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Based on the ASSET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5, 2011년, pp.673 - 683  

정미자 (광양보건대학 간호과) ,  은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경상대학교 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SCEP) for nursing students to help increase their awareness of the essence of spirituality in care so as to enable them to promote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영적 간호역량이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 프로그램에서는 대상자의 영적 요구를 사정하고 환자 상담과 지지를 할 수 있는 개인 역량 강화를 위하여 스트레스 관리, 감정표현 및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영적 간호요구 사정, 영적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등에 대한 내용으로 영적 간호역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교육을 제공하였다. 이는 Baldacchino (2008a)가 영성, 영적 간호, 영적 장애의 인식, 환자의 영적 요구 확인, 환자의 영적 대처 전략을 확인하는 능력에 대한 강의 및 세미나를 실시한 결과 영적 간호역량이 증가되었다는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영성, 영적 안녕, 영적 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적 간호제공을 위한 기초역량을 증진하고자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영성, 영적 안녕, 영적 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은 Rogers (1996)의 인간-중심이론과 Narayanasamy (1999)의 ASSET 모델과 기존의 문헌을 근거로 개발되었다.
  • 본 연구의 일반적인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ASSET 모델을 적용한 영적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자시도 되었으며,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국내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의 영적 간호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영적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지 않았고, 영적 간호교육을 제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중재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외에서 영적 간호교육을 위해 표준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영성 및 영적 간호역량의 증진 효과가 검증된 ASSET 모델을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개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대부분의 교육과정은 종교적 관점에서 영성에 접근한 것으로 교육이론이나 모델을 적용하지 않고 영적 간호의 기본 개념의 소개와 영적 요구의 사정 및 영적 간호 제공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내용이 강의로 진행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범종교적이고, 교육이론에 기반을 두고, 영적 간호의 구체적인 내용과 구성을 갖추어, 영적 간호역량의 증진이라는 구체적인 학습목표를 가진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자기 인식, 영성, 간호의 영적 차원으로 구성되는 영적 간호교육 프로그램인 ASSET 모델은 자기인식을 통한 가치 명료화, 전체성, 영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 스트레스 관리, 희망주기, 감정표현 및 의사소통, 간호과정적용 등의 과정을 통해 간호대학생의 영성, 영적 안녕, 영적 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고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ASSET 모델에서 영적 간호교육 중 자기인식을 통한 가치 명료화와 영성에 대한 개념의 명료화는 영성(Shih et al.
  • 제1가설: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1가설: 영적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성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2가설: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적 안녕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2가설: 영적 간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적 안녕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3가설: “영적 간호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적 간호역량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3가설: 영적 간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적 간호 역량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적 건강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인간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존재이며, 영적 건강이란 영적으로 안녕한 상태로서 자기 자신, 이웃 및 절대자와의 올바른 관계를 통하여, 삶의 목적을 갖고, 자기 성취적이며, 충만한 느낌을 갖는 상태를 의미한다(Paloutzian&Ellison, 1982). 영적 요구는 주로 영적 고뇌가 커지고, 영적 건강을 위협받는 대상자들인 말기 암환자, 호스피스 환자.
ASSET 모델은 무엇으로 이루어졌는가? 영적간호교육을위하여영국의Narayanasamy (1999)는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을 위한 영적 간호교육과정에 대한 ASSET 모델(a model for Actioning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e Education and Training in nursing: ASSET)을 개발하였다. ASSET 모델은 영적 간호교육을 위한 구성 및 내용, 영적 간호교육과정, 그리고 영적 간호교육의 결과로 이루어졌다. 영적 간호교육을 위한 구성 및 내용에서 영성의 기본인 자기 인식, 영성과 영적 차원에 대한 학습내용을 포함하였으며, 교육과정에서는 가치 명료화, 전체성, 영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 간호과정 4단계에 대한 교육과 학습 평가로 구성되었다.
ASSET 모델이 간호학적 교육 모델로서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ASSET모델을 적용한 영적 간호교육은 간호대학생들의 환자 요구에 대한 민감성과 영적 요구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상자의 영적 간호에 우선권을 둔 대상자 중심의 전인 간호를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Baldacchino, 2008a; Shi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ldacchino, D. R. (2008a). Teaching on the spiritual dimension in care: The perceived impact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28, 501-512. 

