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퍼스널 컬러 인식에 따른 색조 화장품 구입 및 사용행동
A Study on the Point Makeup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 Color Awarenes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9 no.5, 2011년, pp.889 - 902  

우수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의류학) ,  김용숙 (전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point makeup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 color awareness. Most women considered their favorite color first when purchasing lipsticks and skin color when purchasing cheek powder or foundation. They considered makeup concept fir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색조 화장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퍼스널 컬러 인식 정도에 따른 색조 화장품 구입 및 사용행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색조 화장품업체에 상품 및 마케팅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여성 들의 퍼스널 컬러 활용과 색조 화장품 선택 및 사용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은 초기 단계로 피부색이나 머리카락 색을 분석하여, 퍼스널 컬러를 기준으로 여성들을 분류하거나, 퍼스널 컬러 유형과 어울리는 네일 색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모에 관심이 가장 높고 색조 화장품을 많이 사용하는 연령층인 20~30대 여성들의 퍼스널 컬러 인식에 따른 색조 화장품 구입 및 사용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여 색조 화장품 관련 업체에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고, 여성들의 퍼스널 컬러 활용과 색조 화장품 선택 및 사용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머리카락을 구성하는 화학물질인 아미노산 중에서 타이로신(tyrosine)은 흑 멜라닌, 적 멜라닌, 혼합멜라닌의 과립(granule)을 형성하여 그 분포와 양에 따라 머리카락의 밝기를 결정한다. 14) 머리카락 색은 색조 화장을 할 때 특히 입술색에 영향을 미친다. 머리카락색과 입술 색은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퍼스널 컬러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퍼스널 컬러 시스템이란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피부색을 분석하여 어울리는 색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신체 고유의 색상인 얼굴 피부색, 눈동자색, 머리카락색, 두피 색, 손목 안쪽 색의 신체 피부색과 조화를 이루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 유형의 색을 비교 분석하여 어울리는 계절 색과 어울리지 않는 색을 측정한다. 우리나라에는 1997년 한국 케엠케 색채연구소에서 사계절 유형을 색상별로 특징을 분석하고 선별하여 퍼스널 컬러 16유형을 개발하고,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국인의 신체 피부 유형에 따른 40가지 피부색 패턴을 개발하였다.
20~30대 여성들이 사용하는 색조 화장품의 원산지를 분석하였을 때, 립스틱의 경우 외국산으로 선택하는 비율이 높은 이유는? 3% 로 가장 많았고, 이어 파운데이션, 볼터치, 아이새도 순으로 국내산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립스틱의 경우 외국산으로 선택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립스틱의 단가가 다른 색조 화장품에 비해 가격대가 비교적 낮고, 많은 여성들이 보편적으로 립스틱을 가장 많이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퍼스널 컬러를 결정하는 기본 요소는 무엇인가? 퍼스널 컬러를 결정하는 기본 요소인 피부, 머리카락, 눈동자 색은 유전에 의해 결정된다. 피부색은 피부 상층의 혈액에 있는 헤모글로빈의 붉은색, 기저 층에 있는 멜라닌의 갈색, 유극층에 있는 케로틴의 황색 등이 배합되어 이루어지며, 한국인은 개인별 차이가 있으나 대개 황색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고아라 (2010). "퍼스널 컬러가 유행인식, 자기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란, 이귀영 (2007). "실용한국섬유표준색 모음집을 활용한 퍼스널 컬러 진단 방법 제안." 한국미용학회지 13권 3호. 

  3. 김미현 (2007). "결혼 여부에 따른 색조 화장품 구매행동."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5권 2호. 

  4. 김미현, 이혜주 (2008).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색조 화장품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권 5호. 

  5. 김영란 (2008). "대학생의 국산화장품과 수입화장품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권 2호. 

  6. 김영인, 주미영, 이현주, 김희연 (2005). "개인의 색채이미지 유형에 의한 국내 색조 화장품의 스토리 개발과 색채계획." 복식 55권 6호. 

  7. 박화순 (2001). "대학생들의 피부색과 머리카락색에 따른 개인 색채 유형분류." 한국의류학회지25권 3호. 

  8. 박화순 (2002). "개인 색채 유형에 따라 어울리는의복색 경향." 복식 52권 6호. 

  9. 신향선 (2002). "퍼스널 컬러 시스템에 따른 유형의분포도와 색채 진단 변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오희선 (1999). "퍼스널 컬러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3권 2호. 

  11. 우선진 (2006). "퍼스널 컬러 시스템에 따른 네일컬러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원명심, 이명숙 (1998). "한국 여대생의 의복 및 화장품색채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 

  13. 이해영 (2004). "색조 화장에 있어 퍼스널 컬러 인지도와 유형별 색채 선호도 조사." 중앙대학교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규화, 이규영 (2005). "수도권 여대생의 기초 피부 색조 화장품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9권 2호. 

  15. 조병숙 (2005). "색조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하병조 (2000). 화장품학 . 서울: 수문사. 

  17. 한명숙 (2002). "퍼스널 컬러에 대한 선택요인 및만족도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권 4호 

  18. 홍미숙 (2005). "한국인의 퍼스널 컬러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홍미숙 (2005). "한국인의 퍼스널 컬러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Jewell, D. L. (1986). Making up by Rex. New York: Clark Potter. 

  21. Matsuura, S. (2004). "일본에서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 추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권 5호. 

  22. McJimsey, H. T. (1973).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2nd ed.,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