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용업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ress Level of Workers in Beauty Shop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19 no.2, 2002년, pp.139 - 154  

김성우 (경산대학교 보건학부) ,  남철현 (경산대학교 보건학) ,  이명선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교육) ,  최연희 (김천과학대학 피부미용) ,  곽형심 (동원대학 피부미용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o causes and symptoms of stress and factors influencing stress management of workers in beauty shops. 811 people who were working in the shops located in Daegu City and Kyungbuk Province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0, ...

주제어

참고문헌 (46)

  1. 강영우, 남철현, 산업근로자의 건강증진행태에 관한 관련 요인 분석,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7;14(2) 

  2. 권상철,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3. 김광일, 원효택. 간이 정신진단 검사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 신경정신 의학 1978;7: 449-458 

  4. 김남현, 미용사와 피부관리사의 직업만족도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1999 

  5. 김동균.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1987 

  6. 김문석.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모형 설정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7. 김일순 외. 건강통계 자료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연구, 대한예방의학회, 1993;121-159 

  8. 김재환, 김광일. 간이 정신진단 검사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II, 정신건강연구소 1984; 2: 278-311 

  9. 박미영.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신체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10. 소영진. 미용사의 직업성 스트레스, 원광대학교 산업대학원, 1998 

  11. 송기옥. 서비스 조직에 있어서의 내부마케팅 전략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1999 

  12. 오애자. 미용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관,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13. 원효택. 간이 정신진단 검사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 II, 한양대학교논문집, 1978;15: 457-474 

  14. 이동호. 사회심리적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1998 

  15. 이소우. 한국인의 스트레스 반응 양상, 간호학회지, 1992;22(2) 

  16. 이순자, 남철현. 산업장 근로자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안에 대한 관련 요인, 경산대학교 대학원, 1999 

  17. 이우천. 병원종사자의 직업성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1997 

  18. 이종목. 조직에 있어서의 스트레스요인 및 그 조정 변인에 관한 소고, 행동과학연구, 제7권, 고대행동과학연구소, 1985;231-247 

  19. 이종목.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 결과 및 대책. 성원사, 1989 

  20. 이한검. 인간행동론, 무역경영사, 1994; 857-920 

  21. 정승언.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역할 - 내외 통제 성향과의 결합 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2 

  22. 정태경. 스트레스와 그에 대한 대응반응에 관한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72 

  23. 조재호. 기업조직내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1995 

  24. 조판래. 미용업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1990 

  25. 채서일. 마케팅 조사론, 학연사, 1995 

  26. 최미묘. 스트레스 해소방안으로서의 방어기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27. 최연희, 남철현. 미용실 종사자들의 두발처치에 대한 인식도와 관련요인 분석,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1999 

  28. 하두남.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문제행동 및 성격문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29. Brown G. W., and Birley J. L. T.,: Crisis and Life Changes and the Onset of Schizophrenia, J, of Health. Soc Behav, Vol. 9, 1968; 203-214 

  30. Cannon, W., Organization For Physiological Homeostasis. Psychological Review, 1929; 9: 339-430 

  31. Eulberg, J. 등 Models Of Stress, In Organizational Research, 4th, No.4, 1988 

  32. Gibson, J., et al., Organization, Irwin, 2th, 1991; 223 

  33. Harrison, R., Person-Environment Fit and Job Stress. In Cooper, C and Payne, R.,(ed), Stress At Work,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978; 175-205 

  34. Hobfoll S. E. Conservation of resources : 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Am Psychol, 1988; 44: 513-524 

  35. Holt, R., Occupational Stress, in Goldberger, L., and Brenitz, S.,(ed), Handbook of Stress: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sts, The Free Press, 1982; 419-444 

  36. House J. S., Wells J. A., Landerman L. R, McMichael A. J., Kaplan B.H.,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among factory Workers, J Health Soc Behav, 1976; 139-160 

  37. Ivancevich, J., and Matterson, M., Organizational Behavior and Management, Irwin, 3rd. 1993;244 

  38. Lazarus, R. S. and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39. Matthews K. A., et al., Stressful Work Collar Factory Worhers, Am J Epidemiol, 1997; 126: 280-290 

  40. Parker, D., and Decotiis, T.,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Beh-Hum-Perfor, 1983; 32: 160-177 

  41. Parloff, M. B., Kelman, H. C., Frank J. D., Comfort, Effectiveness and self-awareness as criteria of improvement in Psychotherapy. Am J Psychiat, 1954; 111: 343-351 

  42. Randall, S., Organizational Stress and Coping: A Model and Overview, In Amarjit-S and Randall-S(ed). Hand Book Of Organization Stress Coping trategies, Ballinger Publishing Co., 1984; 35-67 

  43. Schuler, R.,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Management, Prantice-Hall, 4th, 1994; 396 

  44. Selye, H., The Stree of Life. 2th(ed), NY. Mcgraw-Hill, Inc, 1976. 

  45. Szilagyi, A., and Wallace, M.,: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erformance, Harper Collins, 5th, 1990; .219 

  46. WHO Reginal Office for European Working Group on Concepts and Principles of Health Promotion, Copenhagen, 1985; 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