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건강신념 변수를 중심으로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2 no.1, 2002년, pp.40 - 49  

이영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화순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조의영 (인하대학교 부속병원 공항의료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 The subjects were 95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a university hospital for follow-up. The four health belief concepts (motivation, bene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관상동'액 질환자외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올 미치는 변인올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I 대학병원에 내원하여 관상동'액질환으로 진단 받고 추 후 관리를 위해 외래로 내원한 환자 95명으로 질문지를 이응하여 4가지 건강신념 변수(동기>유익성>장애성>심각성)와>자기효능 및 대상자들외 건강행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올 이응하여 틍계 처리하였으며 연구외 글과는 다음과같다
  • 본 연구는 관상동'액질환자외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올 미치는 변인올 조사하기 위한 서숱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1974)와 자기효능 (RosengcK 1991) 등외 변수를 포함한다. 연구에서는 M8n(1990) 이 개발한 한국 성인외 건강 신념측정 도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된 질문지에 외해서 측정된 점수와 Sherer 등(1982)에 외해 개발된 자기 효능척도 증 일반적 자기효능척도로 측정한 점수이다
  • 이상과 같이 각각외 건강행위외 하위 지표들에 있어서 이행정도를 예측하는 인자가 다르므로 간호사는 환자들외 회복올 강화시키기 위한 전략올 설정할 때 이러한 차이를 고려해야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옴과 같은 제언올 하고자 한다.
  • 변수는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BBkeH1974)외 건강신념 모형에 조함된 변수(유익성>장애성>심각성>및 동기)와 Rgensts以1991)이 건강신념 모형에 조함되어야 한다고 제시한 자기효능 개념올 증심으로 관상동'액질환자들외 건강행위에 영향올 미치는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글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관상동'액질환자외 건강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외 41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 인 연구외 목적과 응어외 정외는 다옴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ecker, M. (1974). The bealth belief model and sick role behavior, In Becker, M. H.(ed).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Charles B. Slack Inc 

  2. Becker, M. Haefner, D., Kasl, S. et al. (1977). Selected psychosocial models and correlates of individual health- related behaviors. Med Care, 15:27-46 

  3. Black, J. M., & Matassarin-Jacobs, E. (1997). Medical-Surgical Nursing (5th ed). Philadelphia: Saunders Co 

  4. Chu, J. A. (2000). Textbook of inservice education 2000: Ilealth pronnotion and exercise.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Press 

  5. Damrosch, S. (1991). General strategies for motivating people to change their behavior.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6(4), 833-843 

  6. Franklin, B. A, Hall, L, & Timmis, G. C. (1997). Contemporary cardiac rehabilitation services. American Jounal of Cardiology, 79, 1075-1077 

  7. Han, A. K. (1998). Effects of a family participated education program on the self care behavior of cardia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8. Hedal, M., & Sire, S. (1994). Effects of Intensive Exercise Training on Lipid Levels in High Risk Post MI Patients. European Heart Jouranl, 15, 1362-1367 

  9. Kim, I. S. (1995). Current statistic and trends for 5 main causes of death for Koreans, J. of Koean Medical Association 38, 32-145 

  10. Kinney, M. R., Packer, D. R., & Dunbar, S. B. (1988). AACN's clinical reference for critical-care nursing. 2nd ed, McGraw-Hill Book Co 

  11. Kison, C. (1992). Health beliefs and compliance of cardiac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5(4), 181-185 

  12. Maeland, J. G. & Havik, O. E. (1987). Psychological predictors for return to work after a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1(4), 471-481 

  13. Miller, S. P., Wikoff, R. L. Mcmahon, M, Garrett, M, & Kathleen, R. (1985). Indicators of medical regimen adherence for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Nursing research, 34, 268-272 

  14. Moon, J. S. (1990).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5. National Statistics Association (1999). The annual statistic report of death cause 

  16. Palch, S., Wierenga, M. E., Heidrich, S. M., Waukesha, & Milwaukee, W. (1996). Effect of a postdischarge education class on coronary artery disease knowledge self-reported health-promoting behaviors. Heart & Lung, 25(5), 367-372 

  17. Perkins, S., & Jenkins, L., & Baltimore, (1998) Self-efficacy expectation, behavior performance and mood status in early recovery from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Heart & Lung, 27(1), 37-46 

  18. Radtke, K. (1989). Exercise compliance in cardica rehahilitaticn. Rehedbilitation Nursing, 14(4), 182-186 

  19. Rodeman, B. Conn, V. & Rese, S. (1995). Myocardial infarction survivors: Social support and self-care behavisrs. Rehabili-tation Nursing REsearch, 4(2), 58-63, 71 

  20. Rosenstock, I. (1991) The health belief model: explaining health behavior through expectancies. In Glanz, K, Lewis, F., & Rimar, B. (Ed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SanFrancisco: Jossey-Bass 

  21. Sherer, M., Maddux, J.,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2. Song, K. J. (2001).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cardiac rehabilitition program on self-efficacy,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3. Song, R. Y. & Lee, H. J. (2000). Effects of the inpatient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behavioral mod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 of Korean Acad Nurs, 30(2), 463-475 

  24. STeckel, S. B. (1983). Predictiong, measuring, implementing and following up on patient complianc 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7, 491-489 

  25. Tirrell, B. E., & Hart, L. K. (1980). The relationship of health beliefs and knowledge to exercise compliance in parients after coronary bypas. Heart & Lung, 9, 487-493 

  26. Vidmar, P. M.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theory and exercise compliance in a cardiac popul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7.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ia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