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과학활동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Activity of Students in Kindergarten and Primary School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2 no.3, 2002년, pp.617 - 631  

김정화 (이화여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  조부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유아와 초등학교 2 4 6 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과학자 및 과학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성, 학년 등의 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과학자에 대한 고정된 이미지를 4가지 정도 지니고 있었으며,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실내', '남자', '과학을 상징하는 실험도구', '실험복'이었다. 이는 성,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남아에 비해 여아의 점수가 다소 높았으며, 초등학생이 유치원 아동보다 높았으나, 초등학생 내에서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다수의 학생이 과학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학년이 높아질수록 선호도가 낮아졌다. 다수의 학생들이 과학을 좋아하고 재미있다고 응답했지만 장래에 과학자가 되겠다는 응답은 소수였다. 과학자에 대한 선호도는 성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아에 비해 남아가, 학년이 낮을수록 과학자가 되고 싶다는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대다수의 학생들이 과학을 발명, 실험, 관찰 등으로 파악하고 있어 활동중심이 과학관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개념 중심의 과학인식이 유치원 아동에 비해 초등학생이 더 많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두드러졌다. 학교 밖에서도 과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소수로, 과학은 학교에서만 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성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examined 5-year students in the kindergarten and students in the 2nd, 4th, and 6th grade in the primary school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about scientists. science, and how they apply science in their daily lives. First, students have 4 stereotypic images on scientists, specifically...

주제어

참고문헌 (17)

  1. 한명순(1999).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및 선호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황덕근(1994). 국민학생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Andre, T., Whigham, M., Hendrickson, A., & Chambers, S.(1999). Competency beliefs, positive affect, and gender stereotypes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about science versus other school subjec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719-747 

  4. Barman, C.(1997). Student's views of scientists and science: Results from a National study. Science and Children, 35, 18-23 

  5. Barman, C.(1999). Completing the study : High School students' views of scientists and science. Science and Children, 37, 18-21 

  6. Chambers, D. W.(1983). Stereotypic images of scientists: The draw-a-scientist test. Science Education, 67, 255-265 

  7. Finson, K. D. , Beaver, J. B. , Cramdnd, R. L. (1995). Development of a field test of a checklist for the draw-a-scientist 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 195-205 

  8. Friedler, Y., Tamir, P.(1990). Sex differences in science education in Israel: An analysis of 15 years of research.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8, 21-34 

  9. Fort, D. C., Varney, H. L.(1989). How students see scientists : Mostly male. mostly white, and mostly benevolent. Science and Children, 26, 8-13 

  10. Huber, R. A., & Burton, G. M.(1995). What do students think scientists look lik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 371-376 

  11. Kahle, J. B. & Meece, M. K.(1994). Research on gender issues in the classrooms, In D. L. Gabel(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552-557). New York : Macmillan 

  12. Krause, J. P.(1977). How children 'see' scientists. Science and Children, 14, 9-10 

  13. Schibeci, R. A., Sorenson, I.(1983).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s of scientist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3, 14-19 

  14. Schibeci, R. A., & Riley, J. P. II(1986). Inflence of students' background and perceptions on science attitudes and achievement. Journal of Rea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177-187 

  15. Shrigley, R. L.(1990). Attitude and behavior are correlates. Journal of Reasearch in Science Teaching, 27(2), 97-113 

  16. Simpson, R. D., Koballa, T. R. Jr.,& Crawiey, F. E. III. (1994). Research on the affective dimension of science learning, In. D. Gabel(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211-234). New York : Macmillan 

  17. Simpson, R. D., & Oliver, J. S.(1990). A summary of major influences on attitude toward achievement in science among adolescent students. Science Education, 74, 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