reproduce and apply it to the present time by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elements such as the kind, the use and the fabrication of sewing...
Recently, we consist in the crucial juncture have to develope culture goods which is worth standing for our nation's endemism. In this vein, this study tried to reproduce and apply it to the present time by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elements such as the kind, the use and the fabrication of sewing craft-works was beloved in women's quarter called Kyubang in the Chosun dynasty. With thi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e craft-works which can make an appeal to foreigners with the merits between contemporary factor and traditional fact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nce economic system in the Chosun dynasty was based on home handicrafts and self-sufficiency, it was a commonplace of the Chosun dynasty that home industry such as sewing, spinning and sericulture was thriving among all the women without social ladder. And also, since women of the day were governed by confucian tradition and moral obligation, they mainly have to live in women's quarter called Kyubang restricted to visitors. For the reasons, Wives of the time have no choice but to spend their time by sewing in the promotion of virtues for woman. In additions, they made an effort to pray for the longevity, the wealthy and the fertility of their family members. Second, the sewing instruments is necessary for women's sewing. And also, since sewing instruments was considerably scientific, efficient in those shape and structure, this instruments could save wives a lot of trouble. Third, since many people were convinced of the functions as practicality as well as fanciness, the sewing craft-works were very useful to them in leading their daily life. Fourth, the reappeared works were a total of 22, and the applied works were a total of 17.
Recently, we consist in the crucial juncture have to develope culture goods which is worth standing for our nation's endemism. In this vein, this study tried to reproduce and apply it to the present time by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elements such as the kind, the use and the fabrication of sewing craft-works was beloved in women's quarter called Kyubang in the Chosun dynasty. With thi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e craft-works which can make an appeal to foreigners with the merits between contemporary factor and traditional fact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nce economic system in the Chosun dynasty was based on home handicrafts and self-sufficiency, it was a commonplace of the Chosun dynasty that home industry such as sewing, spinning and sericulture was thriving among all the women without social ladder. And also, since women of the day were governed by confucian tradition and moral obligation, they mainly have to live in women's quarter called Kyubang restricted to visitors. For the reasons, Wives of the time have no choice but to spend their time by sewing in the promotion of virtues for woman. In additions, they made an effort to pray for the longevity, the wealthy and the fertility of their family members. Second, the sewing instruments is necessary for women's sewing. And also, since sewing instruments was considerably scientific, efficient in those shape and structure, this instruments could save wives a lot of trouble. Third, since many people were convinced of the functions as practicality as well as fanciness, the sewing craft-works were very useful to them in leading their daily life. Fourth, the reappeared works were a total of 22, and the applied works were a total of 17.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규방 여인들의 손에서 손으로 이어진 각종 침선소품의 종류와 쓰임새, 제작기법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실제로 재현해보고 응용해보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본 연구의 의의는 우리문화를 대표할만한 문화상품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요즈음 전통 침선소품의 응용을 통하여 현대인의 감각에 맞고 전통적인 멋을 살릴 수 있는 공예품으로 발전시켜 나가는데 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규방여인들의 손끝에서 만들어진 각종 침선소품의 종류와 쓰임새, 제작기법를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실제로 재현해보고 현대적으로 응용해보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조선시대 중, 후기로 우리나라 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및 유물자료를 관찰 검토하였으며, 각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제작기법을 알아보았다.
침염 하였다. 침선기법으로는 홈질, 박음질, 감침 질, 공그르기, 상침, 사뜨기, 쌈솔, 쌍 밀이 단추, 풀칠하기 등을 사용했다.
추]선기법으로는 홈질, 박음질, 감침질, 공:z르기, 상침, 사뜨기, 곱솔, 쌈솔, 쌍밀이단추 풀칠하기 등을 사용했다. 본 소품제작에서 쓰인 감침질, 쌈솔, 상침, 쌍밀이단추 기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된 소재는 황금색 운문단과 청색 숙고사를 이용하였으며 침선기법으로는 홈 질과 감침질 매듭단추를 이용하였다. 직사각형의 천을 겉과 겉을 맞대고 박아 창구멍으로 뒤집은 후 종이 접듯이 접어서 형태를 만든 후 겉쪽에서 감침 하였다.
조각천을 감침질 기법으로 연결하여 골무와 조각팬던트를 만들었다. 사용된 소재는 쪽, 쑥, 소목으로 염색한 명주이며, 조각팬던트는 정향, 홍화, 자초로 염색한 손무명이다.
사용된 소재는 쪽, 쑥, 소목으로 염색한 명주이며, 조각팬던트는 정향, 홍화, 자초로 염색한 손무명이다. 침선기법으로는 감침질, 풀칠하기, 사뜨기 등을 이용하였다
서로 재질이 다른 느낌을 주* 갑사와 모본단, 항라와 모본단으로 만들어 재질감의 조화를 이루어 보았다. 침 선기법으로는 홈질, 박음질, 공그L르기등을 이용하였다.
