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퍼스널 컬러에 대한 컬러 선택요인 및 만족도 연구 - 헤어·메이크업 컬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sonal Color Selection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 Centered on the Colors for Hair and Make-up -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4 no.4, 2002년, pp.369 - 375  

한명숙 (동주대학 미용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Personal Colors by the age of the woman,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recognition on the factors for choosing specific colors for hair coloring and facial make-up and the consequent satisfaction. The data will be used a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헤어 . 메이크업에 있어서 컬러 선택요인 및 만족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함으로써 이를 뷰티 산업의색채 컨설팅 연구자료 및 마케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한다.
  • 본 논문은 메이크업 컬러제품 선택과 헤어 염색시 컬러선택에 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인지도와 연령에 따라 컬러선택요인과 만족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 퍼스널 컬러에 대한 여성들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이를 활용하거나 컨설트하고 있는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실태이므로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뷰티산업에서의 색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색채컨설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연령에 따른 퍼스널 컬러의인지도와 헤어 . 메이크업에 있어서 컬러 선택요인 및 만족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함으로써 이를 뷰티 산업의색채 컨설팅 연구자료 및 마케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경순 (1999) 피부색과 어울리는 메이크업 색상의 이론적 고찰. 한국미용학회지, 5(1), 53-93 

  2. 김성남 .남윤자 (2002) 혜어 디자이너들의 헤어컬러 및 헤어컬러 제품 선호도 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2), 188-191 

  3. 김수석 (1986) "요하네스 이텐외 색채예술" 지구문화사, 서울, p.39 

  4. 김지은 (1998) 우리나라 도시여성의 기성복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피 부색과 조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용훈 (1998) "색채메카니즘" 법문사, 서울, p.114 

  6. 김효정 (1999) 20대 여성들의 Make up 선호도 및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희지. 5(1), 195-208 

  7. 박화순 (2000) 의상연출을 위한 퍼스널 칼라에 대한 문헌연구,대구대인문예술논총, 21, 307-331 

  8. 신지식 (1999) "색채표현" 조형사, 서울, p.86, p.88 

  9. 이미선 (1999) "Hair Color Art". 현문사, 서울, p.55. p.69 

  10. 우윤정 (1998) 한국여성의 피부색, 얼굴색, 화장책에 관한 연구-20대에서 50대까지의 여성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휘논문 

  11. 염경숙 (1995) "페션코디네이트와 이미지칼라진단". GRAPHIC사, 동경, p.12 

  12. 오회선 (1999) 퍼스널 컬러에 관한 연구선호색과 조화색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비지니스학회지, 3(2), 31-36 

  13. 최정훈 (1987) "색채학 개론" 미진사, 서울, p.3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