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단백질분해효소활성 균주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tease Producing Bacteria in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4 = no.170, 2003년, pp.666 - 670  

민승기 (풀무원 기술연구소) ,  김정희 (풀무원 기술연구소) ,  김태운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 ,  김경남 (풀무원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의 가수분해효소로서 발효원으로 사용되고 균체증식에 필수적인 아미노산 생산에 관여하는 단백질분해호소를 생성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시판되는 풀무원 김치의 5종(전라도김치, 숙성김치, 열무김치, 포기김치, 맛김치)에서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을 지닌 균주 중 곰팡이와 효모를 제외하고 총 9주를 분리하여 whole cell protein pattern 및 API kit 으로 동정하여 각각의 균주들을 Lactobacillus sp. 1종, Leuconostoc sp. 1종, Bacillus sp. 6종, Brevibacillus sp. 1종으로 판정되었다. 분리된 9종과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이 높은 표준균주인 Bacillus subtilis KCCM 12248와 Bacillus licheniformis KCCM 11851에 대해 단백질분해활성을 비교한 결과 김치에서 분리되는 K-2(Brevibacillus속)가 0.11 unit/m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ains producing the protease, which is essential for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kimchi, were screened and identified. Among five types of selected pulmuone kimchis (Jeonlado kimchi, ripened kimchi, yeolmu kimchi, kakdugi, and baechu kimchi), nine strains of bacteria were screen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Peptide hydrolase의 종류는 30여종이 보고되고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Azocasein을 기질로 하여 생성된 amino acid를 정 량함으로써 비 특이 적 단백 질분해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의 촉매력은 일정한 효소단백질이 나타내는 활성에서 계산하므로 단백질함량과 활성의 측정결과는 Table 4와 같다.
  • 김치의 가수분해 효소로서 발효원으로 사용되고 균 체증식에 필수적인 아미노산 생산에 관여하는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성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시판되는 풀무원 김치의 5종(전라도김치, 숙성김치, 열무김치, 포기김치, 맛김치) 에서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을 지닌 균주 중 곰팡이와 효모를 제외하고 총 9주를 분리하여 whole cell protein pattern 및 API kit 으로 동정하여 각각의 균주들을 Lactobacillus sp.
  • 5 cm 이상인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본 균주의 보관을 위하여 멸균된 glycerol stock solution을 사용하여 냉동 보관하고, 실험은 extracellular protease의 활성 유지를 위해 skim milk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면서 사용하였다.
  • 이에 분리된 9개의 균주들은 SDS-PAGE에 의해 whole cell protein pattern을 확인하고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균주의 whole cell protein pattern이 동일하게 보이는 균주를 같은 group으로 간주하여, Fig.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3번 lane을 Group Ⅰ, 4번 lane을 Group Ⅱ, 5, 6, 7, 8, 9, 10번 lane을 Group Ⅲ, 11 번 lane을 Group Ⅳ로 총 4group으로 나누었다. 또한 그 단백질분해효소의 기작과 기능이 잘 알려져 있는 표준균주인Bacillus subtilis KCCM 1224&와 Bacillus licheniformis KCCM 11851 과의 유사성도 whole cell protein pattern을 통하여 확인해 보았으나, 김치에서 분리된 균주는 두 종의 표준균주와는 다른 whole cell protein pattern을 보여 동일한 균주가 아님을 유추할 수 있었다.
  • 분리된 균주의 동정은 SDS-PAGE를 이용한 whole cell protein pattern과 API 50CH kit(Biomerieus, USA)를 사용하였으며 biomerieux의 database system의 결과를 토대로 상호비교 분석하였다.
  • 선별된 균주는 NB broth(Difco, USA)에 배양하고 12,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조효소액으로 사용하 였다. 분리된 젖산균의 protease 활성은 Anson 방법을 변형 하여 측정하였다(15). 즉, 조효소액에 기질로 Azocasein을 30℃ 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10% TCA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 지시킨 후 원심분리한 상등액에 10% NaOH를 첨가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원심분리 후 상등액은 gradient (8-16%) SDS-RXGE로 분석하였다. 염색은 0.05%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 용액에서 수행하였으며, 10% acetic acid, 30% methanol 용액에서 2시간탈색시키고 분석하였다.
  • 8) 25 mL, glycerol 20 mL, sodium dodecyl sul­ fate 4 g, mercaptoethanol 2 mL, bromophenol blue 1 mg,H2O 41mL)를 첨가한 뒤 95℃에서 5분간 가열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등액은 gradient (8-16%) SDS-RXGE로 분석하였다. 염색은 0.
  • 유제품 유래 젖산균의 생육이 단백질분해시스템에 영향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로 김치유래 젖산균도 김치제조과정 중 첨가되는 젓갈이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의 분해가 젖산균의 성장속도와 김치의 풍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유래되는 protease 활성균주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그 기작과 기능이 밝혀져 있는 표준균주와의 활성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 분류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20,21). 이에 분리된 9개의 균주들은 SDS-PAGE에 의해 whole cell protein pattern을 확인하고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균주의 whole cell protein pattern이 동일하게 보이는 균주를 같은 group으로 간주하여, Fig.
  • 채취된 시료는 생리식염수 0.85%(w/v)로 희석하여 순차적 으로 skim milk agar 배 지 (skim milk 5 g/L, bacto tryp­ tone 10 g/L, yeast extract 5 g/L, NaCl 5 g/L, bacto agar 15 g/L)에 도말하고, 30P로 48시간 배양하여, extracellular pro-tease에 의해 분해되어 형성된 투명환(Clear zone or halo) 의크기가 직경 0.5 cm 이상인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본 균주의 보관을 위하여 멸균된 glycerol stock solution을 사용하여 냉동 보관하고, 실험은 extracellular protease의 활성 유지를 위해 skim milk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면서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높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균종을 분리할 목적으로 풀무원에서 시판되는 5종의 김치(전라도김치, 숙성김치, 열무김치, 깍두기, 배추김치)를 샘플링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생리식염수 0.

