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테이핑요법이 재가 뇌졸중환자의 일상생활동작, 근관절각도, 손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aping method on ADL, range of motion, hand function & quality of life in post - stroke Patients for 5 week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5 no.1, 2002년, pp.7 - 17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서현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해덕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ping therap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s (ADL), hand function and range of motion in poststroke-hemiplegic patients. Sample were selected from 20 poststroke-hemiplegic patients at public health center in the period from September 5 to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호 등(1999)의 연구에서는 테이핑이 뇌졸중으로 마비된 어깨 통증의 경감에 효과가 있었고, 백용현 등(2001)의 연구에서는 중풍환자에게 테이핑을 적용하였는데 일상생활동작, 자기간호증진 등의 기능적인 측면은 향상되었으나 근력이나 근관절가동력은 분명하게 호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점에 대한 중점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편마비가 있는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5주간의 자조관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한 테이핑요법이 관절가동범위, 악력, 손기능, 기본적 일상생활동작(BADL), 그리고 도구적 일상생활동작(IADL)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에서 테이핑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자조관리에 참여하는 편마비 환자들을 대상으로 5주동안 테이핑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원시실험설계로 단일군 전·후 설계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편마비가 있으며 서울시내 일부 보건소에서 시행하는 자조관리에 참여하는 대상자들에게 주1회 5주동안 총 5회 상지의 어깨와 팔 근육에 테이핑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편마비를 가지고 있는 재가 뇌졸중환자 중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자조관리과정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테이핑요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2개 보건소에서 시행한 뇌졸중 자조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편마비 환자 20명이다.
  • 5) 테이핑요법: 테이핑이란 풀이 붙은 접착용 테이프에 의한 고정으로 근육의 항상성 원리가 있어 이완된 근육이든 수축된 근육이든 원상태로 돌아가게 되어 근력저하, 근육의 경련, 긴장을 정상화시키고 혈액, 조직액, 임파액의 순환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 혹은 제어시키게 된다(김윤국, 1996). 본 연구에서는 편마비가 있거나 약한 상지의 근육, 즉 삼각근, 극상근, 극하근, 완요골근에 키네시오 테이프를 붙여 견관절의 안정성을 높이고 견관절을 보호하며 운동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말한다.

가설 설정

  • 4) 뇌졸중 자조관리에 참석하는 재가 편마비 환자에게 테이핑을 적용하기 전보다 후에 상지의 관절운동범위가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특징은? 뇌졸중은 발병자체가 치명적일 뿐만 아니라 생존자에게도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을 남김으로써 장기적인 재활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 Wade 등(1987)은 뇌졸중에 의한 사망은 첫 2주에 가장 많고, 신경학적인 회복 또한 첫 2주에 가장 빨리 일어나며 3개월 이내에 90%이상의 신경학적 회복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뇌졸중 치료의 한 방법인 테이핑요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방법중의 하나가 테이핑요법이다. 테이핑요법은 약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일종의 접착식 테이프를 신체의 여러 곳에 적절히 붙여서 근골격계, 신경계, 내과적 질환, 부인과 질환, 비뇨기계 질환으로부터 자연치료를 유도하는 치료법 중의 한가지이다(어강 1999 : 어강, 1998 : 한국 키네시오 테이핑협회, 1997). 어강(1999)에 의한 밸런스 테이핑의 기전은 약물이 전혀 없는 일종의 테이프를 신체의 여러 곳에 적절히 붙여서 내과적 질환과 근골격계질환의 증상을 감소시키고 자연치료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피부에 테이프를 붙여 필요한 부분의 근육들을 수축시키거나 혈액순환을 좋게 해줌으로써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근육의 균형이 이루어지면서 증상이 개선되고 몸과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자연요법이며 테이프를 붙임으로써 피부와 근육, 내장기를 연결하는 전자기적 흐름을 조율하고자 하는 것으로 피부 바로 밑의 근방추에서 감마 운동반사가 일어나면서 근육의 가벼운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서현규 등, 2000).
뇌졸중환자 73%가 겪는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Wade 등(1987)은 뇌졸중에 의한 사망은 첫 2주에 가장 많고, 신경학적인 회복 또한 첫 2주에 가장 빨리 일어나며 3개월 이내에 90%이상의 신경학적 회복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의 약 73%에서는 불완전회복으로 편마비, 언어장애, 인지기능 장애 등의 후유증을 경험하고 이들 후유증으로 환자와 가족들은 자연히 우울, 좌절 등을 경험하게 되는데, 만일 환자 자신이 매사에 절망적이고 불안하며 퇴행적이면 운동의 효과도 감소하고 그 결과 회복이 늦어지며 의존적이 되므로 전인간호의 개념에 입각하여 환자를 완전한 인격체를 가진 사람으로 이해하고 돌보아 주며, 의지와 삶에 대한 소망을 주고 독립심을 심어 주어야 한다(서문자 등,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