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MBTI 성격유형별 의복관여와 정보원 사용의 차이를 밝히는 것으로써 선호지표별 차이를 밝힐 뿐 아니라 성격지표 간 역동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성격유형은 표준화된 MBTI 검사로 측정되었고, 의복관여와 정보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부산에서 2001년 1월과 2월 중에 실시되었던 MBTI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되었다. 최종 분석에 투입된 자료는 총 275 부이고, 자료분석은 윈도우용 SPSS 10.0K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one-way ANOVA, 던컨 검정이 사용되었다. 첫째, 의복관여는 '상징적 표현성', '즐거움과 흥미', '유행성'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선호지표 중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 감정형(F)이 사고형(T)보다 유의하게 유행관여가 높았다. 기능유형(ST, SF, NF, NT)에서 직관적 사고형(NT)이 '즐거움과 흥미', '유행성' 관여에 유의하게 관심이 낮은 집단이었고, 감각적 감정형(SF)과 직관적 감정형(NF)은 유의하게 높은 집단이었다. 둘째, 소비자가 사용하는 의복 정보원은 '인쇄매체', '전파매체', '전문적', '점포탐색' 의 네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MBTI 선호지표 중 외향 -내향(EI) 지표만 '인쇄매체' 사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인쇄매체의 사용이 유의하게 높았다. 인쇄매체를 제외한 정보원에서 성격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 평균값 경향에서 감각형(S)이 직관형(N)보다, 감정형(F)이 사고형(T), 판단형(J)이 인식형(P)보다 전체 정보원 사용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MBTI 성격유형별 의복관여와 정보원 사용의 차이를 밝히는 것으로써 선호지표별 차이를 밝힐 뿐 아니라 성격지표 간 역동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성격유형은 표준화된 MBTI 검사로 측정되었고, 의복관여와 정보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부산에서 2001년 1월과 2월 중에 실시되었던 MBTI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되었다. 최종 분석에 투입된 자료는 총 275 부이고, 자료분석은 윈도우용 SPSS 10.0K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one-way ANOVA, 던컨 검정이 사용되었다. 첫째, 의복관여는 '상징적 표현성', '즐거움과 흥미', '유행성'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선호지표 중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 감정형(F)이 사고형(T)보다 유의하게 유행관여가 높았다. 기능유형(ST, SF, NF, NT)에서 직관적 사고형(NT)이 '즐거움과 흥미', '유행성' 관여에 유의하게 관심이 낮은 집단이었고, 감각적 감정형(SF)과 직관적 감정형(NF)은 유의하게 높은 집단이었다. 둘째, 소비자가 사용하는 의복 정보원은 '인쇄매체', '전파매체', '전문적', '점포탐색' 의 네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MBTI 선호지표 중 외향 -내향(EI) 지표만 '인쇄매체' 사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인쇄매체의 사용이 유의하게 높았다. 인쇄매체를 제외한 정보원에서 성격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 평균값 경향에서 감각형(S)이 직관형(N)보다, 감정형(F)이 사고형(T), 판단형(J)이 인식형(P)보다 전체 정보원 사용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information source on personality types. Personality types were applied using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Clothing involvement was measured using 17 questions of 5-point scales. Clothing information source was m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information source on personality types. Personality types were applied using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Clothing involvement was measured using 17 questions of 5-point scales. Clothing information source was measured using 16 items of 5-point sca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75 female using questionnaire. The data analysed with frequence,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The clothing involvement included three factors: Symbolic Expression, Pleasure and Interest, and Fashionability. The clothing information source included four factors: Printed Media, Radio Media, Professional Media and Store Search. Extroversion-introvertion and thinking-feeling index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mensions of clothing involvement. Extroversion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fashionability more than introvertion types(t=2.008, p<.05). Feel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fashionability more than thinking types (t=2.428, p<.05). Extroversion-introvertion index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clothing information source. Extroversion types were significantly used printed media more than Introvertion typ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information source on personality types. Personality types were applied using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Clothing involvement was measured using 17 questions of 5-point scales. Clothing information source was measured using 16 items of 5-point sca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75 female using questionnaire. The data analysed with frequence,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The clothing involvement included three factors: Symbolic Expression, Pleasure and Interest, and Fashionability. The clothing information source included four factors: Printed Media, Radio Media, Professional Media and Store Search. Extroversion-introvertion and thinking-feeling index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mensions of clothing involvement. Extroversion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fashionability more than introvertion types(t=2.008, p<.05). Feel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fashionability more than thinking types (t=2.428, p<.05). Extroversion-introvertion index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clothing information source. Extroversion types were significantly used printed media more than Introvertion typ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