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실험의 목적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조사
Middle School Students' Ideas about the purposes of Laboratory Work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3 no.3, 2003년, pp.254 - 264  

김희경 (서울대학교) ,  송진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험활동은 과학교육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그 목적과 효과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에 관한 연구결과는 회의적이며 그 이유 중 하나는 하나의 실험은 동시에 다양한 목적을 성취할 수 없으며, 교사와 학생들이 실험의 목적에 대해 인식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험의 목적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실험의 목적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과학자들의 실험'과 '학교실험'의 두 가지 상황에 대해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생 147명을 대상으로 실험의 목적에 대해 서술형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56.8%가 과학자들이 새로운 것을 발견하거나 발명하기 위해 시험을 하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학교실험에 대해서는 82.9%의 학생들이 인지적 영역, 즉 교과서에서 배운 것을 이해하거나 암기하기 위한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성별과 성취도에 따른 응답비율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남학생들의 경우에는 사회적 유용성을, 여학생의 경우에는 개인적 즐거움을 더 많이 응답하였다. 과학자의 시험과 학교실험에 대한 인식의 상화관련을 조사한 결과, 과학자들의 실험이 이론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학교 시험의 기능도 유사하게 생각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응답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실험에 대해 다양하고 적절한 인식을 가지고 있지 못하며, 학교실험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교사는 시험의 다양한 목적에 대해 학생들에게 알려주고, 매 시험마다 그 실험의 목적에 대해 명확히 밝혀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es on laboratory work show that students often achieve little meaningful learning through laboratory work. One reason for this failure is that students often do not know the different types of laboratory work and the 'purposes' of them.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middle school stu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이 두 가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떠한 관련을 보이며 성별, 성취도 등의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교육부(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김재우, 오원근(1998). 중학생의 교과서 실험 수행에서 나타난 문제점: 실험 목표와 관련 변인 인식 및 인식한 목표와 도출된 결론의 관련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35-42 

  3. 박승재, 조희형(1998). 과학교육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4. 이상원(2000). 실험의 성격과 구조: 이론망에 기초한 인식적 접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정용재, 송진웅(2002). 계통도 분석법을 통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과학학습의 필요성' 에 대한 관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06-819 

  6. Carey, S., Evans, R, Honda, M., Jay, E., & Unger, C.(1989). 'An experiment is when you try it and see if it works': a study of grade 7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5), 514-529 

  7. Driver, R, Leach, J., Milla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8. Driver, R., Newton, P., & Osborn,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9. Duschl, R. A., Ellenbogen, K., & Erduran, S. (1999). Promoting argument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students. Paper to be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NARST 

  10. Fuller, S.(1997). Science.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 Press 

  11. Gott, R and Duggan, S.(1995). Investigative work in the science curriculum, UK: Open University Press 

  12. Hart, C., Mulhall, P., Berry, A., Loughran, J., & Gunstone, R.(2000). What i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Or can students learn something from do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7), 655-675 

  13. Herron, M. D.(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School Review, 79(2), 171-212 

  14. Hirvonen, P. E. & Viiri. J.(2002), Physics Student Teachers' Ideas about the Objectives of Practical Work. Science & Education, 11(3), 305-316 

  15. Hodson, D.(1990). A critical look at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1(256), 33-40 

  16. Hodson, D.(1996).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exploring some directions for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7), 755-760 

  17. Hodson, D.(1998). Is this really what scientists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J.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NY: Routledge, 93-108 

  18. Hofstein, A., & Lunetta, V. N.(1982).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Neglected aspect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2), 201-217 

  19. Jones, A T., Simon, S. A, Black, P. J., Fairbrother, R. W., & Watson, J. R.(1992). Open work in science: Development of investigations in schools. London: Centre for Educational Studies, King' s College, London 

  20. Kim, H., & Pak, S.(2001). An analysis of practical works in korean science textbooks. Paper presented a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ysics Education in Cultural Context, Korea 

  21. Larochelle, M. & Desautels, J.(1991). 'Of course, it's just obvious': Adolescents' ideas of scientific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3(4), 373-38 

  22. Lazarowitz, R. & Tamir, P.(1994). Research on us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science. In D. Gabel(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New York: Macmillan, 94-128 

  23. Lederman, N,(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24. Lunetta, V. N.(1997). The school science laboratory: historical perspectives and contexts for Contemporary teaching. In K. Tobin & B. Fraser(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Dordrecht: Kluwer, 249-262 

  25. Millar, R H., Le Marechal, J. F., & Tiberghien, A.(1999). 'Mapping' the domain - varieties of practical work. In J. Leach & A. C. Paulsen (Eds.), Practical Work in Science Education - Recent research studies, Denmark: Roskilde University Press, 33-59 

  26. Simpson, R D. & Anderson, N. D.(1981), Science, students, and schools: A guide for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7. Swain, J., Monk, M., & Johnson, S.(1999), A comparative study of attitude to the aims of practical work in science education in Egypt, Korea, and the UK.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2), 1311-1324 

  28. Watson, R.(2000). The role of practical work. In M. Monk & J. Osbrone(Eds.), Good practice in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has to say.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57-71 

  29. Wellington, J. J.(1998). Practical work in science: time for a reappraisal. In J.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NY: Routledge. 3-15 

  30. Welzel, M., Haller, K., Bandiera, M., Harnmelev, D., Koumaras, P., Niedderer, H., Paulsen, A. C., Be cu-Robinault, K, & von Aufschnaiter, S. (1998). Teachers' objectives for labwork. research tool and cross country results. Working paper 6, Labwork in Science Education Project 

  31. Woolnough, B. E.(1997). School science - Real science? Paper presented at ESERA-Conference, Rom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