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통제위, 회복력,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Locus of Control and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Coronary Artery Diseas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3, 2015년, pp.294 - 303  

신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locus of control,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using a survey method. The subj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건강통제위, 회복력,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건강 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처음 관상동맥질환을 진단받은 대상자의 내적건강통제위, 회복력,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관상동맥질환자의 내적건강통제위와 회복력,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과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간호전략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건강통제위, 회복력,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건강 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통제위, 회복력,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6%가 동반질환 1개 이하를 가진 대상자로, 질병 관련 특성의 차이로 인한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회복력과 건강증진행위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회복에 대한 신념이 긍정적인 경우 자기관리를 적극적으로 함을 의미하는 바이며, 생활양식의 변화, 평생 투약 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관상동맥질 환자에게 회복력의 중요성을 설명한 Ruiz 등[30]과 동일한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관상동맥질 환자의 장기간의 건강증진행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회복력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관상동맥질환의 관리에 회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통제위, 회복력,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근경색증이나 협심증을 진단 받고 퇴원 후 1개월 이상 6개월 이내의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할 수 있는 개인의 인지-지각 요인 중 하나인 건강통제위와 행동을 계획하는데 직 ·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회복력, 건강증진행위의 조정요인 중 하나인 사회적 지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근경색증이나 협심증을 진단 받고 퇴원 후 1개월 이상 6개월 이내의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할 수 있는 개인의 인지-지각 요인 중 하나인 건강통제위와 행동을 계획하는데 직 ·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회복력, 건강증진행위의 조정요인 중 하나인 사회적 지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건강통제위, 회복력,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영향은? 001). Table 5 에 제시된 결과와 같이 내적건강통제위, 회복력,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내적건강통제위와 회복력,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회복력이란? 관상동맥질환자들은 위험상황을 경험한뒤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을 하는데 어떤 대상자는 위기 극복을 잘 하지 못하고 부적응 상태를 보이는 반면, 어떤 대상자는 이를 잘 극복하면서 더욱 강해지게 된다[12]. 회복력 (Resilience)은 생활양식의 변화, 평생 투약 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심혈관 질환자에게 긍정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상자의 강점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개념이다[13]. 또한 회복 력은 대상자에게 자신의 건강관리에 대한 믿음을 심어줄 수있다는 점에서[14],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 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사망 원인 중 순환기 계통 질환의 순위는? 우리나라는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서구화된 생활양식의 정착화로 인해 심근경색증과 협심증 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관상동맥질환을 포함하는 순환기 계통 질환은 국내 전체 사망 원인의 2위를 차지하고 있다 [1]. 더욱이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 당 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September 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bSeq&aSeq33018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 Hallveig B, Louise J, Colleen N, Michelle 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09;8(1):18-25. http://dx.doi.org/10.1016/j.ejcnurse.2008.05.002 

  3. Silarova B, Nagyova I, Rosenberger J, Studencan M, Ondusova D, Reijneveld SA, et al. Sense of coherence as a predictor of health-related behaviours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4;13(4):345-56. http://dx.doi.org/10.1177/1474515113497136 

  4. Bergvik S, Sorlie T, Wynn R. Coronary patients who returned to work had stronger internal locus of control beliefs than those who did not return to work.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1;17(3):596-608. http://dx.doi.org/10.1111/j.2044-8287.2011.02058.x 

  5. Hwang SY, Kweon YR, Kim AL.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decision to seek treatment among middle-aged men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0;22(5):537-51. 

