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의 소방서 최적입지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Optimal Location of Fire Station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도시방재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2 no.1 = no.4, 2002년, pp.153 - 159  

김근영 (강남대학교) ,  강성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해정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해는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불가피하게 발생하였을 경우 그 경제적, 사회적, 정신적 손해를 최소화하여야 하는 모든 현상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인위재해중 교통사고 다음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화재를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시를 연구대상지역으로 하여 서울시 주민들이 가장 최적의 소방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소방서 입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최적화분석기법의 일종인 "최대수용입지문제"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적용하였으며 지리정보시스템을 적용하여 현행 소방서와 화재발생의 입지적 분포를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현행 서울시 소방서 및 소방파출소의 입지는 개선의 여지가 있으며 보다 신속한 소방서비스를 받기 위해 소방차 출동지역에 대한 일부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asters are the phenomena that we have to prevent the occurrence in order to keep the safety to human lives and properties, and if occurred, we have to minimize the economic, social, and mental costs of the occurred disasters or incidents. This research analyzes the optimal location of fire statio...

주제어

참고문헌 (18)

  1. Cho, Yong Sung and Oh, Sei Chang, 'Estimation of Risk and Optimal Route to Transport Hazardous Materials-Application to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7, no. 1, pp. 75-90 

  2. Church, Richard and Charles Revelle. 'The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Pa- pers of the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ol. 32, 1974, pp. 101-118 

  3. Jung, Chang-Mu and Yongsoo Shin. 'A Study on the Emergency Managemen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994 

  4. Jung, Chang-Mu. 'A Study on the Emergency Managemen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I,'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995a 

  5. Jung, Chang-Mu. 'Urban Safety and Risk Management,'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995b 

  6. Kang, Yang-Suk. 'Disastrous Urban Hazard Factors in the Old Built-Up Area,'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33, No.1, 1998, pp. 99-114 

  7. Kim, Hyun-Joo and Yang-Suk Kang.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the Regional Vulnerability to Urban Disasters,'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34, No.4, 1999, pp.51-60 

  8. Kim, Hyun-Jand Yang-Suk Kang. 'Disasterous Man-Made Urban Hazard Factors in the Small Cities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34, No.2, 1999, pp.179-185 

  9. Kim, Tae-Hwan. 'Planning and Forming Urban Safety Management Systems,' Safety of Cities, Seoul: Hanwol Academy, 1998, pp. 30-49 

  10. Kim, Yoon-Jong, et. al. 'The Development of Earthquake Response Model in Seoul,'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999 

  11. Kim, Young and He-Kyong. 'A Study on Location Mode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cused on a Emergency Ambulance System of Unified Chinju City,'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30, No.6, 1995, pp. 125-141 

  12. Ko, Young-Chan. 'The Study for Problem Identification and Policy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Planning,'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1997 

  13. ReVelle, Charles. 'Siting Ambulances and Fire Companies: New Tools for Planner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57, No.4, 1991, pp, 471-484 

  14. Rho, Sam-Kyu and Chong-Bae Paek. 'Risk Assessment for Major Accident from Hazardous Industries in Urban Areas,'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28, No.2, 1993, pp. 183-192 

  15. Rho, Sam-Kyu and Young-Min Seo. 'A Study for Communities Risk Prioritization from Large Scale LPG Storages through Hazard Assessment,'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34,No. 4, 1999, pp. 195-204 

  16. Shim, jae-Hyun, 'Improvement Plans for Disaster Management for Flood Impact Mitigation,'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1997 

  17. Yim, Song-Tae. 'The Study for Improvement Plans of Korean Disaster Management Systems Through Exist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s and their Problems,'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1996 

  18. Yim, Song-Tae. 'The Study for Establishing Emergency Response Plans Through Disaster-Type Characteristics and Case Studie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