이론/모형

  • 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단백질로 하여 Lowry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1 N NaOH의 양을 lactic acid의 양으로 환산하였다. NaCl 농도 측정은 염도계 (Atago, Japan)를 사용하였다.
  • 시료김치를 waring blender로 마쇄한 후 거즈로 걸러 그 여 액을 일정량 취하여 pH는 pH meter(IQ Scientific, USA)로 측정하였으며, 산도는 AOAC의 방법(16)에 의하여 lOmL 김 치여액을 중화시키는데 소비된 0.1 N NaOH의 양을 lactic acid의 양으로 환산하였다. NaCl 농도 측정은 염도계 (Atago, Japan)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Ryu, J.Y., Lee, H.S. and Rhee, H.S. Changes in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Korean J. Food Sci. Technol. 16: 169-174 (1984) 

  2. Oh, Y.A. and Kim, S.D.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of salted Chinese cabbage and kimchi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6: 404-410 (1997) 

  3. Kim, H.J. and Jeon, J.K. The study of microflora changes during kimchi fermentation.Atomic Energy Thesis 6: 112-115(1966) 

  4. No, W.S., Hawer, Y.H. and Oh, H.K. The study of microflora on kimchi fermentation. Thesis, Seoul Health College 2: 15-18 (1981) 

  5. Hahn, Y.S., Oh, J.Y. and Song, J.E. The Study on amylolytic enzyme and protease activity of kimchi. Korea J. Food Sci. Technol. 34: 269-273 (2002) 

  6. Baek, H.H., Lee, C.H, Woo, D.H., Park, K.H., Pek, U.H., Lee, K.S. and Nam, S.B. Prevention of pectinolytic softening of kimchi tissue.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49-153(1989) 

  7. Park, H.O., Kim, K.H. and Yoon, S.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pectinesterase, polygalacturonase and peroxidase in kimchi materials. Korean J. Dietary Culture 5: 443-448 (1990) 

  8. Kim, H.J., Lee, J.J., Cheigh, M. J. and Choi, S.Y. Amylase, protease, peroxidase and ascorbic acid oxidase activity of kimchi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 1333-1338 (1998) 

  9. Exterkate, F.A. Location of peptidase outside and inside the membrane of Streptococcus cremoris. Appl. Environ. Microbiol. 47: 177-183 (1984) 

  10. Pritchard, G.G. and Coolbear, T. The physiology and biochemistry from proteolytic system in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I. Rev. 12: 179-206 (1993) 

  11. Smid, E. J., Poolman, B. and Konings, W.N. Casein utilization by Lactococci. Appl. Environ. Microbiol. 57: 2447-2452 (1995) 

  12. Tan, P.S.T., Poolman, B. and Konings, W.N. Proteolytic enzyme of Lactococcus lactis. J. Dairy Res. 60: 269-286 (1993) 

  13. Lee, Y.J., Jae, Y.C., Lee, H.J., Chang, H.C., Kim, J.H., Chung, D.K., Kim, Y.S., Cho, S.K. and Lee, D.H. Identification of cellenvelope proteinase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 116-122 (2002) 

  14. Lowry, O.H., Rosebrough, N.J., Farr, L.A and Randal, R.J.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phenol reagent. J. BioI. Chem. 193: 265-275 (1951) 

  15. Novo Industry A/S. Anson hemoglobin method for determination of bacterial proteinase activity. AF 4.2/5, Novo Industry A/S, Bagsvaerd, Denmark (1990) 

  16.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17. You, T.J. Source Book of Food, pp. 168-169. Seo-Woo, Seoul, Korea (1993) 

  18. Woon, B.S. and Lee, K.S. Food Ingredients, pp. 83-84. Su-Hak Sa, Seoul, Korea (1985) 

  19. Cho, J.S. Food Ingredients, pp. 150-151. Moon-Un Dang, Seoul, Korea (1987) 

  20. Pot, B., Vandamme, P. and Kersters, K. Analysis of electrophoretic whole-organisms protein fingerprints, pp. . In: Chemical Method in Bacterial Systematics, John Wiley and Sons, Chichester, USA (1994) 

  21. Kim, T.W., Lee, J.L., Jung, S.H., Kim, Y.M., Jo, J.S., Chung, D. K., Lee, H.I. and Kim, H.Y.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predominant lactic acid bacteria in kimchi, a Korea traditional fermented food. J. Microbiol. Biotechnol. 12:'635-642 f(2002)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