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위이행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3, 2015년, pp.251 - 261  

정은영 (부산대학교병원 호흡기센터) ,  황선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s of and the related factors to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21 hospitalized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언어적, 기능적 건강 정보이해능력을 나누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되고 개발된 도구 전체를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그들의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 필수적이라 생각되는 건강행위이행을 확인하고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관상동맥질환자들은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건강행위이행과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건강행위이행에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밝혔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용어에 대한 이해능력을 나타내는 언어적 건강정보이해능력과[16] 건강과 관련된 자료를 이해하며 읽고 적절한 건강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인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으로[19] 나누어 건강정보이해능력을 파악하고, 건강행위이행 정도를 파악하여 이들의 관계와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언어적, 기능적 건강 정보이해능력을 나누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되고 개발된 도구 전체를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그들의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 필수적이라 생각되는 건강행위이행을 확인하고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위이행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와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위이행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와 그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위이행은 중간에서 중간 이하의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위이행의 정도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의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건강정보이해능력이 건강행위이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건강정보이해능력의 향상과 관상동맥질환자의 교육 및 건강정보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의 체크사항은 어떻게 이루어져있는가? KHLAT (4)는 66개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고 각 용어의 의미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게 알고 있으면 ‘정확하게 안다’, 대충 뜻만 알고 있다면 ‘대강 뜻만 안다’, 들어본 적은 있지만 뜻은 잘 모를 때에는 ‘들어는 봤지만 뜻은 모르겠다’,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잘 모른다’에 체크하도록 되어 있다. 각 용어에 대한 점수는 ‘정확하게 안다’에는 1점을, 이를 제외한 3가지 경우는 모두 ‘정확하게 잘 모른다’로 분류하여 0점을 배점하였다.
건강 정보이해능력이란 무엇인가? 또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이와 생활습관에 대한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잘 습득하고 이해하여 이행하는 것이 관상동맥질환자에게는 필수적이다[2,3]. 건강 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이란 건강정보를 이해하고 이용하며 적절한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능력으로[4], 이러한 건강정보이해능력이 관상동맥질환자에서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2].
심장질환의 사망률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심장질환은 한국인의 사망 원인 중 3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2008년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이 43.4명에서 2013년 50.2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1]. 관상동맥질환은 심장질환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대부분 약물 치료에 의존하게 되므로 질병의 관리를 위해 약물 요법을 잘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5 May].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30181 

  2. Kilonzo B, Hughes M, O'Connell R. Health literacy and coronary heart disease: implications for nurses. British Journal of Cardiac Nursing. 2011;6(1):29-34. http://dx.doi.org/10.12968/bjca.2011.6.1.29 

  3. Martin LT, Schonlau M, Haas A, Derose KP, Rudd R, Loucks EB, et al. Literacy skills and calculated 10-year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Society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11;26(1):45-50. http://dx.doi.org/10.1007/s11606-010-1488-5 

  4. Institute of Medicine.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c Press; 2004. 

  5.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y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 of health. Final report of the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6. Demarco J, Nystrom M. The importance of health literacy in patient education. Journal of Consumer Health on the Internet. 2010;14(3):294-301. http://dx.doi.org/10.1080/15398285.2010.502021 

  7. Ussher M, Ibrahim S, Reid F, Shaw A. Rowlands G. Psychosocial correlates of health literacy among older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10;15(7):788-804. http://dx.doi.org/10.1080/10810730.2010.514030 

  8. Dennison CR, McEntee ML, Samuel L, Johnson BJ, Rotman S, Kielty A, et al. Adequate health literacy is associated with higher heart failure knowledge and self-care confidence in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1;26(5):359-67. http://dx.doi.org/10.1097/JCN.0b013e3181f16f88 

  9. Shibuya A, Inoue R, Ohkubu T, Takeda Y, Teshima T, Imai Y, et al. The rel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hypertension knowledge, and blood pressure among middle-aged Japanese adults. Clinical Methods and Pathophysiology. 2011;16(5):224-30. http://dx.doi.org/10.1097/MBP.0b013e32834af7ba 

  10. Bains SS, Egede LE. Associations between health literacy, diabetes knowledge, self-care behaviors, and glycemic control in a low income population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2011;13(3):335-41. http://dx.doi.org/10.1089/dia.2010.0160 

  11. Kim SH, Lee EJ.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195-203. 

  12. Kim JE. Measuring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influence factors: targeting the visitors of a university hospital's outpatient clinic.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1):27-34. 

  13. Hong IH, Eun Y. Health literacy of inpatients at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5):477-88. http://dx.doi.org/10.7475.kjan.2012.24.5.477 

  14. Lee YW, Kim HS, Cho EY.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2;32(1):40-9. 

  15. Oh JE, Park HS, Kim DH. The relationships among hostil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1):99-108. 

  16. Davis TC, Long SW, Jackson RH, Mayeauk EJ, George RB, Murphy PW, et al.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a shortened screening instrument. Journal of Family Medicine. 1993;25(6):391-5. 

  17. Kim SS, Kim SH, Lee SY.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5;22(4):215-27. 

  18. Lee SH, Choi EHR, Je MJ, Han HS, Park BK, Kim SS.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1;28(3):58-65. 

  19. Parker RM, Baker DW, Williams MV, Nurss JR.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patient's literacy skills. Journal of General Medicine. 1995;10(10):537-41. 

  20. Song RY, Jun KJ, Kim CG, Jeon MY. Comparisons of motivation, health behaviors, and functional status among elders in residential homes in Korea. Public Health Nursing. 2004;21:361-71. 

  21. Park JY, June KJ.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1):75-85. 

  22. Baker DW, Gazmararian JA, Sudano J, Patterson M. The association between age and health literacy among elderly person.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2000;55(6):368-74. http://dx.doi.org/doi: 10.1093/geronb/55.6.S368 

  23. Sudore RL, Mehta KM, Simonsick EM, Harris TB, Newman AB, Satterfield S, et al. Limited literacy in older people and disparities in health and healthcare access. Journal of Geriatric Society. 2006;54(5):770-6. 

  24. Lee TW, Kang SJ. Health knowledge level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8;28(4):847-63. 

  25. Quinlan P, Price KO, Maquid SK, Lyman S, Mandl LA, Stone PW.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literacy, health knowledge, and adherence to treatment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HSS Journal: The Musculoskeletal Journal of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2013;9(1):42-9. http://dx.doi.org/10.1007/s11420-012-9308-6 

  26. Wolf MS, Gazmararian JA, Baker DW. Health literacy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5;165(17):1946-52. http://dx.doi.org/10.1001/archinte.165.17.1946 

  27. Osborn CY, Paasche-Orlow MK, Bailey SC, Wolf MS. The mechanism linking health literacy to behavior and health statu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011;35(1):118-28. 

  28. Johnson RJ, Wolinsky FD. The structure of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disease, disability, functional limitation, and perceived health. Journal of Health Social Behavior. 1993; 34(2):105-21. 

  29. Lee HJ, Chung YJ, Kim HJ, Suh HS, Lee HS, Shim KW, et al. Determinants of self-assessed health among elderly adul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2002;23(10):1210-8. 

  30. Son YJ, Song EK.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Nursing. 2012;19(1):6-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