작품 제작에 사용한 소재로는 손무명, 삼베, 모시, 견(명주, 숙고사, 갑사, 양단, 운문단, 모본단)을 사용하였다. 염색기법으로는 홍화, 쪽, 괴화, 소목, 자초, 꼭두서니, 빈랑, 정향, 물푸레나무, 쑤 오배자 염색을 하였으며, 침선기법으로는 홈질, 박음질, 시침질, 감침질, 공그르기, 상침, 사뜨기, 곱솔, 쌈솔, 쌍 밀이 단추, 매듭단추, 풀칠하기 등을 사용했다.
대상 데이터
침선소품 제작에 사용한 소재로는 손무명, 삼베, 모시, 견(명주, 숙고사, 운문단, 모본단, 양단)을 사용했으며, 염색기법으로는 홍화, 쪽, 괴화, 소목, 자초, 꼭두서니, 쑥, 물푸레나무, 오배자, 정향 등을 이용하여 침염 하였다. 침선기법으로는 홈질, 박음질, 감침 질, 공그르기, 상침, 사뜨기, 쌈솔, 쌍 밀이 단추, 풀칠하기 등을 사용했다.
(2) 쪽
쪽염색은 2000년 7월 26~7월 28일 경남 통도사에서 쪽 발효염색을 하였다. 발효쪽 염색을 처음부터 끝까지 하기 위해서는 약 10일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는데, 시간이 여의치 않아 단계마다 미리 준비한 쪽 항아리를 가지고 염색했음을 밝혀둔다.
본 염색에서는 직물(100g)과 염료의 양(100g)을 동일하게 사용했으며, 백반은 직물의 5%, 철은 직물의 1%를 사용하였다.
소재는 꼭두서니, 소목, 괴화, 쑥 등으로 염색한 명주와 숙고사를 이용하였으며, 침선기법으로는 감침질, 사뜨기, 풀칠하기를 이용했다. 겉감으로 배접지를 싼후 안쪽에 안감을 붙이고 사뜨기를 이용하여 앞, 뒤판을 연결했다.
소재는 쑥으로 염색한 명주와 소목, 꼭두서니, 괴화, 오배자로 염색한 모시를 이용하였으며, 침선 기법으로는 감침질, 홈질, 시침질, 쌍밀이 단추를 이용하였다. 여러개의 조각천을 겉쪽에서 감침질로 이어붙인후 안쪽에 솜을 넣어 마무리 하였다.
사용된 소재로는 분홍색, 연두색 양단을 사용했으며, 침선기법으로는 홈질, 공그르기 등을 이용하였다. 펼쳐보면 위는 모가지고 아래는 둥근데, 끈을 졸라매면 위가 더욱 오그라져 전체가 둥근 형태가 된다.
사용된 소재는 흰색, 자주색 숙고사와 분홍, 옥색 양단을 이용하였으며, 침선기법으로는 홈질과세땀상침, 매듭단추를 이용하였다. 펼치면 사각형의 주머니 형태이며 위 입구 부분에서 세 등분 하여 접으면 아래 양쪽으로 귀가 나오게 된다.
특이하다. 사용된 소재는 황금색 운문단과 청색 숙고사를 이용하였으며 침선기법으로는 홈 질과 감침질 매듭단추를 이용하였다. 직사각형의 천을 겉과 겉을 맞대고 박아 창구멍으로 뒤집은 후 종이 접듯이 접어서 형태를 만든 후 겉쪽에서 감침 하였다.
소재는 정향, 소목으로 염색한 명주와 운문단을이용하였으며, 침선기법으로는 홈질, 세땀상침, 사뜨기, 매듭단추를 이용하였다. 직사각형의 주머니 형태로 접어 사뜨기 또는 감침을 했으며, 크기는 대략 폭 9~ 10cm, 너비 26~28cm 정도이다.
사용된 소재는 자초, 홍화, 정향, 소목, 꼭두서니로 염색한 명주이며, 침선기법으로는 홈질, 감침질, 공그르기, 세땀상침, 매듭단추를 이용하였다. 정사각형의 보자기 형태로 가장자리에는 장식천을 두르고 매듭단추로 연결하였다.
3. 침선소품의 응용
응용작품으로는 조선시대 침선소품에 쓰였던 소재, 염색기법, 침선기법 등을 응용하여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소품을 제작하였다. 골무와 조각팬던트 목걸이, 조각 바늘꽂이, 주머니, 가방, 스카프, 보자기 등 총 17점을 제시하였다.
수 있는 소품을 제작하였다. 골무와 조각팬던트 목걸이, 조각 바늘꽂이, 주머니, 가방, 스카프, 보자기 등 총 17점을 제시하였다.
