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Purpose:The hamstring muscle has an important role in standing, walking and other functions related to daily living. Most people with Cerebral Palsy(CP) have muscle tightness, especially in the hamstring, which may cause abnormal alignment in the lower extremities. To investigate an effective treatment for hamstring muscle tightness by observing the effects of heat pack or Soft tissue mobilization(STM) on hamstring muscles. Methods:Thirteen-two volunteers with CP aged between 9 and 13 yea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흔히 적용되어지는 물리치료 중재 방법을 통하여 뇌성마비의 슬괵근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슬괵근에 온습포(heat pack)와 연부조직가동술(soft tissue mobilization)을 적용한 후 누운자세(supine position)에서 하지를 수동으로 직거상(stright leg raising: SLR)시켜서 고관절의 굴곡 각도를 측정하고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 각도를 측정하여 뇌성마비아에서 슬괵근 유연성의 향상정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에서 슬괵근의 유연성 증가를 위한 중재방법을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슬괵근의 유연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동 하지직거상법(passive straight leg rasing: PSLR)의 자세에서 고관절 굴곡과 슬관절 신전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에서 슬괵근의 유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물리치료 방법을 모색하고자 경련성 뇌성마비와 혼합형 뇌성마비를 대상으로 온습포와 연부조직 가동술을 각각 적용 후 고관절 굴곡과 슬관절 신전 관절가동범위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에서 슬괵근의 유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뇌성마비 유형 중 경련성과 혼합형을 대상으로 온습포와 연부조직 가동술을 각각 적용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슬괵근 | 슬괵근은 무엇으로 구성되어있는가? |
두관절 근육(two joint muscle)으로 반막양근(semimembranosus), 반건양근(semitendinosus),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으로 구성
슬괵근은 두관절 근육(two joint muscle)으로 반막양근(semimembranosus), 반건양근(semitendinosus),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으로 구성되어있다. 슬괵근(hamstrings)은 슬관절의 굴곡근(flexor)인 동시에 대퇴의 신전에 대한 활동도 한다(진용혁 등, 2006). |
연부조직가동술 | 연부조직가동술의 특징은? |
표피부터 심부까지 근막층의 수동적인 움직임을 이용하는 기술로 운동치료 및 전기치료와 함께 적용되어진다
또한 온습포(heat pack)와 가동술(manipulation)을 적용하여 슬괵근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Cibulka 등, 1986). 연부조직가동술(soft tissue mobilization)은 표피부터 심부까지 근막층의 수동적인 움직임을 이용하는 기술로 운동치료 및 전기치료와 함께 적용되어진다(손영하와 안중국, 1992). |
온습포, 파라핀욕, 자외선치료 | 온습포, 파라핀욕, 자외선치료와 같은 표면열의 특징은? |
이러한 표면열은 물리치료사들이 적용하기 쉽고 경제적이므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표면열과 저강도의 정적인 스트레칭을 함께 적용하면 스트레칭을 단독으로 적용하였을 때 보다 어깨와 고관절 근육의 신장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온습포(heat pack)와 가동술(manipulation)을 적용하여 슬괵근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온습포, 파라핀욕, 자외선치료는 표면열의 종류로 적용되어지고 있다(이승주 외, 2005). 이러한 표면열은 물리치료사들이 적용하기 쉽고 경제적이므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표면열과 저강도의 정적인 스트레칭을 함께 적용하면 스트레칭을 단독으로 적용하였을 때 보다 어깨와 고관절 근육의 신장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온습포(heat pack)와 가동술(manipulation)을 적용하여 슬괵근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Cibulka 등, 1986). 연부조직가동술(soft tissue mobilization)은 표피부터 심부까지 근막층의 수동적인 움직임을 이용하는 기술로 운동치료 및 전기치료와 함께 적용되어진다(손영하와 안중국, 1992).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