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2 no.1, 2002년, pp.7 - 15  

이화인 (경인여자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of nursing education for the christian colleg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0th to 30th September. 2000. The subjects were 220 nursing students. Th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상자의 영적안녕,정신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일개 K대학 간호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재학생 1.
  • 본 연구의 일반적인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영적 안녕상태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1학년때 예배와 기독교개른을 플수과목으로 이 수하는 간호학생들에 게 영 적 안녕 이 정 신 건강에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므로써 추후 본 대학이 기독교 대학으로써 간호교육을 위한 내응과 방향성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가설 설정

  • 1. 영적안녕은 종교 (F・27.22, P-0.O). 신앙유무(F-6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J. N. & Park, K M. (1999). The effect of spiritual care education on dying attitude chang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public health of Nursing, 13(1) 

  2. Kim, M. H (1997). Coarelaticai between spiritual well-bang and spiritual care important perceived degree. Soon-chun college Jourriai 21(1) 

  3. Kim, S. G. (1920). Spiritual nursing - Nurse's role, Seoul, Tee-Han Nursing Association Publishing Co 

  4. Byun, S. H (1924). Pychological Health on the theological view Mental health Research 2, Han-yang university institute for mental health 

  5. Carson, V. B. (1928). Spiritual Dimensions of Nursing Practice,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6. Cho, E. S. (1983). Mental hygiene, Seoul Cyo-hak Co 

  7. Choi, S. S. (1900).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mel perceived health status of ouban adults.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Yen-sei University 

  8. Ellison, C. W (1983). Spiritual well-being: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11(4), 330-340 

  9. Goddard, N. (1995). Spirituality as integrative Energy; a philosophical Analysis as Requisite Precursor to Holistic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uanced Nursing, 22, 800-815 

  10. Gou, S. H (1928). A study of mental health concept in korean. Doctoral Dissertation from E-hwa women's university 

  11. Ha, Y S. (1997). Mental health Nursing, Hyun-moon Sa publishing Co 

  12. Ha, Y S. (1986). Introduction Nursing, Seoul Shin-kwang publishing Co 

  13. Hill, L., & Smith, N. (1985). Self - Care Nursing : Promotion of Health, Appleton Century - Crofts, 126-216 

  14. Jahoda M. Toward a Social Psychology of mental health(ED) Ruth, KK, & Helen L, W. (1975). Community program: for mental health,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5. Jung, J S. (1999).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of LCU. Nurse and spiritual care Intervention. J. of the MARGAEET PRITCHARD college cf nursing, 12(1) 

  16. Liening, M. (1978). Spirituel needs of the psychiatric patient, M Lois Dunlap (ed). 

  17. Moberg, D. O. L. (1924). Subjective measures of spiritual well-being. Reuiew of Religious Research, 25(4) 

  18. Oh, P. J (1997).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J. of Adult 9(2), 189-198 

  19. Oh, P. J (1996).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of nurses and spiritual Nursing care Korean Nursing Research, 5(2), 103-117 

  20. Paloutzian, J.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quallity of life. In LA Peplau and K.Perlman, Loneliness: A sourcebook of the theory, research and therapy- Wiley Interscierce 

  21. Reed co. (1992). An emerging paradigm for the investigation of spirituality well-being, religiosity, hope, depression, and other mood states in elderly people coping with cancer. Oncology Nursing and Health, 15, 349-357 

  22. Ruth, L S. (1979). 'Guidelines for spiritual Assessment', A.I.N., Sep 

  23. Stuart, E. M., Deckro, J. P., & Mandle, C. L. (1989). Spiritual in hailth and healing : A clinical program 

  24. Vaughan, F. (1986). The inward arc Hedling and wholeness in psychotherapy and spirituality. Boston, New Science Library 

  25. Yang, S. H (1990). Correlation between Pathological phenomenon of education and physical, mental health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from Graduate School of Korean Teacher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