만들었다. 사용된 소재는 쪽, 쑥, 소목으로 염색한 명주이며, 조각팬던트는 정향, 홍화, 자초로 염색한 손무명이다. 침선기법으로는 감침질, 풀칠하기, 사뜨기 등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소재는 소목, 홍화, 괴화, 쪽, 쑥, 정향, 꼭두서니로 염색한 명주이며, 침선기법으로는 감침질, 홈질, 시침질을 이용하였다. 안에는 솜을 넣고 고리 또는 술을 매달았다.
사용된 소재는 쪽, 홍화, 괴화, 꼭두서니 등으로 염색한 명주와 숙고사 이며, 침선기법으로는 감침질, 홈질, 세땀상침 등을 이용하였다. 요즘은 선물을 돈으로 대치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돈을 정성를
사용된 소재는 꼭두서니(백반), 오배자(철)로 염색한 망사실크와 명주이다. 오른쪽 오배자 스카프에는 홀치 기 기법으로 나비 문양을 나타내었다.
사용된 소재는 꼭두서니, 쪽, 홍화로 염색한 면을 이용하였다. 왼쪽가방은 꼭두서니로 염색한 면을 여러겹 겹쳐박은후 사이사이를 가위로 잘라 올 풀기 기법을 이용하여 모피의 느낌을 낸 가방이다.
작품 제작에 사용한 소재로는 손무명, 삼베, 모시, 견(명주, 숙고사, 갑사, 양단, 운문단, 모본단)을 사용하였다. 염색기법으로는 홍화, 쪽, 괴화, 소목, 자초, 꼭두서니, 빈랑, 정향, 물푸레나무, 쑤 오배자 염색을 하였으며, 침선기법으로는 홈질, 박음질, 시침질, 감침질, 공그르기, 상침, 사뜨기, 곱솔, 쌈솔, 쌍 밀이 단추, 매듭단추, 풀칠하기 등을 사용했다.
2. 침선소품의 재현
재현작품으로는 골무, 바늘꽂이, 염낭, 귀주머니, 약주머니, 조각보, 예단보, 수저집, 버선본집 등을 선정하여 총 22점을 제작하였다.
이론/모형
보았다. 침 선기법으로는 홈질, 박음질, 공그L르기등을 이용하였다.
성능/효과
조선시대 가옥구조를 보면 안방, 사랑방으로 구별되어 '男不言內' 하고 '女不E 外, 라 하여 내외지별이 엄하였으며, 문밖 출입도 엄격히 제한되었다.2) 특히 양반부녀의 외출은 극단으로 제한되어 외출시에는 반드시 쓰개치마로 얼굴을 가리었다. 또한 일체 외부와 절연(絶緣)하고 내방(內房)안에서 밤 늦게까지 침선(針線) 일을 하는 것이 생활이었다同 이 시 대의 여 성교육 또한 가정에서 내훈서를 중심으로 가사기술(家事技術) 과 유교정신(儒敎精神)에 입각한 덕육(德育)이 강조되었음을 살필수 있다.
또한 일체 외부와 절연(絶緣)하고 내방(內房)안에서 밤 늦게까지 침선(針線) 일을 하는 것이 생활이었다同 이 시 대의 여 성교육 또한 가정에서 내훈서를 중심으로 가사기술(家事技術) 과 유교정신(儒敎精神)에 입각한 덕육(德育)이 강조되었음을 살필수 있다.4)몸매를 단정히 하고 깨끗이 가지며, 불평 불만하지 않고 열심히 침선 방적에 종사하는 것이 그들의 할 일이었다” 이것을 부인의 4덕이라 하여 찬양해 왔으니 부덕(婦德), 부언 (婦言), 부용(婦容), 부공(婦功)이 다 그러한 것이다.
첫째, 조선시대는 가내생산(家内牛.産)과 자급자족 경제체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여성들은 유교적, 도덕적 관념의 지배를 크게 받게 되어 외부출입이 자유롭지 못했던 관계로 자연히 규방(閨房에서 생활하게 되었고 부덕(婦徳)을 쌓으며 지혜와 인내로서 생활해나갔다. 따라서 침선소품의 종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침선소품의 종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침선에 쓰인 도구들은 침선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들이었으며 그 형태나 구조가 매우 과학적이고 능률적이서 침선(針線)의 수고를 다소나마 덜어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세째, 침선소품의 종류로는 골무, 바늘집, 바늘꽂이, 주머니, 보자기, 수저집, 향집, 버선본집, 가위집, 자집, 안경집, 매듭단추, 쌍밀이단추, 쌈지, 열쇠패 등을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침선소품류들은 실용적인 용도 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용도로도 사용되어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쓰여졌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침선소품의 재현과 응용에서는 재현작품 총 22점, 응용작품 총 17점을 제시하였다. 작품 제작에 사용한 소재로는 손무명, 삼베, 모시, 견(명주, 숙고사, 갑사, 양단, 운문단, 모본단)을 사용하였다.
후속연구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디자인 개발을 통해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코리아니즘으로 발전시켜 나가길 바라며, 또한 상품 기획이나 유통, 판매 등 전략적 마케팅 방안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