  2. Baldacchino, D. R. (2008b). Teaching on the spiritual dimension in care to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Nurse Education Today, 28, 550-562. 

  3. Choi, M. H., Kim, K. H., Kim, K. O., Kim, K. S., Kim, S. K., Kim, J. S., et al. (2001). A study on needs for the aged's spiritual nursing care. The Chung Ang Journal of Nursing, 5, 1-9. 

  4. Dunn, J. D. (1998). Powerlessness regarding health-service barriers: Construction of an instrument. Nursing Diagnosis, 9, 136-143. 

  5.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doi:10.3758/BRM.41.4.1149 

  6. Highfield, M. E. (1992). Spiritual health of oncology patients. nurse and patient perspectives. Cancer Nursing, 15, 1-8. 

  7. Hoover, J. (2002).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impact of undertaking an educational module on human car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7(1), 79-86. 

  8. Howden, J. W. (1992).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 assessmen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Denton, TX, USA. 

  9. Kang, J. H. (1996). A study for the spiritual well-being of cancer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0. Kang, S. R. (2006).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803-812. 

  11. Kim, J. N., & Park, K, M. (1999). The influences of spiritual care nursing education towards death and dying.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3, 114-127. 

  12. Koh, M. S. (2002). Experiences in spiritual nursing care by student nurses before starting nursing practice in hospital: Part 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9, 463-471. 

  13. Koh, M. S. (2003). A study of nursing student's spiritual care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9, 175-185. 

  14. Lee, H. I. (2002).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7-15. 

  15. Lee, M. H., Kang, H. K., & Park, J. K. (2003). A study of spirituality of nursing students (No. 2, 7-22). Busan: Kosin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Holistic Nursing Science. 

  16. Lovanio, K., & Wallace, M. (2007). Promoting spiritual knowledge and attitudes: A student nurse education project. Holistic Nursing Practice, 21, 42-7. 

  17. McSherry, W., Gretton, M., Draper, P., & Watson, R. (2008). The ethical basis of teaching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e: A survey of student nurses perceptions. Nurse Education Today. 28, 1002-8. 

  18. Narayanasamy, A. J. (1999). ASSET: A model for actioning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e education and training in nursing. Nurse Education Today, 19, 274-285. 

  19. Oh, P. J., Chun, H. S., & So, W. S. (2001). Spiritual assessment scale: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 168-179. 

  20.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 D. Perman (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 therapy (pp.124-134).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21. Pesut, B. (2002). The development of nursing students'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e-giving. Nurse Education Today, 22, 128-135. 

  22. Rogers, C. (1996). Teaching adults (2nd ed.). Philadelphia, PA: Open University Press. 

  23. Shih, F. J., Gau, M. L., Mao, H. C., Chen, C. H., & Kao, L. H. (2001). Empirical validation of a teaching course on spiritual care in Taiw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6, 333-346. 

  24. Shin, K. H. (2002). Educational life of Carl Rogers and meta-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Principles, 7(1), 133-164. 

  25. Taylor, E. J. (2008). What is spiritual care in nursing? Findings from an exercise in content validity. Holistic Nursing Practice, 22, 154-159. 

  26. Tilden, V. P., Nelson, C. A., & May, B. A. (1990). The IPR inventory: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9, 337-343. 

  27. van Leeuwen, R., & Cusveller, B. (2004). Nursing competencies for spiritual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 234-246. 

  28. van Leeuwen, R., Tiesinga, L. J., Middel, B., Post, D., & Jochemsen, H. (2007). An instrument to measure nursing competencies in spiritual c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scale. In R. van Leeuwen (Ed.). Towards nursing competencies in spiritual care (pp. 131-151).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Press. 

  29. van Leeuwen, R., Tiesinga, L. J., Middel, B., Post, D., & Jochemsen, H. (2008).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me for nursing students on developing competence in the provision of spiritual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2768-2781. doi:10.1111/j.1365-2702.2008.02366.x 

  30. van Leeuwen, R., Tiesinga, L. J., Middel, B., Post, D., & Jochemsen, H. (2009).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n instrument to assess nursing competencies in spiritual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2857-2869. doi: 10.1111/j.1365-2702.2008.02594.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