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heat therapy, stretching exercise and to verify which method was most effective for lumbar flexibility improvement. Subjects were 20 apparantly healthy person(male10, female10) who did not have any medical problem. They were randomly divided and assigned into 2 groups: heat therapy, stretching exercise. For testing flexibility, trunk flexion, bunk extension, and Schober-test were performed. Pre-test was done prior to the each group's treatment. Test was done at 2nd week, 4th week and 6th week.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ement of trunk flexion and trunk extension after 6 weeks treatment among 2 methods. However in all 2 groups,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flexibility as time go on. The rate of improvement was highest at 2nd week, while this was attenuated afterwards. The Schober-test score changed significantly from pre-test to the mid-test and to the post-tes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2 methods of treatment. With the results above, it was concluded that heat therapy, stretching-exercise were all effective for improving flexibility without any significant prioriti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는 20대에서 40대 정상성인 20명(남1Q 여 10)을 임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온열요법 중 온습포만을 시행하는 온열요법집단, 8동작으로 정적스트레칭을 시행하는 스트레칭집단으로 나누어, 주4회 6주 간 실험을 실시하여 trunk flexion, trunk extension, 요부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Schober-test로 요부의 유연성을 측정하여 처치방법 및 처치 기간이 요부의 유연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도 본인 스스로도 타인의 도움이 없이 시행 할 수 있는 온열요법과 스트레칭을 대상으로 요부의 유연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런 점에서 특히 움직임이 적고 앉아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요부의 유연성의 감소는 요통을 동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통증과 관절 가동범위의 감소와 삶의 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됨으로서 온열과 스트레칭이 요부의 유연성 증가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사용한다고 했다. 본 연구도 본인 스스로도 타인의 도움이 없이 시행 할 수 있는 온열요법과 스트레칭을 대상으로 요부의 유연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런 점에서 특히 움직임이 적고 앉아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요부의 유연성의 감소는 요통을 동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통증과 관절 가동범위의 감소와 삶의 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됨으로서 온열과 스트레칭이 요부의 유연성 증가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대에서 40대 사이의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온열요법과 스트레칭 운동이 요부의 유연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아울러 기간 별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건강의료 현장에서 유연성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