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수에서 분리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미분류 Vibrio sp.의 세균학적 특징 -2. Vibrio mimicus와 유사한 Vibrio sp. E10의 세균학적 특성-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identified Vibrio sp., Hemolysin Producer Isolated from Brackish Water -2.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brio sp. E10 Similar to Vibrio mimicus-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6, 2002년, pp.545 - 550  

김영만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홍식 ((주)워터비젼) ,  오희경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강 하구에서 분리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V. mimicus와 유사하지만 분류되지 않은 기수성 Vibrio속으로 추정되는 균주 Vibrio sp. E10 (V. kunsan)의 세균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인 생화학적 시험과 전자현미경 상의 형태에서는 V. mimicus와 유사하였지만 TCBS 배지 상의 colony 형태는 V. vulnifirus와 유사하였으므로 V. mimicus와는 차이를 보였다. Human과 sheep blood agar에서의 뚜렷한 용혈환과 rat에 피부혈관투과항진 작용으로 용혈독성이 있었으며, mouse에 대한 치사독성이 있었으므로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생육 가능한 환경 조건은 염도 0$\~$$4.5\%$, pH 6.2$\~$9.2, 온도 $14\~42^{\circ}C$이 었다. Vibrio sp. E10의 16S rDNA 염기서열은 10여종의 V. cholerae와 1종의 Vibrio mimicus의 염기서열과 $99\%$상동성을 보여 유사 종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세균 자동동정기를 이용한 동정 결과, genus는 Vibrio 속으로 동정되었으나 species는 일치하는 균종이 없었다. 알려진 Vi-brio속 중에서 유사성이 높았던 V. mimicus와 비교해 볼 때 18종류의 항목이, V. cholerae와는 11종류의 항목이 다른 반응을 나타내어 미분류 균종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hemolysin producing bacterial strain which belong to Vibrio species was isolated from the Kum River estuary. In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the strain did not show characteristics of known Vibrio species; thus, the strain was designated as Vibrio sp, E10 (V. kunsan) tentatively and further i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imicus와 유사하지만 현재까지 분류되지 않은 다른 균종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분자생물학적 확인, 독성에 관한 특성 및 생태적인 특성이 더 세밀히 구명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생화학적 차이를 분류의 기초 자료로서 제시하는 바이다.
  • , 1995) Vibrio 속 세균일 것으로 추정이 되면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균주가 분리되었다. 이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상 기본적인 것은 V mimicus와 유사하였으나 세부적인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으므로 아직 분류되지 않은 Vibrio 속이라고 추정되어 형태, 병원성 및 세균학적 특성과 16S rDNA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ng, S.H., DJ. Song, SJ. Yang, I.S. Shin and Y.M. Kim. 1995. Ecological of Vibrio choleras non-Ol and Vibrio mimicus in estuary of Kum River, Korea. Bull. Korean Fish. Soc., 28, 15-22 (in Korean) 

  2. Davis, B.R., G.R. Fanning, J.M. Madden, A.G. Steigerwalt, H.B. Bradford Jr., H.L. Smith Jr. and D.J. Brenner. 1981. Characterization of biochemically typical Vibrio cholerae strain and designation of a new pathogenic species, Vibrio mimicus.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14, 631-639 

  3.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2.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7th ed. AOAC International, Arlington, pp. 111-140 

  4. Food Research Institute 1994. Food Safety 1994. Marcel Dekker, Inc., New York, pp. 411-420 

  5. Goo, J.S., D.W. Kim, K.S. Han, J.S. Suk, M.H. Park and S.I. Kim. 1982. Lactose fermenting vibrio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Report of five cases. K.J.P., 16, 463-469 (in Korean) 

  6. Heidelberg, J.F., J.A. Eisen, W.C. Nelson, R.A. Clayton, M.L. Gwinn, R.J. Dodson, D.H. Haft, E.K. Hickey, J.D. Peterson, L. Umayam, S.R. Gill, K.E. Nelson, T.D. Read, H. Tettelin, D. Richardson, M. D. Ermolaeva, J. Vamathevan, S. Bass, H. Qin., I. Dragoi, P. Sellers, L. McDonald, T. Utterback, R.D. Fleishmann, W.C. Nierman and O. White. 2000. DNA sequence of both chromosomes of the cholera pathogen Vibrio cholerae. Nature, 406, 477-483 

  7. Holt, J.G., N.R. Krieg, P.H.A. Sneath, J.T. Staley and S.T. Williams. 1994.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9th ed. Williams & Wilkins Co., Baltimore, pp. 260-274 

  8. Janda, J.M., C. Powers, R.G. Bryant and S.L. Abbott. 1988. Current perspectives on the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of clinically significant Vibrio spp.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 245-267 

  9. Kim, S.H. 1996. Characteristics of Vibrio choterae non-Ol FM-3 Isolated from Environmental Sea water and its Hemolysin. Pukyung National University, pp. 10-30 (in Korean) 

  10. Kim, S.M. 1994. Studies on Bacterial Characteristics and Lethal Cold Stress of Pathogenic Vibrio mimicus. Pukyung National University, pp. 22-25 (in Korean) 

  11. Kim, Y.M. 1989. Lethal toxin from Vibrio vulnificus. J. Korean Soc. Food Nutr., 18, 175-180 (in Korean) 

  12. Kim, Y.M. 199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molysin produced by Vibrio vulnificus. Research Journal of Dong-eui University (Natural Sciences), 20, 117-123 (in Korean) 

  13. Kim, Y.M., I.S. Shin and D.S. Chang. 1987. Distribution of Vibrio vulnicicus the coast of South Korea. Bull. Korean Fish. Soc., 20, 591-600 (in Korean) 

  14. Park, S.D., H.S. Shon and N.J. Joh. 1991.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in Koiea: Clinical and epidemiologic findings in seventy patients.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4, 397-403 

  15. Yang, SJ, H.S. Kim, J.Y. Kwon, S.H. Chang and Y.M. Kim. 1995.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brio vulnificus in estuary of Kum river. J. fd Hyg. Safety, 10, 53-59 (in Korean) 

  16. KFDA. 1998. 식중독발생 현황 및 대책.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식중독예방대책본부보고서, pp. 5-10 

  17. 本田武司, 山本耕一郎, 飯田哲也. 1991. ビブリオ屬菌の毒素, 遺?子, 病原性. Medical Immunology, 21, 313-323 

  18. 赤羽莊資. 1989. 腸炎ビブリオ, その他のビブリオ. 食品と微生物, 6, 53-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