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초등학교 아동들의 지식구조와 학습성향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Mode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Primary School Children: Reflected on the Concept Maps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 Uni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2 no.4, 2002년, pp.796 - 805  

김종중 (상주중앙초등학교) ,  송남희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학습 전 아동의 지식구조와 학습과정 및 학습 종료 7개월 후까지의 지식구조의 변화를 아동의 학습성향(유의미학습과 암기학습)과 관련지워 조사한 것이다. 연구단원과 관련된 기존의 지식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5학년 아동들에게 1차 개념도를 그리게 하고, 매 4차시 수업후 각각의 개념도를 그리게 했다. 그리고 지식구조의 지속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원 학습이 종료된 직후와 3개월, 7개월 후에도 각각의 개념도를 그리게 했다. 학습과정 동안에는 기존의 개념도를 근거로 하여 개념도를 그리게 하였으며, 단원 학습 종료 후에는 기존의 개념도가 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념도를 그리게 하였다. 아동들이 그린 각각의 개념도는 그 당시의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 정도를 나타내었다.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은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학습에 들어가기 전에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개념들로 이루어진 사전 지식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그 중 과학적으로 타당한 것은 개념도 상에서 2단계의 위계와 5개의 관계에 불과하였다. 한 단원의 학습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아동들의 지식구조는 꾸준히 그리고 점진적으로 증가였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는 학습성향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유의미 학습자가 암기 학습자보다 더 많이 증가하였다(관계, 연관, 예: p < .01, 위계: p < .05). 지식구조의 변화에 있어서 학습성향간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재구조화는 단원 학습의 초기에 높은 빈도로 일어났으며, 말기에는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조정은 유의미 학습자보다 암기 학습자에서 더 많이 일어나고 확장은 이와 반대로 유의미 학습자에서 더 많이 일어났다. 암기 학습자의 개념도 점수는 단원 학습을 마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범주에서 차츰 감소하였다. 그러나 유의미 학습자의 경우 단원 학습 후 3개월보다 7개월에서 오히려 소폭 증가했다. 그러므로 대체로 암기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새로이 구축하고자 하는 더 분화되고 정교한 지식구조가 유의미 학습자보다 불안정한 상태에 있으며, 지식구조의 분화 정도도 유의미 학습자에 비해 낮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structure constructed by children before formal instruction, and successive changes in the structural complexity of knowledge during and after the learning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 unit. It also investigated how those changes were affected by childre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학습을 수행해감에 따라 (1)아동의 지식구조의 변화는 학습성향(유의미 학습, 암기 학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아동의 지식구조의 변화 양상(재구조화, 조정, 확장)은 학습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지식구조의 지속 효과는 학습성향에 따라 차이가있는가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식물의 구조와 기느 단원의 학습 전 아동의 지식구조와 학습과정 및 학습 종료 7개월 후까지의 지식구조의 변화를 아동의 학습 성향(유의미학습과 암기학습)과 관련지워 조사한 것이다. 연구단원과 관련된 기존의 지식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5학년 아동들에게 1차 개념도를 그리게 하고, 매 4차시 수업 후 각각의 개념도를 그리게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숙원(2000). 개념도 학습의 적용 방법에 따른 수업효과의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종중(2002). 개념도에 의한 아동의 지식구조와 학습 성향과의 관계분석-5학년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종중, 송남희(2002).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서 초등학교 아동들의 지식구조의 변화.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1(1), 13-24 

  4. 송환승, 김진태, 허진휴(1997). 생물학습에 개념도를 이용한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79-486 

  5. 이은정(1999). 생물학습에서 학생들의 유의미 학습 성향과 논리적 사고력과의 관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정이(1994). 개념도 활용이 과학수업에 대한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장옥화(1992). 과학 교수 전략으로서의 개념도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정영란, 이영주(2001). 생물학습에서 중학생들의 학습 성향에 따른 개념도를 활용한 유의미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580-589 

  9. 정재구(2000). 개념도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암석단원 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Ausubel, D. P.(1979). Education for rational thinking: A critique. Science Education Information Report: 1980 AETS Yearbook. The ERIC servi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Clearinghouse 

  11. Biggs, J. B.(1987). Learning process questionnaire manual: Student approaches to learning and studying.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Hawthorn, Australia.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08 199 

  12. Boujaoude, S. B.(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the change in their misunderstandings during a high school chemistry cour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7), 687-699 

  13. Carey, S.(1986). Cognitive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American Psychologist, 41(10). 1123-1130 

  14. Heinze-Fry, J. A. & Novak, J. D.(1990). Concept mapping brings long term movement toward meaningful learning. Science Education. 74(4), 461-472 

  15. Jegede, O, J., Alayemda, F. F.. & Okebukola, P. A.(1990).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on student's anxiety and achivement in biol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10), 951-960 

  16. Novak, J. D.(1988). Learning science and the science of learning.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15, 77-101 

  17. Novak, J. D, & Gowin, D. B.(1984).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Pearsall, N. R., Skipper. J. J., & Mintzes, J, J.(1996). Knowledge restructuring in the life sciences: A longitudinal study of conceptual change in biology. Science Education, 81, 193-215 

  19. Rumelhart, D. E. & Norman, D. A.(1978). Accretion, tuning, restructuring: Three modes of learning. Report No.7602.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134 902 

  20. Wandersee, J., Mintzes, J.. & Novak, J.(1994). Research on alternative conceptions in science. In D. L. Gabel(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Volume I). MacMillan Pub. : New York, 177-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