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깨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in Perill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47 suppl., 2002년, pp.150 - 162  

이봉호 (호남농업시험장 목포시험장) ,  류수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  곽태순 (상지대학교 응용식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 들깨는 용도면에서 볼 때 종실은 식용으로, 기름은 식용과 공업용, 깻잎은 채소로 또 깻잎의 정유성분은 향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용도 작물이다. 2.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18-28% 정도이고 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에 있어 글루타메이트(glutamate)함량은 계란보다 월등히 많다. 3. 종실의 기름 함량은 35~54%로서 기름중에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60% 이상 함유되어 있으므로 생리적 기능성 식품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도 중요하다. 4. 기름의 특성상 들기름은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들기름을 짜서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면 산패(oxidation)되기 쉬우므로 장기간 저장 이용하기 어렵다. 5. 깻잎은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beta$-carotene) 함량이 많고 다른 미량성분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들깨잎은 생식용 채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6. 깻잎의 정유(essential oil) 성분은 페릴라알데하이드(perilla aldehyde)가 주성분이며 이는 식품이나 식품첨가제로 쓰일 때 광범위한 항균작용(antimicrobial activity)을 나타낸다. 7 들깨나 자소잎의 붉은 색소중에는 안토시아닌(anthocynins)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식품색소로 널리 쓰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is a traditional oil seed crops grown in Korea. The seeds and seed oil is used for edible and some industrial sectors. The seeds of perilla contains 35-54% of a drying oil which is similar to the linseed oil. The fatty acids of seed oil is composed with lin...

주제어

참고문헌 (28)

  1. 이봉호 등. 1999. 유료작물재배. 표준영농교본-18, 농촌진흥청. pp280 

  2. 최춘언. 1994. 들기름의 영양과 식품공전.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공업, 제 124호: 101-104 

  3. 磯田好弘, 崔春彦. 1990. $\alpha$ -리놀렌산(Linlenic acid)의 生理機能. 식품과학과 산업, 23(4): 58-67 

  4. Ahn, T. H., J. S. Kim, S. J. Park, and H. W. Kim. 1991. Antioxidativeeffect of commercial lecithin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23(3): 251-255 

  5. Bang, H. O. and Dyerberg. 1972. J. Acta Med. Scandy. 192: 85 

  6. Bjerrve, K. S. 1989. Am. J. Clin. Nutr. 49: 290 

  7. Byun, G. L., S. M. Oh, J. S. Lee, and S. J. Hahn. 1985. Agronomiccharacters of peri11a(Perilla ocimoides L.) and the selection of vari-eties for leaf-use. J. Kor. Soc. Hort. Sci. 26(2): 113-121 

  8. Cha, G. S. and C. U. Choi. 1990. Determination of oxidation stabilityof perilla oil by the rancimat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22(1): 61-65 

  9. Chung, M. Y., L. S. Hwang, and B. H. Chang. 1986. Concentration ofperilla anthocyanins by ultrafiltration. J. Food Sci. 51(6): 1494-1510 

  10. Hayashi, K. and S. Yamazaki. 1977. The effect of environmentalfactors on the content of perilla aldehyde in the leaves ofspice perilla species. 高知大學學術硏究報告. 24(11): 71-77 

  11. Hong, Y. R, S. Y. Kim, and W. Y. Choi. 1986. Post harvest changes inquality and bio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 leaves. Korean J.Food Sci. Technol. 18(4): 255-258 

  12. Huang, S. A. and L. S. Hwang. 1980. Studies on the natural red pig-ment of perilla: Changes of anthocyanin content with variety andgrowing stage. Food Sci.(Chinese), 7(2): 161 

  13. Jang, H. J., J. Y. Park, and Y. T. Kim. 1991. Volatile components ofPeritlae folium. Kor. J. Food Sci. Technol. 23(2): 129-132 

  14. Kameoka, H. and K. Nishikawa. 1976. The composition of the essentialoil from Peritta frutescens L. Brit. var. acuta Thunb. Kudo andPerilla frutescens L. Brit, var. acuta Thunb. Kudo f. discolorMakino. 農化, 50(8): 345-349 

  15. Kang, M. H., S. N. Ryu, K. S. Min, K. S. Kim, J. K. Bang, and B. H.Lee. 1999. Current research activities of antioxidative compoundin plants. Kor. J. Intl. Agri. 11(2): 207-215 

  16. Kang, R., R. Helms, M. L. Stout, H. Jaber, Z. Chen, and T. Nakatsu.1992.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Perillafrutescens and its synergistic effects with polygodial. J. Agri. FoodChem. 40: 2328-2330 

  17. Kashima, M., G. A. Cha, Y. Isoda, J. Hirano, and T. Miyazawa. 1991.The antioxidant eHects of phospholipids on perilla oil. JAOCS.68(2): 119-122 

  18. Kim, J. W., Y. Nishizawa, G. S. Cha, and C. U. Choi. 1991. Oxidativestability of perilla blended oils in mayonnaise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5): 568-571 

  19. Koezuka, Y, G. Honda, and M. Tabata. 1984a. Seasonal chenges andstrain diSerence in the anthocyanin content of Perilta frutescens, Shoyakugaku Zasshi. 38(3): 233-237 

  20. Koezuka, Y, G. Honda, and M. Tabata. 1984b. Essential oil types ofthe local varieties and their Fl hybrids of Peritta frutescens.Shoyakugaku Zasshi. 38(3): 238-242 

  21. Kondo, T., H. Tamura, K. Yoshida, and T. Goto. 1989. Structure ofmalonylshisonin, a genuine pigment in purple leaves of Perillaocimoides L. var. crispa Benth. Agri. Biol. Chem. 53(3): 797-800 

  22. Kwak, T. S. 1994. Major growth characters and fatty acid compositionof Korean native perilla collections. Korean J. Breed. 26(2): 148-154 

  23. Lee Bong-Ho, Seung-Tack Lee, and Young-Sang Kim. 1998. Referencesreview for the scientific researches on perilla. RDA. J. Indus. CropSci. 40(1): 80-112 

  24. Lee, J. I., J. K. Bang, B. H. Lee, and K. H. Kim. 1991. Qualityimprovement of perilla (I) Varietal differences of oil content andfatty acid composition. Korean J. Crop Sci. Quality, 3: 48-61 

  25. Lee, J. I., C. B. Park, and S. Y. Son. 1993. Quality improvement inperilla (III) Varietal differences of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composition in perilla. Korean J. Crop Sci. 38(1): 15-22 

  26. Park, H. S., B. Ahn, and C. B. Yang. 1990. Studies on the functionalproperties of sesame and perilla protein isolate. Korean J. FoodSci. Technol. 22(3): 350-356 

  27. Park, H. S., B. Ahn, and C. B. Yang. 1990. Studies on the functionalproperties of sesame and perilla protein isolate. Korean J. FoodSci. Technol. 22(3): 350-356 

  28. Yoshida, T, F. Higashi, and S. IKawa. 1968. On the oil containing dssue,the essential oil content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oil in perilla species. Japan. J. Crop Sci. 37: 118-1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