  6. Staniute M, Brozaitiene J, Bunevicius R.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ful life event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Th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3;28(1):83-9. http://dx.doi.org/10.1097/jcn.0b013e318233e69d 

  7. Grotz M, Hapke U, Lampert T, Baumeister H.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behaviour: result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Psychology, Health & Medicine. 2011;16(2): 129-40. http://dx.doi.org/10.1080/13548506.2010.521570 

  8. Chung MH, Chao TY, Chou KR, Lee HL. Health-promoting lifestyle factors of cancer survivors in Taiwan. Cancer Nursing. 2009;32(3):E8-E14.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199002b 

  9. Oh JE, Park HS, Kim DH. The relationships among hostil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1):99-108. 

  10. Wang W, Lau Y, Chow A, Thompson DR, He H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among Chinese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in mainland China.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4;13(1):48-54. http://dx.doi.org/10.1177/1474515113476995 

  11. Son HS, Thomas SA, Friedmann E.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distress and coping patterns in post-MI patients and their partner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2;21(15/16):2392-4.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2.04165.x 

  12. Edward KL. Empowering cardiac patients using resilience as a practice strategy. British Journal of Cardiac Nursing. 2014;9(3):110. http://dx.doi.org/10.12968/bjca.2014.9.3.110 

  13. Shin SJ, Jung DY, Hwang EH. Concept analysis of resilience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6):788-95.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788 

  14. Stewart DE, Yuen T. A systematic review of resilience in the physically ill. Psychosomatics. 2011;52:199-209. http://dx.doi.org/10.1016/j.psym.2011.01.036 

  15. Shin SJ. Development of a cardiovascular disease resilience scale. Th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0;22(2):161-70. 

  16. The Korean Society of Cardiology.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Internet]. Seoul: The Korean Society of Cardiology; 2013 [cited 2015 January 31]. Available from: http://www.circulation.or.kr/general/content/?depth14 

  17. Mancia G, Fagard R, Narkiewicz K, Redon J, Zanchetti A, Bohm M, et al. 2013 ESH/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European Heart Journal. 2014;34(28):2159-219. http://dx.doi.org/10.1093/eurheartj/eht151 

  18.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9. Wallston KA, Stein MJ, Smith CA. Form C of MHLC scales: a condition-specific measure of locus of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94;63(3):160-70.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6303_10 

  20. Wagnild GM, Young H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3;1(2):165-78. 

  21. The ENRICHD Investigators. Enhancing recovery in coronary heart disease patients (ENRICHD): study design and methods. American Heart Journal. 2000;139(1):1-9. http://dx.doi.org/10.1016/s0002-8703(00)90301-6 

  22.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23. Thanavaro JL, Thanavaro S, Delicath T.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women with chest pain. Heart & Lung: 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2010;39(5):394-403. http://dx.doi.org/10.1016/j.hrtlng.2009.10.016 

  24. Egan JT, Leonardson G, Best LG, Welty T, Calhoun D, Beals J.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in American Indians: the strong heart study. Ethnicity & Disease. 2009;19(3):338-43. 

  25. Jiang W, Samad Z, Boyle S, Becker RC, Williams R, Kuhn C, et al.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ental stress-induced myocardial ischemia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13;61 (7):714-22. http://dx.doi.org/10.1016/j.jacc.2012.11.037 

  26. Boo SJ, Froelicher E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10-year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Korean women. Asian Nursing Research. 2012;6(1):1-8. http://dx.doi.org/10.1016/j.anr.2012.02.001 

  27. Slovinec D'A, Monika E, Pelletier LG, Reid RD, Huta V. The roles of self-efficacy and motivation in the prediction of short and long term adherence to exercise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Health Psychology. 2014;33(11):1344-53. http://dx.doi.org/10.1037/hea0000094 

  28. Song RY, Park MK, Cheong JO, Park JH, Seong IW. Effects of Tai Chi exercises on cardiovascular risks, recurrence risk,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3; 25(5):515-26. http://dx.doi.org/10.7475/kjan.2013.25.5.515 

  29. Opuchilik K, Wrzesinska M, Kocur J.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coping style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nd hypertension. Psychiatria Polska. 2009;43(2):235-45. 

  30. Ruiz JM, Hamann HA, Coyne JC, Compare A. In sickness and in health: interpersonal risk and resilience in cardiovascular disease. Clinical Psychology and Heart Disease. 2006;13:233-72. http://dx.doi.org/10.1007/978-88-470-0378-1_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