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노인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Utilization of the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55, 2003년, pp.283 - 307  

박경숙 (경기대학교)

초록

우리나라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은 매우 저조하고 서비스가 각기 독립적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중복과 누락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 노인들 전수를 대상으로 노인들이 어떠한 서비스기관으로부터 어떠한 사회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기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중복 문제보다는 낮은 서비스이용률이 더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비교적 욕구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외 귀속요인과 자원요인도 중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나타나, 사회복지서비스확충과 지역별 균형의 달성, 서비스 연계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have been expending in order to respond to the rapid speed of aging. However, low utilization, exclusion and duplication have been pointed out as significant problems in service utilization of the elderly.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utilization patterns of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료가 수집된 노인은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인 17,777명의 노인으로 자료가 수집된 노인은 전체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의 89%에 달하였다. 1999년 조사가 시행될 당시에는 이들은 생활보호법의 보호를 받는 노인들이었지만 생활보호법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으로 바뀜에 따라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들로 본 연구에서는 명명하고자 한다. 이중에서 분석대상은 17,442명으로 자료가 수집된 노인의 98.
  • 가설검증을 위해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노인이 각 서비스를 받고 있는 기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전수조사이므로 회귀분석의 수정된 R제곱의 F값이나 표준계수인 베타의 유의도는 큰 의미가 없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가족수발관련 변수들을 각각 해당 귀속요인이나 자원요인으로 포함 시켜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귀속요인, 자원요인, 욕구요인으로 분류하고 선행연구에서 각 요인별로 어떠한 연구결과가 나왔는지 알아보았다. 가족수발 관련 변수로 분류될 수 있는 동거가족여부나 동거가족유형 등은 노인들이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돕거나 아니면 방해할 수 있는 변수로 보아 본 연구에서는 자원요인으로 포함시켜 선행연구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사회복지서비스는 내용이 광범위하므로 우리나라에서 노인들이 이용하는 재가복지 서비스,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가정간호나 보건소 등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다.
  • 노인들이 각 기관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서비스를 여러 가지 받을 때 서비스를 1가지 이상 받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주로 어떠한 종류의 서비스 혼합이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서비스를 1가지 이상 받은 응답자 15,750명 중에서 63.
  • 이용실태파악의 경우 노인들이 서비스기관으로부터 어떠한 사회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는 지에 대해 살펴보고 각 서비스기관으로부터 몇 가지의 서비스를 받으며, 각 서비스에 대해 몇 개의 기관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로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 노인들이 이용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실태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첫째로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가족수발관련 변수들을 각각 해당 귀속요인이나 자원요인으로 포함 시켜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귀속요인, 자원요인, 욕구요인으로 분류하고 선행연구에서 각 요인별로 어떠한 연구결과가 나왔는지 알아보았다. 가족수발 관련 변수로 분류될 수 있는 동거가족여부나 동거가족유형 등은 노인들이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돕거나 아니면 방해할 수 있는 변수로 보아 본 연구에서는 자원요인으로 포함시켜 선행연구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노인에게 주어지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재가복지센터나 복지관서비스에 한정하지 않고 노인이 가정에서 일상생활의 의ㆍ식ㆍ주문제와 정신적, 신체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든 서비스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센터, 보건소, 종교단체 등 다양한 기관을 포함하며 받는 서비스도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비지원, 후원금품지원, 가정봉사원, 방문간호사의 방문, 우호방문, 말벗서비스, 반찬서비스, 상담, 외출시 차량지원서비스 등을 다 포함하는 개념이다.
  • 본 연구는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통하여 그들의 다양한 욕구와 서비스 제공주체별 받는 서비스 종류를 파악하였다. 조사는 1999년 1월 11일부터 3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를 알아보고, 사회복지서비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노인 전수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보았다. 연구결과는 우선 생계비 지원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서비스의 이용률이 매우 저조한 것을 보여준다.
  • 조사는 1999년 1월 11일부터 3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자는 경기도청 가정복지과와 협력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노인 실태조사 설문지 작성 및 자료분석에 참여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가 수집된 노인은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인 17,777명의 노인으로 자료가 수집된 노인은 전체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의 89%에 달하였다.
  • 가설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조사는 전수조사이므로 가설검증시 추리통계의 유의도수준검증이 의미가 없으나 어느 변수가 더 영향력이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참고사항으로 자료분석시 유의도수준을 표시해 놓았다.
  • 위의 에서 기타 기관에서 서비스를 받는 사례가 많으므로 각 서비스별로 구체적으로 어떤 기관에서 서비스를 받는지 알아보았다.
  • 첫째로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용실태파악의 경우 노인들이 서비스기관으로부터 어떠한 사회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는 지에 대해 살펴보고 각 서비스기관으로부터 몇 가지의 서비스를 받으며, 각 서비스에 대해 몇 개의 기관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로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 노인들이 이용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실태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첫째로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용실태파악의 경우 노인들이 서비스기관으로부터 어떠한 사회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는 지에 대해 살펴보고 각 서비스기관으로부터 몇 가지의 서비스를 받으며, 각 서비스에 대해 몇 개의 기관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국민기초생활보장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기관수는 귀속요인, 자원요인, 욕구요인에 따라 다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데이와 앤더슨(1984)의 모델은 보건의료서비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으로 어떤 요인을 명시하였나? 어데이와 앤더슨(1984)의 모델은 보건의료서비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군으로 크게 보건의료전달체계의 특성과 개인특성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중에서 전달체계의 특성으로는 지역의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양과 보건의료조직의 특성을 명시하고 있으며, 개인특성으로는 귀속요인(predisposing factor), 자원요인(enabling factor), 욕구요인(needs factor)을 명시하고 있다. 귀속요인이란 연령, 성, 교육수준, 직업 등과 같이 개인의 보건의료서비스욕구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들을 의미한다.
사회서비스란? 사회복지서비스란 사회서비스와 혼용해서 쓰이기도 하는데 칸(Kahn, 1977)은 사회서비스란 “가정생활을 보호 또는 회복시키며 개인의 내외적 문제를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도우며 개인의 발전을 촉진하고, 정보ㆍ안내ㆍ대변 및 구체적인 도움을 통하여 서비스에 잘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하였다(최성재, 2002). 이는 시설에 있는 노인을 위한 시설서비스와 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들을 위한 제반 사회서비스로 구분되며 재가노인들을 위한 사회서비스는 건강지원서비스, 사회지원서비스, 접근 및 지원서비스로 다시 구분된다(최성재, 2002).
이혜원(1995)은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수발관련요인으로 무엇을 지적하였나? 이혜원(1995)은 위의 모형이 노인의 경우 노인가구의 가족수발관련 변수들을 경시하였음을 지적하면서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족수발관련변수를 고려해야 함을 주장 하였다. 이때 가족수발관련요인은 가구유형, 주택유형, 거주기간, 취사도구유형, 목욕실유무, 가계수입, 가사담당자 유무, 생존자녀 유무, 가족수발담당자 유무 등인 것으로 지적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가족 수발관련요인은 크게 보면 어데이와 앤더슨모델의 귀속요인과 자원요인을 좀더 노인에게 맞게 구체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